• 제목/요약/키워드: tegumen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1초

Tegumental ultrastructures of Echinoparyphium recurvatum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 Sohn, Woon-Mok;Woo, Ho-Choon;Hong, Sung-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2호
    • /
    • pp.67-73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egumental ultrastructure of Echinoparyphium recurvatum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Worms (1, 3, 5 and 15-day old) were recovered from chick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from radix auricularia coreana. One-day old worms were elongated and ventrally concave, and covered with peg-like tegumental spines except the adjacent areas of the head crown and excretory pore. Type I sensory papillae were distributed on the lip of the oral sucker, and grouped ciliated papillae were around the oral sucker. Peg-like tegumental spines were densely distributed on the anterior surface of the ventral sucker level. The ventral sucker had an aspinous tegument and no sensory papillae. Tegumental spines on the posterior surface of the ventral sucker level were sparsely distributed and disappeared posteriorly. In 3 and 5-day old worms, the tegument around the oral sucker was aspinose and wrinkled concentrically. The ventral sucker had a wrinkled tegument and many bulbous papillae. Type I sensory papillae were distributed between the bulbous papillae. Tegumental spines were spade-shaped with a terminal tip. A total of 45 collar spines including 4 end group ones on both ventral corners was alternately arranged in 2 rows. The 15-day old worms were very stout and their tegumental spines were tongue-shaped without a terminal tip,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E. recurvatum wa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other echinostomatid flukes. However, some features, i.e., morphological change of tegumental spines and appearence of sensory papillae on the ventral sucker according to development, and number, shape and arrangement of collar spines, were characteristic, which may be of taxonomic and bioecological significance.

Spirometra ernacei의 발육에 따른 Esterase와 Phosphatase의 조직 화학적 연구 (Enzyme-Htstochemical Studie5 of Esterase and Phosphatase on Developing Spirometra erinacei)

  • 곽기훈;김창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5-235
    • /
    • 1988
  • spirometra ernacei의 제3기 유충 plerocercoid(sparganum)를 중간숙주인 흰쥐와 종숙주인 고양이에게 감염시켜서 회수한 sparganum과 성충의 non-specific esterase와 acid,alkaline phosphatased의 분포 및 isozyme pattern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효소조직화학적 방법과 전기영동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non-specific esterase는 sparganum과 성체의 근층과 유조직층에 많이 분포하였고 표피층에는 거의 분포가 없었다. 이의 isozyme band pattern은 sparganum에서 7개의 성체에서 8개의 isozyme band로 분리 되었는데 sparganum과 성체의 major band는 각각 3번과 4번 band였다. 둘째,acid phosphatse는 sparganum과 성체의 표피층과 근층에서 많이 부포하였고 유조직층에는 거의 분포가 없었다. isozyme band pattern은 sparganum과 성체에서 각각 3개의 band로 분리되었는데 3번 band가 major band였다.셋째, alkaline phoosphatase는 sparganum과 성체의 표피층과 근층에서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유조직층에서 더 상당한 분포가 있었다. isozyme band pattern은 sparganum에서 2개 성체에서 4개가 분리되었는데 sparganum성체 모두 2번 band가 major band였다.

  • PDF

Spirometra erinacei에서 IgE와 IgG 항체를 유도하는 항원성분의 면역조직화학적 위치와 특성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tigenic Compnent Inducing IgE and IgG Antibodies in Spirometra erinacei)

  • Chang-Hwan Kim;Sook-Jae Seo;Hong-Ja Kim;Kee-Hoon Kwa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2
    • /
    • 1996
  • Spirometra erinacei의 유충인 sparganum(metacercoid)에 감염되었을 때 호산성백혈구의 증가와 IgE 항체역가가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이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때 IgG 항체와 IgE 항체를 유도하는 충체의 항원성분의 소재를 면역세포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충체의 성체와 유충에서 비교하였고, 또한 충체의 추출물을 SDS-PSGE와 EITB를 이용하여 IgG와 IgE 항체 유도 항원성분의 면역적 특성도 추구하였다. IgG와 IgE 항체 유도성분은 성체와 유충의 근층에서 공통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IgG 항원성분은 근층 뿐만 아니라 외피층과 유조직층에서도 반응이 나타났으며, 성체의 수태편절에서는 자궁 내에 있는 충난의 표면에서도 반응이 나타났다. 충체의 외피층에서 항원성분을 면역황금 표지법으로 관찰한 결과, 충체의 외피층(tegument)에서 IgG 항원성분의 분포밀도가 IgE 항원성분의 밀도보다 컸다. 충체의 추출물 중 IgG, IgE 유도 항원성 단백질의 면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성체의 추출물의 43개 분회 중 21개 분획이 IgG 항원성분으로서 반응하였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21개 분획에서 반응하였다. 이들 중 11개 분획 (410, 304, 268, 174, 162, 116, 92, 86, 72, 60, and 59 kDa)에서 IgG와 IgE가 교차반응하였으며, 유충의 추출물의 36개 분획 중 IgG 항원성분으로 22개의 분획에서 반응이 나타났고, IgE 항원성분으로는 13개의 분획에서 반응하였으며, 이들 중 5개 분획(204, 116, 92, 79, and 59 kDa)에서 IgG와 IgE가 서로 교차반응하였다.

  • PDF

요꼬가와흡충에 관한 연구 VII. 표피 미세구조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Study on Metagonimus yokogawai(Katsurada, 1912) in Korea Vll.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Tegumental Structure)

  • 이순형;서병설채종일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84
  • 요꼬가와흡충의 표피 미세구조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탈낭된 피낭유층과 실험감염시킨후 2일, 1주, 4주에 횐쥐의 소장으로부터 회수한 충체의 표피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1. 탈낭된 피낭유충의 표피는 가로로 얕게 주름져 있었으며, 전반부는 끝이 7∼8분지된 비늘모양의 가시로, 후반부는 2∼3분지된 가시로 덮혀 있었다. 감각유두는 두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는데 제 I형 감각유두는 주로 구흡반과 복흡반주위에서, 제 II형은 구홉반에서만 발견되었다. 2. 감염 제 2일의 유약충은 원형질돌기의 골이 깊어지고 전반부에서는 혹모양으로, 후반부에서는 자갈모양으로 발달하였다. 전체적으로 가시의 크기가 커지고 간격이 넓어졌으며 배면전단에 끝이 9분지된 가시가 많이 출현하였다. 감각유두의 크기는 커졌으나 분포에는 변화가 없었다. 3. 감염 1주된 성충의 복흠반 표면은 융단모양으로 발달했으며, 후반부의 원형 질돌기는 후모양으로 되었다. 구흠반을 겅계로하여 전반부에는 끝이 7∼9분지된 가시가, 후반부에는 2∼4분지된 가시가 분포하는 것이 뚜렷해졌다. 감각유두가 더 커졌으며, 배면에는 제 I형 감각유두가 좌우대칭적으로 분포하였다. 4. 감염 4주된 성충의 표피는 더욱 분화되었으며 후반부는 융단모양의 원형 질돌기로 덮혀 있었다. 가시가 췰씬 길어졌으며 감각유두의 크기도 커졌다. 구흡반의 내면에서 능선형의 원헝질돌기들이 융기된 제 III형 감각유두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요꼬가와흡충의 표피는 감염 첫날부터 4주까지 원헝 질돌기와 가시의 분화가 계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해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주식회사 한국 ISI 이만희사장님과 관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PDF

Echinochusmus juponicus 표피 미세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Echinochasmus japonicus Tegument)

  • 이순형;손운목;홍성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1호
    • /
    • pp.51-58
    • /
    • 1987
  • 극구흡충의 하나인 Echinochasmus iaponicus의 표퍼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붕어(Pseuderasbora larva)의 두부로부터 분리, 수집한 피낭유충을 Sprague-Dawley계 흰쥐에 경구 감염시킨 후 5일, 7일 및 14일에 성충을 회수하여 고정, 건조 및 순금표면처리 과정을 거친 다음 ISI-Korea의 CL-6 및 DS-130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E. japonicus의 충체는 작고 통통한 표주박 모양으로 전단이 뾰족하고 후단은 등근모양이었다. 충체의 전체표면은 가로로 불연속적인 주름이 져 있었고, 자갈모양의 원형질 돌기로 덮혀 있었다. 2. 두관에는 24개의 두극이 원형질 주머니에 박혀서 일렬로 배열하였으나, 이중 양끝에서 두번 째, 네번 째의 두극은 밖으로 더 벌어져 있었다. 또한 이 배열은 두관의 등쪽 정증선에서 끊어져 있었다. 구흡반은 근육성이었고 구순에는 많은 수의 감각유두가 존재하였다.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에는 생식공이 개구하고 있고, 동심원 모양의 복흡반은 복측으로 약간 튀어나와 있었으며 15∼17개의 II형 감각유두가 일열로 래열되어 있었다. 3. 상모양의 피극은 충체표퍼의 복측 앞쪽측면과 배측 전반부에 밀집되어 있었고, 구흡반에서 복흡반에 이르는 복측 정중면과 배측 후반부에는 분포하지 않았다. 4. 감각유두는 type I , type II 두 종류만 관찰되었으며 type I은 복측 전반부에 주로 많이 분포하였고 type II는 구흡반과 복흡반의 구술에만 주로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E. japnicus의 표퍼 미세구조가 다른 극구흡충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특징적인 것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이 특징들이 다른 극구흡충류의 표피 미세구조 및 분류학적 연구에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tigenic profile and localization of Clonorchis sinensis proteins in the course of infection

  • Hong, Sung-Jong;Kim, Tae-Yun;Song, Kye-Yong;Sohn, Woon-Mok;Kang, Shin-Y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07-312
    • /
    • 2001
  • In the course of Clonorchis sinensis infection, antigens presented to the hosts may be in a close relation to growth of the fluke. The antigenic proteins stimulating IgG antibody production were chronologically identified by immunoblot and localized by immunogistochemical staining. In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until 12 weeks post-infection (PI) , antigens were proteins with molecular mass larger than 34 kDa which were derived from the tegument, testes and intrauterine eggs. After 20 weeks PI antigens recognized were 29, 27 and 26 kDa proteins from the intestine, excretory bladder and reproductive organs. It is suggested that the tegumental proteins are the most potent antigens and the excretory-secretory proteins with middle molecular mass of 26-45 kDa contribute to the high level production of antibodies after 20 weeks of the C. sinensis infection.

  • PDF

Surface ultrastructure of the adult stage of Acanthotrema felis (Trematoda: Heterophyidae)

  • Sohn, Woon-Mok;Seo, Min;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07-111
    • /
    • 2003
  •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Acanthotrema felis (Trematoda: Heterophyidae) adults, recovered from a kitten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worm was leaf-like, ventrally concave and covered with scale-like multi-pointed tegumental spines. The spines on the anterior surface were short but broad, and had 10-12 pointed tips. The cytoplasmic processes protruded around the spines, like pockets for the spines. The ventrogenital opening was crescent, or kidney-shaped, and had protuberances with minute spines on its surrounding tegument. The spines on the posterior surface were long, but narrow, with 6-8 pointed tips. The cytoplasmic processes on this tegument were ridge-like, and elevated along the row of the spines.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A. felis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other heterophyid flukes, but som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and may be of taxonomic and bio-ecological significance.

Albendazole의 폐흡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 of Albendazole Against Paragonimus Westermani)

  • 황의정;김수진;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54-164
    • /
    • 1991
  • Albendazole is a broad spectrum anthelmintics with high activity against intestinal nematodes as well as tremtodes and cestodes infections. But so far wormicidal effect of albendazole against Paragonimus westermani is uncertain. The present study undertaken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aragonimus westermani which was obtained from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isolated from Cambaroides similis and 9 of them were given albendazole 2 doses of 25mg/kg daily for the 2 days and 4 days from the day of 20 weeks after infection. The Paragonimus werms were collected from the lung of the cats which were autopsied at 24 hours after treatment. The fine structures of the collected worms were studied by means of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findings of the observation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untreated wo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SEM) observations, the worms obtained from 2 days treated group showed many blebs which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damaged tegument in between two suckers. Protrusion of oral sucker typically observed and surrounding tegumental ridges were damaged. 2) The worms obtained from 4 days treated group showed marked contraction revealing half size of normal worms. 3) The transmission electronmicroscopic(TEM) observations indicated that large blebs of irregular shapes were formed by the destruction of tegumental ridge of tegumental syncytium and also showed degeneration of mitochondriae. 4) Destruction of tegumental syncytium formation of blebs were usually observed in the ventral side of the worms. 5) Differentiation of tegumental layer and basement layer muscular layer and parenchymal layer around two suckers of worms obtained at 4 days treated group was difficult. 6) Many host cells invaded and destroyed the degenerated tegument by the occurrence of blebs or the exposed muscular layer of the worm after exfoliation of the tegument.

  • PDF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한 스파르가눔 층체에서의 36, 29 kDa 항원 단백질의 생성위치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36 and 29 kDa proteins in sparganum)

  • 김이수;공윤;강신영;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1992
  • 스파르가눔증을 혈청학적으로 진단할 경우, 환자 혈청과 민감하고 특이하게 반응하는 단백질이 36. 29 kDa임은 SBS-PAGE/immunoblot을 이용하여 이미 밝혀졌다. 이 연구는 이 단백질이 스파르가눔 충체의 어느 부위에서 생성되는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스파르가쑴 충체의 조직표본을 만들고 36 kDa와 29 kDa 단백질에 반응하는 단세포군항체를 1차항체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avidin-biotinylated conjugate와 AEC (3-amino, 9-ethylcarbasole)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스파르가눔증 환자 혈청, 스파르가눔 생리식염수추출액으로 면역시킨 마우스 항혈청을 사용하여 반응양상을 비교하였다. 대조 염색으로는 PBS, 정상 마우스 혈청 및 전상인(정상인) 혈청을 각각 사용하였다. 1. PBS, 전상 마우스와 정상인 혈청으로 처리한 군은 어느 조직에서도 반응이 없었다. 2. 마우스 면역혈청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표피상층, 표피, 표퍼세포, 유조직 (유조직), 배설강에 반응이 있었고 근육, 칼숨소체의 일부에도 반응을 보였다. 3. 환자혈청은 표피상층이 표피세포보다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고 유조직에서도 반응이 있었다. 배설강, 칼슘 소제의 일부에 반응을 나타냈으나 표피와 표피세포에서는 반응이 약한 환자혈청도 있었다. 4. 단세포군항체로 처치한 경우, 표피상층과 표피세포에 강하게 반응하였고 유조직의 일부에서 약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표피, 칼슘소체, 배설강 등에는 전혀 반응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스파프가눔에 존재하는 36, 29 kDa단백질이 표피세포에서 생성되어 표피상층으로 이동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 PDF

폐흡충 표피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 of Adult Paragonimus westermani)

  • 최원영;유재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85
  • 1. 주사전자현미경 관찰로 체표면은 굴곡에 의한 많은 돌기로서 소위 자갈밭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피극들과 유두가 체표면에 돌출하고 있었는데 피극은 끝이 하나로 되어있고 충체후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었다. 그중 구흡반과 복흡반의 융기부에 있는 피극은 작았으며 선단이 몇 갈래로 갈라져 있었고 또 밀집되어 있었다. 2. 유두는 표피가 반구형으로 돌출하고 있었고, 중앙에 하나의 직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두는 단독이거나 또는 여러개가 모여 있는 것 또는 여러개가 뭉쳐서 큰 융기를 이루고 있는 등 그 모양이 다양하였다. 구흡반이나 복흡반상에 있는 유두는 타부위보다 매우 큰 유두가 있었고 여러개가 뭉쳐있는 것이 많았다. 3. 투과전자현미경 관찰로는 표피는 전자밀도가 높은 표피층으로 덮혀있었고 표피층의 유리면과 기저면은 모두 원형질막으로 싸여 있었다. 표피층의 두께는 특히 구흡반과 반흡반 사이가 두터웠다. 표피층내에는 사립체, 소포체, 공포 그리고 구형 및 관상과립이 관찰되었다. 5. 피극은 표피층의 기저면의 원형질막에서 시작하여 외부로 돌출하였는데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무정형의 구조물로 되어 있었다. 또한 구형질의 주의의 표피층에서는 복경체가 발견되었다. 5. 표피층 아래로 기저면의 원형질막에 련해서 기저막이 있고 그 아래로 소성결합조직이 있고 그 아래로 근육층, 그리고 그 밑에 유연조직이 있으며 그 속에 표피세포가 있었다. 또한 이 표피세포와 표피층은 전형질돌기로 연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