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erspective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5초

초등교사를 위한 원격연수의 질적 향상 방안 (Quality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stance Training)

  • 류근영;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17-625
    • /
    • 2005
  • 1997년부터 교사에게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기존 출석중심 연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연수체제 구축을 위한 대안으로 교원 원격교육연수원이 도입 운영되어 왔고, 해마다 그 수의 증가를 거듭하면서 2004년 9월 현재 총 53개의 원격교육연수원이 운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원격연수의 질적 향상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원격연수원의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중심으로 교육 콘텐츠 및 전반적 운영현황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한 원격연수의 제공자, 수요자 측면의 상호 만족도 향상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제공자는 시대변화에 따른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피드백 해야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점수위주의 수강보다는 초등교사로서의 자기 계발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영역의 수강을 필요로 하고 있다.

  • PD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from PST Perspectives

  • Alhwaiti, Mohammed 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169-174
    • /
    • 2022
  • The study aims to discover the scop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a pre-service teacher (PST) perspective in light of the gender and sub-major variables. The sample consisted of 84 MEd students/pre-service teachers at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Faculty of Education, Umm Al-Qura University. The descriptive analytical approach is used due to its relevance to the study. A survey consisting of the participant's basic information section and 12 statements was sent to a set of pre-service teachers. Findings showed tha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n overall high knowledge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M=3.93).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gender- or major-rel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α = 0.05), i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student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A STUDY ON THE INTEGRATED APPROACH FOR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CHUNGHYUN YU
    • Journal of Applied and Pure Mathematics
    • /
    • 제5권1_2호
    • /
    • pp.55-68
    • /
    • 2023
  • Character educa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al purpose in the current situation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character education is mentioned in terms of core competen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oncretely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i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tradi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s that mathematics is regarded as a practical tradition by the nature of mathematics from a value-intrinsic perspective. In this respect, mathematics education is defined as an intrinsic and nurturing character through long history of practice. This paper search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in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argued that the teacher's personal approach including the class model approach of the human factors by an example of the exponential law aman = am+n and the value-orient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athematics was the core.

An analysis of diverse perspectives on "Excellent Teaching" by a recipient of Teaching Awards with over twenty years of experience in educating young learners

  • Min Kyung 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119-135
    • /
    • 2024
  • The research is centered on veteran educato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possess more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have been recognized with awards for their outstanding achievements. The selection of participants was based on specific criteria, such as th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and recognition received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s Teaching Innovation Competition in Korea. Eight teachers who met the specified criteria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qualita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study was carried out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o gain insight into th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the participants. The study identified five main themes: cultiva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stablishing interactive classroom settings, providing impactful educational methodologies, facilitating healthy habits and character education, and creat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eachers' well-being. The study seeks to improve comprehension of teaching methodologies and offer sugges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al policies.

보육시설에서의 "학예발표회"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hildren's Talent Show" at Child Care Centers)

  • 김은주;서영희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3-262
    • /
    • 2010
  • This study approaches the children's talent show performed at child c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edagogy in order to investigate it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Two child care centers where children's talent show are opened annually were selected as a sampl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data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teacher, parents, and principles at the selecte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ildren's talent show played a role as a business tool for managing the child care center in terms of such functions as recruitment of new children and promotion of the institute, rather than simply being the result of demand from the children and parents. Consequently, the children and parents appear to be passive participants in the talent show by partially accepting the positive views thus generated without expressing disagreement with these views.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 general debate regarding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events at child care centers.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경로행동 연구 -조부모가 생존한 예비보육교사 중심으로-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ward the Elders -Focu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ho have living Grandparents-)

  • 고은교;신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49-760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의 인성발달 증진과 노인소외현상 감소를 위한 교육적 사회복지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예비보육교사의 경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자로는 G시와 J도에 소재하는 4개 대학교의 보육교사과정 이수자인 여학생 176명이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예비보육교사의 경로행동 측정 도구로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근거하여 새롭게 변형한 모형에 맞춰 구성된 선행연구[1][2]에서 사용한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설계 내용으로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의도, 행동 등 계획된 행동이론의 모형에 태도적 신념, 규범적 신념, 통제적 신념 등 현출신념을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간에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로써 본 이론의 유용성이 재 입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유아의 인성발달이라는 교육적 측면과 노인소외현상 감소라는 복지적 측면에서 노력하는 전문가들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초등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about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 권난주;안재홍;정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1호
    • /
    • pp.1-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about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published from January, 1991 to June, 2011 in the scientific journals. For the analysis of theses, we set standards of analysis including the number of theses,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the designs of study and the objects of study. The number of theses used for the analysis was 186 volumes by limiting as Journal of KOSEE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KASE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and Journal of KESE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ses according to the published year, we discovered that the volumes of theses related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more than 50% of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SEE since mid-2000s. Second, the these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were most common topic in the research topics, and the next things were status and actual condition,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theory and policy. Third, as the most common things in research methods and the designs of study, 38.6% of theses have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s research methods and 50.5% of theses have used 'quantitative research' as the designs of study. Fourth, the most common study in the theses was to targe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it was literatures, then teachers, and environmental facilit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suggest that various studi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can develop student's right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be presented.

  • PDF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o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직과목 수업에 PBL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를 수강신청한 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PBL 수업을 2014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을 위한 문제는 수업계획서 작성하기, 학급경영계획서 작성하기, 기술 가정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등 3개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BL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평가하기 등의 순서로 한 개의 PBL 문제당 4주동안 진행하였으며, 문제해결안을 발표할 때마다 문제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의 PBL 문제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실무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익힐 수 있는 좋은 문제였다',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였다'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예비가정과교사들은 PBL을 처음 접했을 때 많이 당황스러워했지만, 그룹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교수자로부터,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비교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을 적용한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이 예비가정과교사들의 교직인성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길러지기를 원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본 연구가 학생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 설계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과학 교사-연구자간 협력적 워크숍에서 사회적 중재를 통한 집합적 이해 과정: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Collective Understanding through Social Mediational Processes in a Collaborative Workshop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Researchers: Focusing on 'Conflict' Aspect)

  • 김혜리;이선경;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02-1523
    • /
    • 2012
  • 최근 급변하는 사회와 함께 교육의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교육의 질적 향상과 직결되어 있는 교사 전문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향상, 발전시키기 위한 각종 교사 교육 프로그램이 제안되었고, 또한 그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뒤따랐다. 특히 프로그램의 목적이 교사의 변화를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연구들이 교사의 지식, 신념, 또는 실행 등 교사의 개인적 변화에 주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교사의 마음(mind)은 사회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Edwards, 2001), 교사의 변화는 사회적 맥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중재되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즉 개인 주체가 어떻게 시스템 안에서 상호작용하는지, 집합적인 측면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 연구자간 협력적 워크숍에서의 집합적 이해(collective understanding) 양상과 각 양상에 따른 사회적 중재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자체를 분석하였다. 워크숍 기간 동안의 소그룹 활동을 녹화한 비디오 및 오디오 자료를 주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난 집합적(collective) 측면을 포착하기 위해, 녹화물과 전사본을 상호작용 사회언어학(interactional sociolinguistic)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집합적 이해 양상에 따른 맥락적 요소들의 중재과정을 기술하기 위해 활동 시스템(activity system)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교사들은 집합적 이해와 관련하여 갈등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였으며, 활동 시스템 내 목적, 규칙, 역할 등에 의해 그 과정이 중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가 가르치기 위해 어떻게 배우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이 필수이며, 교사의 전문적 담화가 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업계열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 김리진;장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35-14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상업계열 고등학교 2학년생 312명이며,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총 21개로, 자기유능감, 대인관계기술, 내적통제감,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의 8개 유기체 변인, 학교변인(교사와의 관계, 수업과 학습, 교실분위기, 학교복지시설, 학교주변환경), 친구변인(교우관계), 가정변인(가족기능성, 부의 학력, 경제적 수준)의 9개 미시체계 변인, 부모-교사 관계, 부모-자녀의 친구관계의 2개 중간체계변인, 한국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의 1개 외체계 변인, 학벌지상주의의 지지정도의 1개 거시체계변인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는 교사와의 관계, 한국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 교우관계, 정서활용, 부모-교사 관계 순위로 5개 변인이 유의하였다($R^2=45.3%$). 생태체계 변인 중 미시체계 변인의 영향력은 35.7%로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상업계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분석한 것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