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perspective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8초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 관점에서 본 수업 실제 분석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s of Mathematics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PACK)

  • 이다희;황우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43-3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는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TPACK 관점에서 인식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 후, 그 인식이 실제 수업에 발현되는 부분 또는 인식 차이가 드러난 항목에 대해 근거를 밝힐 수 있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그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본추출(purposeful sampling)을 사용하여 현직 수학교사 2명을 선정하였고, 교사의 일반적 배경, TPACK 인식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자 조사 연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TPACK 관점에서 수업 실제를 살펴보기 위해서 동영상과 수업 자료,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는 두 교사는 TPACK 중에서 자신이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하위 지식을 중심으로 실제 수업 상황과 연결짓고 있었다. 또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은 테크놀로지의 기능적인 역량만이 효율적인 수업을 이끄는 충분조건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은 수학 내용, 테크놀로지, 교수법을 단순하게 아는 것에서 더 나아가 경험에 기반을 둔 현장실천력이 중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방법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TPACK에 관한 연구나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수학 평가문항의 출제 및 채점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Perspectiv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udents' Mathematics Tests)

  • 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7
    • /
    • 2005
  •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의 평가를 위한 시험의 출제 및 채점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지식과 관점이 어떠한지를 고찰해 보고, 이 과정에서의 문제점들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 A교육 대학교의 일급정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268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례를 조사하여 각 영역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교사가 수학 문제지를 출제하거나 학생의 수학답안을 채점하는 과정에서 겪는 혼란과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어려움의 유형으로는 문항 자체에 모호성을 가지고 있거나 문제를 잘못 출제한 경우, 학생들의 수준이나 관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경우, 평가 문항 출제 기법상 문제가 있는 경우, 그리고 기타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수학 문항을 출제 할 때 상호 점검으로 오류를 최대한 피하도록 하고, 수학 문항을 바르게 출제할 수학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채점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답을 보다 유연하게 보는 관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 PDF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의 혼합계산 순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rder of Mixed Calculation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고준석;최종현;이승은;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31-54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계산 순서를 지도하는데 유용한 교수법적 내용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사칙계산 사이의 우선권은 어떠한 근거로 결정되었는지 살펴보고, 계산 순서를 바라보는 입장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다섯 가지 제언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교사들에게 덧셈과 뺄셈의 혼합계산 및 곱셈과 나눗셈의 혼합계산의 경우, 각각 뺄셈과 나눗셈부터 계산해도 동일한 계산 결과를 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들에게 식의 왼쪽부터 차례대로 계산하는 규칙이 관습으로 자리 잡은 이유에 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에게 덧셈과 곱셈의 혼합계산에서 곱셈이 덧셈보다 우선한다는 규칙 설정의 동인을 설명해 보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들에게 괄호가 있는 식에서 하나의 수량이라는 괄호의 의미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사용 지도서에서 계산 순서의 입장을 기술할 때는 계산 순서의 관습적, 개념적 입장을 모두 기술하여 교사들의 계산 순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 PDF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Services Usin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9-270
    • /
    • 2023
  • 본 연구는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적자원(사서교사, 교과교사, 사서)간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내적 경험의 차이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요소 강도, 구성개념 극단, 불일치 구성개념, 암묵적 딜레마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렙그리드의 요소를 9개로 설정하고, 현장 사서교사 3명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전개하여 14개의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교육대학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웹상에서 접근이 가능한 GRIDCOR 6.0을 통해 레퍼토리 그리드를 완성하도록 하고, 그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종 6개를 선정, 분석하였다. 요소 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도서관 서비스 중에서 자료관리, 도서관협력수업, 독서·정보 상담 서비스가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자기 역할이 분명한 정도, 실제 수행 정도,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시행하면서 직면하는 초등 교사의 어려움 탐색 -구조와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Challenges with the Perspective of Structure and Agency When Implementing Social Action-Oriented SSI Education Classes)

  • 임성은;김종욱;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5-131
    • /
    • 2021
  •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위기 상황이 고조되고 있는 오늘날 사회적 행동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실천지향 SSI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을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교사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차시 동안 진행된 수업에 대한 질적 단일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 면담, 교사 성찰일지, 수업 동영상, 학생 면담, 학습 결과물, 참여 관찰일지 등과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천적-평가적 차원의 구조를 micro(교실), meso (학교), macro (한국 사회) 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micro 장에서 새로운 시도의 수업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나 인식을 파악하기 힘들었으며 특히 학생들이 기후변화를 나의 문제라고 인식하는 주인의식을 가지는 데 어려움이 있어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학생들은 스스로를 어린이로 위치 지으며 계획한 사회적 행동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가치에 대해 공감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학습 목표를 성취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meso 장에서는 동학년 교사와 교육과정을 비슷하게 운영해야 하는 학교 문화 속에서 교사만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기후변화 수업이라는 낯선 과학 수업 주제에 대한 부담을 드러내는 동료 교사들과 소통이 단절된 채 교육과정을 홀로 운영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키워나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관리자 역시 사회적 행동에 대한 소극적인 지원을 하여 학교 밖으로 사회적 행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갈등 상황에 직면하였다. 마지막으로 macro 장에서는 본 수업의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물적 자원이 미흡하였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제한된 시각이 교수학습상황의 거시적 제약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분석을 위해 유목화된 각 장의 제약조건들은 실제로는 독립적이고 분절적인 요소가 아닌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인 그물망을 형성하며 구조적 제약조건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를 주제로 한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실행하는데 교육 공동체 여러 주체의 다층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지식에 대한 구조주의적 관점과 수학에서의 '지식의 구조' (Structural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Mathematics)

  • 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365-380
    • /
    • 1998
  • Structualist view distinguishes structure(reality) from phenomenon(appearance). Phenomenon is the outside aspect of structure and structure is the inside aspect of phenomenon. From the structualist view, the knowledge could e divided into two parts, the appearance of knowledge(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the inside aspect of knowledge). Structualist view advices teachers to understand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and not to teach mere the one aspect of knowledge, especially 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 that is, the written expressions in textbook, but to teach the inside and outside aspects fo knowledge total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attemp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ere flourishing in the period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New Math movement' represents the attempts. The advocators of New Math, however, did not succeed sufficiently to understand the inside-outside view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and failed to make mathematics teachers to understand the view well. Their attention was put on to introduce the modern mathematics to school math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mathematics teacher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mathematical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Especially, s/he should not regard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written in textbook as the totality of knowledge, but inquire into the in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from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 PDF

Melvil Dewey 생애교육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연구 (A Study on the Public Libraries as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Thought of Melvil Dewey)

  • 남태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511-530
    • /
    • 2014
  • Melvil Dewey는 도서관운동가, 사상가, 교육자 그리고 선각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가로서 그의 생애는 도서관계에서는 관심 밖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Dewey의 도서관 사상의 근원은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Dewey는 도서관이 교육분야에서 수행해야 하는 기능과 역할 등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하지만, Dewey의 이러한 교육관에 대해서는 국내 연구에서는 조명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에서의 생애교육을 Dewey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소하천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Streams)

  • 김정화;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2호
    • /
    • pp.1-2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 and evaluate the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Streams(WEES) to pre-service teachers. WEES is developed to help the teachers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of incorporating a local environment into their inquiry teach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the junior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ajor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educational criticism about WEES was performed. The subject students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program application, after which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elements and content organization of the WEES were found to be implemented in the application process in a satisfying level. In the content organization of the program, the preliminary preparation, visual assessment, and inquiry planning we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inquiry purposes. The Intrinsic val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also demonstrated in the implementation elements and content organization. Overall, the stream turned out to have a great val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 potential as a place and materia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great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WEES took into account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SION based on the watershed concept, but also the situations of Korea'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lo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studies.

  • PDF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신임교수에게 주는 의미 탐색 (Seeking the Meaning of Microteaching Experience to New Professors)

  • 조용형;서영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721-738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niversity authorities with substantial help in enforcing Microteaching to new professors based on qualitative study.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eleven new professors working for D college located in Busan and the study lasted for ten months from May 2011 to February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new professors took cognizance of Microteaching both as a burdensome task and as a teaching evaluation tool. Second, they had difficulties confronting their exposed teaching realities and accepting the results of teaching evaluation. Third, Microteaching contributed to the shift of professors' attitude from teacher's perspective to students' and the shift of their cognizance from the existing teaching attitude to the improved, innovative, and open teaching attitude. Lastly, this paper proposes that Microteaching enforcement should be made through professors' voluntary participation based on the change of professors' cognizance on Microteaching and Microteaching consulting should be a progress-oriented process rather than an evaluation-oriented process.

언어불안감에 대한 영어 교사와 학습자간의 인식 차이 (Differences in teachers' and learners' perspective on ELT learners' anxiety)

  • 김보민;김해동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161-182
    • /
    • 2010
  •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differences in learners' and teachers' perspectives on EFL learners' language anxiety,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teachers coping with learners' language anxiety, and to find how learners cope with their language anxiety. The research was effectuated by means of a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2 teachers and 230 students in four different school settings. There were the $6^{th}$ grade 50 primary school learners, the $2^{nd}$ grade 60 middle school learners, the $11^{th}$ grade 60 high school learners of, and the $2^{nd}$ and $3^{rd}$ grade 60 university learners. There were also 26 primary school teachers, 22 middle school teachers, 21 high school teachers, and 23 university teacher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ponses among the respond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ir particular learners' anxiety sources: especially in the case of primary school setting, the activity of answering teachers' questions for teachers was the primary source of learner's anxiety,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settings, translating sentences in English into Korean, in the case of high school setting, checking unknown vocabulary, and in the case of university settings, university learners felt anxious when classmates spoke fluentl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se aspects should be handled carefully to motivate certain group of learn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