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relationship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Utility of Selected Non-coding Chloroplast DNA Sequences for Lineage Assessment of Musa Interspecific Hybrids

  • Swangpol, Sasivimon;Volkaert, Hugo;Sotto, Rachel C.;Seelanan, Tosak
    • BMB Reports
    • /
    • 제40권4호
    • /
    • pp.577-587
    • /
    • 2007
  • Single-copy chloroplast loci are used widely to infer phylogenetic relationship at different taxonomic levels among various groups of plants. To test the utility of chloroplast loci and to provide additional data applicable to hybrid evolution in Musa, we sequenced two introns, rpl16 and ndhA, and two intergenic spacers, psaA-ycf3 and petA-psbJ-psbL-psbF and combined these data. Using these four regions, Musa acuminata Cola(A)- and M. balbisiana Colla (B)-containing genom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Some triploid interspecific hybrids contain A-type chloroplasts (the AAB/ABB) while others contain B-type chloroplasts (the BBA/BBB). The chloroplasts of all cultivars in 'Namwa' (BBA) group came from the same wild maternal origin, but the specific parents are still unrevealed. Though, average sequence divergences in each region were little (less than 2%), we propose that petA-psbJ intergenic spacer could be developed for diversity assessment within each genome. This segment contains thre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two indels which could distinguish diversity within A genome whereas this same region also contains one SNP and an indel which could categorize B genome. However, an inverted repeat region which could form hairpin structure was detected in this spacer and thus was omitted from the analyses due to their incongruence to other regions. Until thoroughly identified in other members of Musaceae and Zingiberales clade, utility of this inverted repeat as phylogenetic marker in these taxa are cautioned.

한국에 입항한 선박 밸러스트 수에 존재하는 해양 부유생물 (Marine Plankton in Ballast Water of Ship Entering Korea)

  • 유정규;송태윤;홍현표;정경미;명철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57-65
    • /
    • 2006
  • Various marine plankton were observed in the ballast water of vessels entering Incheon and Busan harbors. The ballast water of which age ranged from 2 to 54 days origina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New Zealand, Taiwan, Singapore, Japan, Hong Kong and Pakistan, and from the Pacific Ocean. The total number of marine plankton taxa in 9 ballast tanks of different ships was 170: 90 phytoplankton, 24 protozoa and 56 zooplankton. The most diverse taxonomic groups were diatoms in phytoplankton, ciliates in protozoa and copepods in zooplankton. Classifying the specimens by size, above 50% of the number species of phytoplankton belonged to the size range between 50 and 150 Un. Protozoa and metazooplankton were found frequently in the size range between 50 and $120{\mu}m$ and 500 and $1,000{\mu}m$,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es number and the age of ballast water was not significant. This is because of difference of filtration amounts derived from discordance of collecting samples. Among plankton observed in ballast water, some harmful algae and non-indigenous aquatic species were identified.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whether these species can inhabit in Korean coastal waters in further study.

민호두조개 (Acila divaricata vigila) 의 16S rRNA 유전자를 기초로 한 분자계통 분류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Acila divaricata vigila based on the Partial Sequence of 16S rRNA Gene)

  • 김봉석;강세원;정지은;박중연;강정하;한연수;고현숙;안철민;이준상;이용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5-400
    • /
    • 2011
  • Phylogenetic analyses on the Phylum Mollusks has so far been conducted by many researchers in the world. However, there was no report on taxonomic analysis on Acila divaricata vigila which is belonging to Class Bivalvia, Subclass Protobranchia. In this study, we performe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n Acila divaricata vigila using 16S rRNA sequence through maximum likelihood method. As a result, it is clearly divided into the legion of mollusk classification unit (when you zoom in order) and represented to support the current classification in the Phylum Mollusca belong to Class Bivalvia, Subclass Protobranchia, Subclass Pteriomorphia, Subclass Paleoheterodonta, Subclass Heterodonta and Subclass Anomalodesmacea.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n Acila divaricata vigila using 16S rRNA gene and these data suggests that 16S rRNA gene will be useful for analyzing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Subclass Protobranchia.

한국산 잔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Kaibarae(Gasterosteidae, Pisces)의 인판의 발달 (Development of the Scutes in Eightspine Stickleback, Pungitius sinensis Kaibarae (Gasterosteidae, Pisces) from Korea)

  • 채병수;양홍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4-82
    • /
    • 1996
  • 금호강의 한 지류인 자양천에 서식하고 있는 잔가시고기 Pungitius sinensis kaibarae(Tanaka)의 인판 발생과정을 조사하였다. 인판의 발생 순서는 체장 13mm경에 미병부에서 최초로 나타났으며 체장 16mm경에는 배지느러미가시의 상부에 흉부인판이 나타났다. 그후 이 두 점을 기점으로 하여 앞뒤로 인판이 차례차례 발생하여 체장 20mm경에 서로 연결되어 trachurus형의 배열이 완성되었다. 체장 22mm경에는 인판의 수가 32-33개로서 성체와 거의 같아졌다. 인판의 발달 상태는 어체의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체장 25mm경에는 최전방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인판이 후기의 상태로 되었다. 최전방의 인판은 성체가 되어도 대부분이 중기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모든 인판은 측선의 neuromast주위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최전방의 5개까지의 인판위에는 인판이 발생하지 않는 추가적인 neuromast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일본산 잔가시고기와의 관계 및 추가적인 neuromast 발견의 계통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Cypriniformes, Cyprinidae) 후각기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성 연구 (Structure and Histological Characters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Microphysogobio yaluensis (Cypriniformes, Cyprinidae))

  • 김현태;이용주;김형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61-166
    • /
    • 2018
  •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의 후각기관과 서식처 및 생태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 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은 외부적으로 전비공, 후비공 그리고 비경계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22~24개의 후판들과 비선으로 구성되었다.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감각상피는 후감각신경, 지지세포, 기저세포들로 구성되었으며, 비감각상피는 층상상피세포, 비감각섬모세포, 산성과 중성을 갖는 황점액소의 점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각기관들의 특징들은 돌마자의 높은 후각능력과 의존성 그리고 서식처 환경에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분류학적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chinostoma revolutum: Metacercariae in Filopaludina Snails from Nam Dinh Province, Vietnam, and Adults from Experimental Hamsters

  • Chai, Jong-Yil;Sohn, Woon-Mok;Na, Byoung-Kuk;Nguyen, Van D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49-455
    • /
    • 2011
  • We detected metacercariae of Echinostoma revolutum in Filopaludina sp. snails purchased from a local market in Nam Dinh Province for the first time in Vietnam. Adult flukes were harvested from experimentally infected hamsters at days 14 and 17 post-infection. The metacercariae were round, $170-190{\mu}m$ (n=15) in diameter, with a cyst wall thickness of about $12{\mu}m$. A total of 37 collar spines were arranged around the head collar, and large excretory granules were seen in 2 canals of the excretory bladder. The 14-day old adult flukes were elongated, ventrally curved, and $5.0-7.2{\times}0.8-1.3mm$ (n=20). The head collar had a total of 37 collar spines arranged in 2 alternating rows, including 5 corner spines on each side. The cirrus sac contained a saccular seminal vesicle, a prostatic gland, and an unarmed cirrus. Two tandem testes were smooth or slightly lobed. Eggs were ovoid to elliptical, $110-118{\times}70-75{\mu}m$.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similar to those of E. revolutum and E. jurini. We tentatively identified it as E. revolutum because the validity of E. jurini remains to be elucidated. The taxonomic relationship of E. revolutum and E. jurini is discussed.

한국산 비짜루목 및 백합목(백합강)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paragales and Liliales (Liliopsida))

  • 장창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9-465
    • /
    • 2002
  • 분자생물학적 자료에 의한 한국산 백합강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2가지의 다른 자료, 즉 엽록체 DNA인 rbcL 및 atpB sequence 자료분석에서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계통수를 얻었다. 즉, 한국산 백합강은 Dahlgren 등의 분류체계에 의한 비짜루목, 백합목, 마목의 3목으로 구분되었다. 이중 비짜루목과 백합목의 유연관계를 추론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에서 마목의 분류군이 군외분류군으로 사용되었다. 두 엽록체 DNA인 rbcL 및 atpB sequence 분석에서 붓꽃과는 백합과 보다는 비짜루과에 더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넓은 의미의 Narthecaceae (종전의 Melanthiaceae [국명부재]에 속한 분류군)는 비짜루목이나 백합목에 속하는 분류군들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전의 은방울꽃과 [Ruscaceae] 내에 취급되었던 애기나리속, 나도옥잠화속, 죽대아재비속 등은 각각 Colchiaceae, 백합과, Caloghortaceae로 이전 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마지막으로 한국산 백합강에 속하는 과의 체계에 대해서 토의하였다.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Acanthamoeba spp. based on PCR-RFLP analyses of mitochondrial small subunit rRNA gene

  • Yu, Hak-Sun;Hwang, Mee-Yul;Kim, Tae-Olk;Yun, Ho-Cheol;Kim, Tae-Ho;Kong, Hyun-Hee;Chung, Do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3호
    • /
    • pp.181-188
    • /
    • 1999
  • We investigated the value of mitochondrial small subunit rRNA gene (mt SSU rDNA) PCR-RFLP as a taxonomic tool for Acanthamoeba isolates with close inter-relationships. Twenty-five isolates representing 20 spec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in nuclear 18s rDNA analysis, two type strains (A. astronyxis and A. tubiashi) of morphological group 1 diverged earliest from the other strains, but the divergence between them was less than in 18s riboprinting. Acanthamoeba griffini of morhological group 2 branched between pathogenic (A. culbertsoni A-1 and A. healyi OC-3A) and nonpathogenic (A.palestinensis Reich, A. pustulosa GE-3a, A. royreba Oak Ridge, and A lenticulata PD2S) strains of morphological group 3. Among the remaining isolates of morphological group 2, the Chang strain had the identical mitochondrial riboprints as the type strain of A. hatchetti. AA2 and AA1, the type strains of A. divionensis and A. paradivionensis, respectively, had the identical riboprints as A. quina Vil3 and A. castellanii Ma. Although the branching orders of A. castellanii Neff, A. polyphaga P23, A. triangularis SH621, and A. lugdunensis L3a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18S riboprinting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generally coincided well with those from 18S riboprinting. Mitochondrial riboprinting may have an advantage over nuclear 18S rDNA riboprinting beacuse the mt SSU rDNAs do not seem to have introns that are found in the 18S genes of Acanthamoeba and that distort phylogenetic analyses.

  • PDF

한국산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과 민물검정망둑(T.brevispinis)의 분류학적 고찰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59-377
    • /
    • 1995
  • 전국에서 채집된 검정망둑과 민물검정망둑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 두 종은 반문형태상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유전자 분석결과에서도 두 종은 3개의 유전적 표식인자 (Me-1, Gp-4, Aco)를 가지는 별개의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전적 근연치는 S=0.813 , 유전적 차이치는 D=0.192로 종 수준 이하의 유전적 분화를 보였으며두 종의 동서하천에서 미세분포 상황 및 생식적 격리 수준을 조사한 결과, 두 종은 서식처 분리가 ENfut하여 검정망둑은 주로 염수역에, 민물검정망둑은 주로 담수역에 분포하며 이들 사이에 유\ulcorner 교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서식처 분리가 깨진 여천 방죽천 집단의 경우, 두 종간에는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며 F2 이상의 잡종개체를 포함하여 높은 비율(25.6%) 의 자연잡종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다 두종은 교배전 격리기작 (prmatign isolating mechanism) 이 불완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F-statistics 분석결과 $F_{IS}$(inbredding coefficient) 값은 두 종간에 자유교배가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 검정망둑과 민물검정망둑은 현재 아종에서 종으로 분화중에 있는 반종(semispecies)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학명은 T.obscurus obscurus(검정망둑)와 T.obscurus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대극속 Meleuphorbia아절의 화분형태학적 연구 (Pollen Morphology of Euphorbia Subsection Meleuphorbia)

  • 노미애;박기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29-338
    • /
    • 2008
  • 대극과 대극속 Meleuphorbia아절의 한계와 근연 분류군과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Meleuphorbia아절에 속한 3종과 근연 분류군에 속하는 9종을 포함하여 총 12종의 화분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8개의 정량 화분 형질을 이용한 수리분석을 바탕으로 2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화분의 표면 무늬가 미세유공상인 Type I (E. epicyparissias, E. inermis, E. pillansii, E. obesa, E. bubalina, E. meloformis, E. nesemanii, E. jansenvillensis), 화분의 표면 무늬가 추문상인 Type II (E. longituberculosa, E. monteiri, E. caput-medusae, E. grantii). 화분 형태학적으로 Meleuphorbia아절은 자연분류군이 아닐 가능성이 크며, Meleuphorbia아절에 속하는 종들은 Anthacantha아절, Treisia절, Medusea절에 속한 종들과 유연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함께 하나의 분류군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