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key & descrip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Mocyta Mulsant & Rey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Coleoptera, Staphylinidae, Aleocharinae)

  • LEE, Seung-Gyu;AHN, Kee-Jeong
    • Entomological Research
    • /
    • 제48권6호
    • /
    • pp.499-504
    • /
    • 2018
  •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Mocyta Mulsant & Rey in Korea is presented. The genus is represented in Korea by three species including Mocyta jani Lee & Ahn, sp. nov. and M. vivida (Sharp), comb. nov. A key to Korean species, descriptions, habitu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First Report of the Lichen Species, Heterodermia flabellata (F$\acute{e}$e) D. D. Awasthi, and Updated Taxonomic Key of Heterodermia in South Korea

  • Jayalal, Udeni;Joshi, Santosh;Oh, Soon-Ok;Park, Jung-Sh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0권3호
    • /
    • pp.202-204
    • /
    • 2012
  • Heterodermia flabellata (F$\acute{e}$e) D. D. Awasthi was found as a new lichen record in Jeju Island of South Korea in 2012. A detailed taxonomic description and comments are provided for the taxa. An updated key for all recorded species of Heterodermia from South Korea is given.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Achnanthes (Bacillariophyta) in Korean coastal waters

  • Lee, Sang Deuk;Park, Joon Sang;Lee, Jin Hw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391-406
    • /
    • 2013
  • A study on the fine structure of the genus Achnanthes species (Bacillariophyceae) is carried out at 92 stations for taxonomic purposes from January 2009 to April 2013 in Korean marine water, freshwater and brackish water. Twelve Achnanthes species are identified based on a variety of taxonomic characters by means of light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hese, seven species, Achnanthes cocconeioides, A. groenlandica, A. javanica, A. kuwaitensis, A. parvula, A. pseudolongipes, and A. yaquinensis, are newly recorded in Korean waters. All 12 species are documented concerning a taxonomic key, description, distribution, seasonality, remarks and photographs. Twenty three Achnanthes taxa are identified in the survey.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from South Korea and Russian Far East with a key to the Palearctic species of the genus Brachyserphus Helle´n (Hymenoptera, Proctotrupidae)

  • Choi, Moon-Bo;Kolyada, Victor A.;Lee, Jong-W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237-244
    • /
    • 2012
  • A taxonomic study of the Palearctic species of the genus Brachyserphus is presented. Two species are newly described as B. acuticaudatus sp. n. and B. semipunctatus sp. n. from South Korea and the Russian Far East. B. striatopropodeatus (Kolyada 1997 syn. n.) is synonymized under B. lucens (Provancher 1883) and a key to the Palearctic species is provided.

한국산 둥근전복속 (고복족상목: 전복과) 의 분류 및 기재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of Genus Nordotis (Gastropoda: Vestigastropoda) from Korea)

  • 이준상;원승환;김수강;임한규;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6
    • /
    • 2014
  •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둥근전복속 2종 및 2아종 (Nordotis madaka, N. gigantea, N. discus discus, N. discus hannai) 에 대한 형태학적 기재와 검색표를 제시하였고, 몇몇 혼용되어 사용된 우리말 이름을 정리하여 제언하였다.

한국산 꾹저구속(농어목: 망둑어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Gymnogobius(Pisces, Gobiidae) from Korea)

  • 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5-77
    • /
    • 2010
  • 한국산 꾹저구속 (Genus Gymnogoius, 국명신청) 어류의 정확한 학명 사용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주요 하천과 연안의 기수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대상으로 이들의 외부형태 형질을 분석하여 분류학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산 꾹저구속 어류는 날망둑 G. breunigii (Steindachner), 살망둑 G. heptacanthus (Hilgendorf), 왜꾹저구 G. macrognathos (Bleeker), 얼룩망둑 G. mororanus (Jordan and Snyder), 무늬꾹저구 G. opperiens Stevenson, 검정꾹저구 G. petschiliensis (Rendahl), 꾹저구 G. urotaenia (Hilgendorf)의 7종으로 분류되었다. 아울러 한국산 꾹저구속 어류 7종에 대한 분포 및 주요 계수 계측형질과 형태적 특정을 기재하고 각 종에 대한 새로운 분류 검색표을 제시하였다.

Taxonomic entities of two Korean plant taxa: Vicia bifolia (Fabaceae) and Cyperus compressus (Cyperaceae)

  • CHOI, Seung Se;KIM, Jonghwan;Kim, Myoung Jun;KIM, Chul Hwa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3-371
    • /
    • 2021
  • Vicia bifolia Nakai (Fabaceae) and Cyperus compressus L. (Cyperaceae) have been ambiguous in terms of their distribution and taxonomic entities in Korea. The existence of these two taxa was confirmed when V. bifolia and C. compressus was found on Jellabuk-do, Gyeongsangnam-do, and Jeju-do. Vicia bifolia is similar to V. unijuga by having a pair of leaflets but is distinguished by the length of the petiole, the size and degree of longevity of the bracts, and the shape of the stipules. Cyperus compressus was found on Jeju-do, is similar to C. tenuispica, C. haspan, and C. flaccidus, but is distinguished by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inflorescences and the size of scales and achenes. A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related species, a key to the taxa and photographs of Korean Vicia bifolia and Cyperus compressus are provided in this study.

한국산 성대과 (횟대목)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Triglidae (Pisces, Scorpaeniformes) from Korea)

  • 이충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3
    • /
    • 2000
  • 1986년부터 1999년까지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안을 중심으로 채집된 성대과 어류의 주요 계수, 계측 형질과 형태적 특징들을 분석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산 성대과 어류는 3속 9종으로 보고되었으나, 조사 결과 밀성대속 Pterygotrigla에는 밑성대 P. hemisticta, 성대속 Chelidonichthys에는 성대 C. kumu, 달재속 Lepidotrigla에 는 가시달갱이 L. japonica, 꼬마달재 L. guentheri, 쌍뿔달재 L. alata, 뿔성대 L. kishinouyei, 고지달재 L. kanagashira, 달강어 L. microptera, 히메성대 L. hime, 밀강달이 L. abyssalis 등으로 모두 3속 10종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는 지금까지 서식이 보고되지 않았던 L. kanagashira를 확인하여,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보고하면서, 한국명으로는 "고지달재"라고 명명하였다. 아울러 한국산 성대과 어류 3속 10종에 대한 주요 계수, 계측 형질과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면서 각 종에 대한 새로운 분류 검색표를 작성하여 제시하고,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와 지리적 분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벼속(Oryza) 식물규소체 검색표와 기재 (Description of the phytoliths of the genus Oryza, with a key to species)

  • 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99-215
    • /
    • 2009
  • 벼속 17 분류군 엽신의 식물규소체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의 후반사전자상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검색표와 기재를 실시하였다. 검색표는 향축면 및 배축면에 대해 중륵위와 수적세포 규소괴, 유두상돌기, 유혁모, 대모, 미모, 기공장치 등 유래의 식물규소체의 특징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종 수준의 동정이 가능하였다. 본 속 식물의 상세한 규소체 기재와 함께 제공된 후반사전자상 사진 그리고 검색표는 식물의 동정과 고고학적 잔존물에서 출토된 식물규소체를 동정하는데 대조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