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xonomic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1초

Current taxonomic status of Eurema mandarina (Pieridae: Lepidoptera) in Korea

  • Kim, Sung-Soo;Choi, Sei-Woong;Park, Jeong Su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3권1호
    • /
    • pp.6-15
    • /
    • 2021
  • We investigated the taxonomic status of the Korean populations of Eurema hecabe (Linnaeus, 1758) based on morphology and nuclear triose phosphate isomerase (Tpi). Up to now, the Korean population of E. hecabe was classified into E. mandarina (de l'Orza, 1869)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previous study raised the possibility of the Jeju-do population to be E. hecabe based on the color of forewing's fringe. However, morph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at the Korean population found in southern areas (Gyeonsang and Jeolla provinces), including Jeju-do is E. mandarina. In particular, the external morphology of autumn seasonal type of the Korean population was almost same as the Japanese mainland population, which is known as E. mandarina. Furthermore, sequence analysis of Tpi gene from nine individuals of E. mandarina collected in South Korean localities including Jeju-do clearly showed that all Korean specimens truly belong to E. mandarina.

Fundamental Morphological Study of 16 Genera of Chironomid Larvae in Korea

  • Lee, Dong Ju;Park, Jae-won;Kwak, Ihn-Sil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25-129
    • /
    • 2021
  • Chironomids are a large group of invertebrates that live in various aquatic habitats. The distribution range of these invertebrates has become varied due to anthropogenic impacts; as such, their distributio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health. Adult chironomids are well known in South Korea; however, the larvae have rarely been studied due to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To address this lack of information, we collected larvae from four important rivers in South Korea and summarized their taxonomi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antennae, mandible, and mentum were used for larval taxonomic characterization.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basic morphological features and key pictorial features of 20 species of chironomids, representing 16 genera.

Taxonomic revision of the Liparis makinoana complex (Orchidaceae; Epidendroideae; Malaxidae) in Korea

  • Jungsim LEE;Dong Chan SO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0-125
    • /
    • 2023
  • On the Korean Peninsula, eleven species of the genus Liparis (Orchidaceae) have been recorded, and three species are presumed to belong to the L. makinoana complex. These are L. koreana, L. japonica, and L. makinoana. Liparis japonica and L. makinoana are distributed in South Korea, but the distribution of L. koreana has not been confirmed. Liparis japonica and L. makinoana are morphologically very similar, making it difficult to classify them. Recently, L. japonica and L. makinoana in Japan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species. One of them is an amended species of L. makinoana, and the other two species were described as new species, specifically L. longiracemosa and L. suzumushi.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species are distributed in South Korea. Here, we provide a distribution map, photographs of the three new species, and a comparison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newly recorded brittle star, Amphiophiura megapoma (Ophiuroidea: Ophiurida: Ophiopyrgidae), from the mesophotic zone in the East Sea, Korea

  • Taekjun Lee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91-297
    • /
    • 2023
  • This study introduces a newly discovered brittle star, Amphiophiura megapoma, from the mesophotic zone in the East Sea, Korea. It is the second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mphiophiura (which includes 57 species) to be recorded in Korean waters after A. sculpta. The specimen was discovered during a September 2022 survey, by SCUBA diving in the upper mesophotic zone of the East Sea, Korea. This study present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megapoma, highlighting its differences from the related species within a comprehensive taxonomic description. It provides high-resolution images of A. megapoma and a taxonomic key for Amphiophiura species in Korea.

Two Species of the Genus Grapholita (Lepidoptera: Tortricidae: Oletherutinae: Grapholitini) New to Korea

  • Jin-Sung Kweon;Yonghwan Park;Bong-Kyu B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1호
    • /
    • pp.68-72
    • /
    • 2024
  • The genus Grapholita Treitschke, belonging to the tribe Grapholitini, comprises over 150 species worldwide with the majority occurring in the Holarctic region. However, in other regions, only few species are reported owing to a lack of collection and taxonomic study. The genus includes important agricultural pests worldwide that feed on several plants in the families Fabaceae and Rosaceae. In Korea, a comprehensive taxonomic study is required as only eight species have been reported to date. In this study, two species of Grapholita Treitschke, G. latericia Komai, 1999 and G. pallifrontana (Lienig & Zeller, 1846)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 We provide redescribed and illustrated adult and available genitalia. Additionally, all available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ing localities, distribution, host plant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Gregarinidra (Bryozoa: Gymnolaemata: Flustridae) of Korea

  • Hyun Sook Chae;Ho Jin Yang;Bum Sik Min;Ji Eun 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40권1호
    • /
    • pp.35-41
    • /
    • 2024
  • Two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Gregarinidra Barroso, 1949 (Bryozoa: Gymnolaemata: Flustridae) were first found in this study from Korean waters. Gregarinidra furcula n. sp. is new to science, and G. incrustans (Silén, 1941) is newly added to the Korean fauna. Species belonging to this genus are primarily distinguished by two characteristics: interzooidal avicularia and marginal spines. The pitchforked spines clearly distinguish G. furcula n. sp. from the other Gregarinidra species, and G. incrustans shows the difference by having blunt spines and short-triangular avicularia. Gregarinidra incrustans was known to be distributed only in Japan until this species was reported from the South Sea, Korea, in the present study. This study provides descriptions of two species with detailed illustration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istributional data, and a taxonomic key to the Korean Gregarinidra species. With the addition of two species reported herein, four Korean Gregarinidra are recorded: G. corbula Seo, 1996, G. furcula new species, G. incrustans(Silén, 1941), and G. serrata (MacGillivray, 1869). Finally, Gregarinidra totals 10 species worldwide.

Impatiens furcillata Hemsl. (봉선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Impatiens furcillata Hemsl. (Balsaminaceae))

  • 지성진;김윤영;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49
    • /
    • 2010
  •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근거로 Impatiens furcillata의 분류학적 실체와 형태적 특성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I. furcillata는 줄기 및 화경에 털이 없고, 화경은 아래로 처지며, 꽃은 홍백색인 특징을 가져 다른 한국산 물봉선속의 분류군들과 명확히 구분되었다. 특히, 이와 동일한 형태적 특성을 가지는 I. hypophylla var. koreana (처진물봉선)와 I. kojeensis (거제물봉선)는 I. furcillata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I. furcillata의 국명은 '산물봉선' 대신 '처진물봉선'으로 변경하였다.

쉬땅나무속(장미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Sorbaria (Ser.) A. Braun in Asch. (Ros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0-247
    • /
    • 2018
  • 쉬땅나무속 분류군의 형태적 변이를 파악하고, 각 분류군의 식별형질을 검토하기 위해 정량적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쉬땅나무속 분류군은 화서의 직립여부, 자방 및 골돌과 표면의 털 유무, 수술의 개수, 악편의 형태 등의 정성적 형질로 크게 두 그룹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 결과, 소엽의 개수 및 크기, 화서의 너비, 악편, 화판, 골돌과, 종자의 크기 등의 정량적 형질 또한 이들 두 그룹으로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그룹 내에서는 Sorbifolia group (S. grandiflora, S. sorbifolia complex)의 경우, 측소엽의 크기와 엽맥의 수, 소엽 하면 내 선점 및 성상모의 개수, 화판, 골돌과의 크기 등의 형질이 유용한 식별형질로 파악되었으며, Kirilowii group (S. arborea complex, S. kirilowii, S. tomentosa complex) 내에서는 잎의 형질 중 정소엽과 측소엽의 크기 및 하면의 선점 및 성상모의 빈도 등이 분류군을 인식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속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결과는 추후 종 하 분류군을 포함한 쉬땅나무속 전체의 분류학적 재검토 및 분류학적 한계 설정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양지꽃족(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f the tribe Potentilleae (Rosaceae) in Korea)

  • 허경인;이상룡;김용성;박종선;이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8-69
    • /
    • 2019
  • 한국산 양지꽃족(tribe Potentilleae) 식물 7속 24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형질과 과실 미세구조 관찰 및 문헌 조사를 통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주가 암술에 위치하는 특징과 화주의 모양은 양지꽃족의 아족 및 속간 분류에 유용한 형질이었다. 딸기아족(subtribe Fragariinae)은 화주가 아기저생 또는 측생하였으며 수술에는 1개의 화분낭을 갖는 반면에, 양지꽃아족은 화주가 대부분 자방에 아정생하며, 드물게 측생하고, 수술에 2개의 화분낭을 갖는 특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딸기아족에는 물싸리속, 물싸리풀속, 검은낭아초속, 딸기속이 포함되며, 각 속은 양지꽃속과는 구분되는 독립된 속으로의 처리를 지지한다. 양지꽃속으로 처리되어 왔던 눈양지꽃은 양지꽃아족에서 유일하게 화주가 측생/아정생하는 특징과 탁엽이 엽병의 앞면에 부착하는 특징으로 독립된 눈양지꽃속으로 처리됨을 지지한다. 종 수준에서의 연구 결과 흰땃딸기(딸기속)는 식물체가 잎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작고, 한라산에서만 제한 분포하는 특징으로 특산종으로 처리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산뱀딸기(뱀딸기속)는 뱀딸기에 비하여 잎이 연한 녹색 또는 황녹색, 소엽이 얇고 다소 막질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의 소엽 등을 갖는 특징으로 뱀딸기와 잘 구분된다. 다양한 외부형태학적 변이를 보여 분류군의 한계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던 양지꽃속의 돌양지꽃 복합체와 딱지꽃 복합체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류학적 연구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분자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분계분석을 이용한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식물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The morphological study of Galium L. (Rubiaceae) in Korea)

  • 정금선;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갈퀴덩굴속(Galium L.) 18 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꽃, 열매 등의 외부형태학적 33개의 형질에 대하여 분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이용한 분계분석 결과 얻어진 계통도에서 갈퀴덩굴속은 외군과 분리되어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별되었다. Sect. Cymogaliae과 Sect. Leptogalium의 분류군들은 다계통군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절은 단계통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갈퀴덩굴속의 속내 분류에서는 줄기의 형태와 화피편의 수, 윤생엽의 수 등은 절을 구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인식되었다. 특히, 화피편 정단이 굽어지거나 편평한 형태는 속내 절 분류에 중요한 형질로 인식되었다. 또한, 절내 분류군간의 구별에는 줄기의 털의 형태, 잎의 형태, 화피편의 색, 화서, 엽두의 모양, 열매 표피면의 털의 형태 등이 유용한 식별형질이었다. 기존의 분류 동정에 이용되었던 종자표면의 털의 형태는 속내 분류에 중요한 인식 형질이였으며 특히, 윤생엽의 수, 잎의 형태는 종 분류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33개의 형태 형질 중 31개의 형질은 한국산 갈퀴덩굴속 식물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절(section) 분류 및 종 분류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