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ste and odor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6초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Added with Encapsulated Probiotic Bifidobacterium longum KACC 91563

  • Song, Min-Yu;Van-Ba, Hoa;Park, Won-Seo;Yoo, Ja-Yeon;Kang, Han-Byul;Kim, Jin-Hyoung;Kang, Sun-Moon;Kim, Bu-Min;Oh, Mi-Hwa;Ham, J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81-994
    • /
    • 2018
  • The present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encapsulated probiotic Bifidobacterium longum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fermented sausages. The B. longum isolated from the feces samples of healthy Korean infants encapsulated with glycerol as a cryprotectant was used for fermented sausages production as a functional bacterial ingredient, and its effect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inoculated with commercial starter culture (CSC). Results showed that most inoculated encapsulated B. longum (initial count, 5.88 Log CFU/g) could survive after 4 days fermentation (5.40 Log CFU/g), and approximately a half (2.83 Log CFU/g) of them survived in the products after 22 days of ripening. The products inoculated with encapsulated B. longum presented the lowest lipid oxidation level, while had higher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more desirable n-6/n-3 fatty acids than those inoculated with CSC or non-inoculated control. Moreover, the odor and taste scores in the samples made with B. longum were comparable to those in the treatment with CSC. The inoculation with the B. longum had no effects on the biogenic amine contents as well as did not cause defects in color or texture of the final products. Thus, the encapsulation could preserve the probiotic B. longum in the meat mixture, and the encapsulated B. longum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production of healthier fermented meat products.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I-가공방법에 따른 가다랭이 내장 silage의 저장 중 성분변화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Wastes from Fish Processing II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of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during Storage by the Processing Method)

  • 윤호동;이두석;서상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5
    • /
    • 1997
  • 가다랭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대량 생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유산균을 이용한 방법과 산첨가 방법에 따라 silage를 제조하고, 저장기간 중 성분변화를 검토한 결과, 산첨가 silage는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무기질의 함량이 유산균 발효 silage보다 높은 반면에, 탄수화물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았다. 특히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산균 발효 silage의 n-3 지방산 함량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산첨가 및 유산균 발효 silage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 Asp, Leu, Gly 및 Ala 이었다. 산첨가 silage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함량이 원료 내장에 비하여 $30\%$ 감소하였으나, 유산균 발효 silage는 $5\%$ 감소하였다. 또한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산균 발효 silage의 비타민 $B_1$$B_2$ 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산첨가 silage는 $B_1$ 함량만 미미하게 증가하였고, $B_2$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첨가 silage는 회갈색을 띄고 비린내 및 젓갈냄새가 났으나, 유산균 발효 silage는 다갈색을 띄고 생성된 유기산에 의하여 산미를 나타내었다.

  • PDF

홍삼 융합청국장의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변화 (Characteristic Changes in Red Ginseng Fusion Cheonggukjang Based on Hydrolysis Conditions)

  • 이명희;구영아;최명숙;권중호;김인선;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31-1037
    • /
    • 2007
  • 홍삼 융합청국장을 다양한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가수 분해 조건에 따른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protease에 따른 홍삼 융합청국장 가수분해물의 특성은 protease(KMF-G)가 가수분해도, 칼슘결합능,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전용해능과 ACE 저해활성 또한 87.10 unit, 67.1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rotease(KMF-G) 농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0.02%에서 적합하였다. 홍삼 융합청국장의 가수분해시간에 따른 영향은 60분과 90분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홍삼 융합청국장 가수분해물의 불쾌취와 쓴맛은 60분 이상에서 개선되었으므로 최적 가수분해시간은 60분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홍삼 융합청국장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9.197 mg/g이고, 홍삼 융합청국장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11.707 mg/g이었다. 이상의 결과 protease(KMF-G), 0.02%를 첨가하여 60분간 가수분해 하였을 때 이화학적 특성, 혈전용해능 및 ACE 저해활성이 향상된 홍삼 융합청국장 가수분해 조건을 설정할 수 있었다.

단체급식에서 사용되는 전처리 농산물의 품질 특성 분석 (The Study on the Quality of Pre-Processed Vegetables in School and Institutional Food-Service)

  • 이승주;이승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8-634
    • /
    • 2006
  • 단체급식 및 대형 할인점에서 사용 및 판매되는 전처리 농산물중 급식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감자, 당근, 양배추에 대한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품질평가를 위해 관능 품질검사와 이화학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전반적으로 대기업 급식업체에서 생산하는 전처리 농산물과 중소규모의 급식 납품업체에서 공급하는 제품 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교급식에 납품하는 업체의 전처리 농산물이 관능 품질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학교급식에서 사용되는 전처리 농산물의 품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할인점에서 판매하는 양배추, 당근, 감자의 품질은 개선의 여지가 보였다. 관능 품질 검사와 이화학적 분석 결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pH", "환원당"과 "산도"가 전처리된 양배추, 감자, 당근에서 관능 품질 검사 항목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이는 PLSR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이들 농산물의 품질 검사에서 주요 분석항목으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전반적으로 단체급식에서 사용하는 전처리 농산물의 품질은 적정한 수준으로 여겨지나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식품의 안전성임을 고려할 때 다량 급식되는 식재료의 입고에서 조리-배식단계까지 주의가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고 실제 입고 후 조리 및 배식 전 과정에서의 분석이 향후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고초균에 의한 탈지대두 Grits(Defatted Soybean Grits) 발효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fatted Soybean Grit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NUC1)

  • 김현정;이성규;지영주;황보미향;이은주;이삼빈;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79-1484
    • /
    • 2008
  • 증자한 탈지대두 grits에 B. subtilis NUCI을 2%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여 DSG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DSG 발효물 및 DSG의 단백질 함량은 $57.2{\sim}61.0%$로 청국장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함유하지 않았다. 그리고 DSG에서는 protease 및 $\alpha$-amylase의 활성이 없었으며, 점질물도 검출되지 않았으나, DSG 발효물은 청국장보다 더 큰 protease 활성, $\alpha$-amylase 활성, tyrosine 함량, 점질물 함량을 보였다. 또한 DSG 발효물은 DSG보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phenylalanine, tyrosine, glutamic acid 등이 주된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isoflavone 함량도 DSG 발효물이 DSG보다 1.6배 더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냄새 및 맛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DSG 발효물이 청국장보다 높은 값을 보여 DSG 발효물의 기호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합적인 기호도는 청국장이 DSG 발효물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돼지감자가루 복합분 국수의 제조와 품질개량제의 첨가효과 (Noodle Characteristics of Jerusalem Artichoke Added Wheat Flour and Improving Effect of Texture Modifying Agents)

  • 신지영;변명우;노봉수;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38-545
    • /
    • 1991
  • 저열량식품의 개발을 목적으로 돼지감자가루와 강력 밀가루를 25 : 75, 30 : 70, 35 : 65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분으로 국수를 제조한 결과 돼지감자가루를 25%까지 혼합하여 만든 국수는 밀가루와 유사한 면대형성을 보였으며 돼지감자가루를 $25{\sim}30%$혼합한 것에 $0.5{\sim}1.0%$의 sodium alginate, 1.0% Fremol 또는 0.5% ${\alpha}-Polygel+0.5%\;Alcarin+1%\;Fremol$을 첨가하면 면대형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색도면에서 돼지감자가루를 30% 혼합하고 sodium alginate를 첨가하여 만든 국수의 색이 표준 밀가루국수의 색에 가장 근접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조리시험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복합분 반죽의 응집성과 탄력성은 밀가루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견고성과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Sodium alginate의 첨가는 부착성과 응집성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삶은 국수에서는 복합분이 밀가루에 비하여 응집성이 증가하고 씹는감은 감소하였고 sodium alginate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돼지감자가루를 $25{\sim}30%$ 혼합한 복합분과 이에 품질개량제를 첨가한 조리국수의 색깔, 맛, 냄새, 텍스쳐에 관한 관능검사는 순 밀가루구수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국수 제조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염혼합물의 첨가가 김치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Salts Addition on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 구경형;강근옥;장영상;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28
    • /
    • 1991
  • 김치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저 김치발효 중 첨가한 염혼합물이 김치액의 고형분 함량, 점도,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염혼합물은 인산나트륨, Ca-EDTA, $NaNO_2$, 구연산염들을 두 가지로 배합한 것이었으며 이들의 첨가농도는 $0.001{\sim}0.01\;M$ 범위였다. 그 결과 김치액의 점도는 저온에서 발효시킨 경우가 염혼합물을 첨가한 김치가 약간 더 높은 비교점도를 보여주었다. 배추의 견고성은 염첨가시 약간씩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조구는 pH 4.0 근처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다. 김치액의 고형분 농도의 변화는 대조구에서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그 후 약간씩 감소하였으나 염첨가구는 계속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한편, 관능적 특성은 염혼합물 첨가구가 같은 pH범위($4.0{\sim}4.2$)에서 대조구보다 상큼한 맛과 신맛이 낮았으며 견고성과 질김성이 높았고 군덕내는 전반적으로 낮아 인산염 등 염혼합물의 첨가는 김치발효를 억제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김치의 관능적 성질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홍삼 농축액과 쌀막걸리의 동시 발효를 통한 홍삼 식초의 제조 및 품질평가 (Manufacture of the Red Ginseng Vinegar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ncentrate and Rice Wine, and its Quality Evaluation)

  • 김동국;백무열;김혜경;함영태;김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9-184
    • /
    • 2012
  • 홍삼 특유의 prosapogenin 성분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홍삼의 증숙, 건조 및 추출 공정을 최적화하여 식초에 첨가할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농축액을 0-1%의 범위로 첨가한 홍삼 발효 쌀 식초의 경우 정치 배양 20일차에 초산발효가 종료 되었으며 홍삼 농축액의 함유량이 높을수록 pH 감소속도가 늦고 감소량 또한 control에 비해 적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산도의 경우 농축액 농도 별 초산 생성 속도에는 차이는 있으나 농축액 함유량이 산도 변화 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의 홍삼 농축액을 후 첨가한 식초의 경우 71.75 mg/g의 조사포닌 함량을 가진 반면에 0-1% 범위의 농축액을 주모에 첨가하여 초산 발효를 동시에 진행한 경우 발효 진행 중 상당한 조사포닌 손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두 식초를 가지고 관능검사를 진행한 결과 향기, 맛 및 전체적인 평가에서 농축액과 초산발효를 동시에 진행시킨 홍삼발효식초가 더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시판 멸치 액젓의 품질과 그 액젓으로 제조한 김치의 품질 연구 (The Study on the Qualities of Commercial Anchovy Sauces and Kimchies Prepared with Different Anchovy Sauces)

  • 문갑순;송영선;류복미;전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2-277
    • /
    • 1997
  • 시판 멸치액젓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협제품(A, B), 중소기업제품(C, D), 유명제품(E-H)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경제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멸치 액젓의 염도는 19.8~26.0% 범위였으며, F > H > B > E > A > C = G > D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9.8%의 염도를 나타낸 D 제품은 탁도가 높고 부패취가 강하였으며, 암노니아 함량이 매우 높아 일정 이하의 염도는 젓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제품들의 염도는 25% 전후를 나타내었다. 총 단백질 함량은 2.51~2.04% 범위였으며 A > C > B > F > E > D > G > H 순으로 높아 수협의 두 제품(A, B)과 중소업체 C제품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갈색도는 C, A제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되는 멸치액젓의 가격을 1$\ell$로 환산한 결과 A 제품이 가장 비싸며, B 제품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멸치액젓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B > G > A > F > E > C > H > D 순으로, 냄새는 B > G = C > F > A > E > H > D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짠맛은 I > C > F > G > H > D > B > A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서 측정한 염도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전체적 인 맛은 B > A > C > H > E = F > G > D 순으로 점수가 높아 B 제품의 맛이 가장 좋고 D 제품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우수하게 평가된 A, B, C제품과 시장 점유율이 높은 H 제품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에 따른 pH, 산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숙성 전반에 걸쳐 다른 제품들에 비해 C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숙성이 빨리 진행되었고, A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숙성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외관은 2주째 C 김치에서 유의적으로 좋았고, 냄새는 4주째 A, H 김치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머지 항목들에서 멸치액젓 제품 사이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숙성 전반에 걸쳐 A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가 다소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개벌에 의한 수확벌채가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learcutting of Timber Harvesting on Stream Water Quality)

  • 박재현
    • 생태와환경
    • /
    • 제35권1호통권97호
    • /
    • pp.45-51
    • /
    • 2002
  • 이 연구는 성숙활엽수림 개벌수확이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1993년부터 2001년까지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남부연습림내 제26임반에서 1993년부터2001년까지 계류수질에 영향하는 토양의 화학성분과 계류수질을 측정 ·분석한 결과, 벌채 후 1년, 2년이 경과되는 동안 전질소, 치환성 이온인 $K^+,\;Na^+,\;Ca^{2+},\;Mg^{2+}$등은 벌채 전보다 양적으로는 감소하였으나, 벌채 8년 후에는 벌채 전으로 점차 회복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양의 화학성분은 변화하지 않았다. 벌채 당해년도와 그 다음 해, 그리고 벌채 5년, 8년 후 벌채지 계류수의 BOD, pH등은 하천수질환경기준 상수원수 1급수이었으며, Cd, Pb, Cu등 중금속과 유기인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계류수의 색도, 탁도, 냄새, 맛, $NH_4\;^+-N,\;NO_3\;^--N$,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등 8개 항목은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여 벌채지 인근지역 주민들이 음용수로 이용하는 데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계류수에 용존되어 있는 양이온총량, 음이온총량, 이온총량은 비벌채지와 벌채지가 합류하는 유역이, 비벌채지 유역과 벌채지 유역의 계류수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그 값의 차는 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