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p pattern similarity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탭 패턴 유사도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즐겨찾기 스마트 폰 UX/UI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User-Customizable Favorites-based Smart Phone UX/UI Using Tap Pattern Similarity)

  • 김영빈;곽문상;김유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95-10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화면터치에 따른 탭 동작을 패턴 화하여 인식할 수 있는 UX/UI와 탭 패턴인식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사용자 맞춤형 즐겨찾기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하였다. 스마트 폰 사용자가 입력패드에 손가락으로 탭 하는 동작들을 패턴으로 생성하고, 이 탭 패턴에 스마트 폰에서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입력패드를 이용하여 탭 패턴을 입력했을 때, 탭 패턴 유사도를 측정하여 등록된 탭 패턴과 유사하면 설정된 스마트 폰의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탭 패턴에 대하여 높은 인식률과 입력 종료 후의 지연 시간 단축을 보장함을 보여주었다.

인삼 신품종의 뿌리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패턴비교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s and Pattern Similarity Between Root Part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안인옥;이성식;이장호;이미자;조병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1호
    • /
    • pp.15-18
    • /
    • 2008
  •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고풍이 각각 18.9 mg/g, 596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연풍, 금풍, 선풍이 뒤를 이었으며, 천풍은 각각 8.0 mg/g, 209.5 mg/g으로 고풍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부위별로 보면 뇌두의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연풍이 가장 높았으며, 동체와 지근 및 세근에서는 고풍이 높았다. 뿌리와 각 부위의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은 지근과 뇌두가 각기 0.95, 0.94로 높았으며 동체와 세근은 각기 0.78, 0.80으로 다소 낮았다. 지근에서 품종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을 보면 천풍, 연풍, 고풍, 금풍이 각기 0.98, 0.98, 0.96, 0.98로 아주 높았으며, 선풍은 0.87로 다소 낮았다. 뿌리와 각 부 위의 진세노사이드 상관계수는 지근에서 0.843으로 가장 높았으며 동체, 세근, 뇌두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단위함량과 총 함량의 상관계수는 0.93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고려인삼의 부위간 무기성분 분포 및 상관관계 (Distribution and Rel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Various Parts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종화;심상칠;박훈;한강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55-64
    • /
    • 1980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ineral nutrients, among various Parts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as investigated to understand ginseng nutrition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Five·year old ginseng plants grown under four different nutritional environments were sampled and separated into leaf, petiole, stem, rhizome, cortex and epidermis of tap foot, central part of tap root, cortex and epidermis of lateral root, central part of lateral root, fine root in the middle of truly, for chemical analysis. Between mineral nutrients in root, N and P showe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and with Mg and Cu while all other elements (K, Ca, Mg, Fe, Mn, Zn, Cu, B) showed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ach other. In shoot, number of mineral nutrient pairs haying significant relation was much less than in root. (Negative: P with Ca or B, K with N, Fe, Mn or Cu, Positive: N with Mg, Fe, Mn or Cu, K with Zn, Ca with Mg, Zn, or B, Fe Mn Cu each other, Mn with B.) The number of pairs having significant correlation in whole plant was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number in root but three of them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distribution pattern similarity of mineral contents among various parts wa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physiological significance in Korea ginseng plant.

  • PDF

종별 동체 유리아미노산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Tap Root in Panax species)

  • Lee, Mee-Kyoung;Park, H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91-298
    • /
    • 1996
  • Free amino acid (FAA) compositions in the central part (pith-xylem : P-X) and the outer part (phloem-cortex : P-C) of root were investigated for P ginseng (P.g), p. quinque-folium (P.q) an, B P nutoginsen (P.n) by an amino acid analyzer. Total free amlno acids content (TFAA) was highest in p.맥 and lowest in p.n. The TFAA of P-Xs were higher than those of P-Cs in these Panax species except p.n. The higher the TFAA in P-X, the higher the ratio of TFAA in P-X to that in P-C. Seven- teen free amino acids and ammonia were identified, and four unknown peaks appeared before the usual amino acids eluted. The total aspartic acid equivalent of these unknown peaks was corresponded to 77% of known TFAA in P-C of p.n, 17% in P. n, and 7% in p.q. The pattern of unknown peaks of p.g was different from p.q and similar to P.n. In all samples six major amino acids and ammonia accounted for 90~95% of TFAA. Arginine was comprised from 29% (P.n) to 43% (P.g) by amole as amino acid and from 50 to 71% by amole as nitrogen (N amole) in TFAA. Ammonia was the second abundant one by amole and the third by Npmole. Histidine was the second by Npmole. Praline was one of major FAA in p.q. Pattern similarity of FAA composition (excluding Arg and Am) by simple correlation was closer between P-C of p.g and P-X of p.q than between both P-Xs and quite different between the P-X of p.g and that of p.n. The pattern similarities of major FAA percent abundance excluding Arg and Am were significant only between P-X and P-C of the same species. Arginine content (amole) had positive correlation (r=0.859, p=0.05) with Arg/Am among species. Ammonia content was higher than arginine in p.n. Tryptophan content was greatest in p.n among species and higher than lysine only in p.n. The ratios of TFAA to N(W/W) were in the range of 3.89~4.14 for TFAA and 3.61~3.92 for TFAA plus ammonia.

  • PDF

영양액재배 인삼근의 진세노사이드 조성에 미치는 N.P.K.의 영향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Root Grown with Nutrient Solution)

  • 박훈;이미경;이종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1호
    • /
    • pp.78-82
    • /
    • 1986
  • 버미큐라이트 폿드 시험으로 묘삼(苗蔘)의 양액재배(養液栽培)에서 N.P.K.의 수준(水準)을 달리하여 근중 ginsenoside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결제 또는 증가는 사포닌 함량(含量)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였다. 사포닌 함량에 영향을 가장 크게 주는 것은 질소이고(15.5%에서 8.9%) P.K.의 순(順)이었다. 각 ginsenoside 함량에서도 유사(類似)한 결과를 보였다. 양분환경변화에 의한 함량변이(含量變異)의 순위(順位)는 $Rd>Rb_1>Rg_1+Rf>Rc>Rg_2{\geqq}Rb_2>Re$로 Re가 가장 둔감하며 다른 요인에 관하여도 둔감할 것으로 보였다. Diol 총량이 triol 총량보다 민감하나 이들의 비(比)는 절반의 변이계수를 보였다. 영양조건에 의한 각(各) ginsenoside의 변이(變異)는 그 함량(含量)과는 무관(無關)하였다. Ginsenoside pattern의 유사도(類似度)는 총 사포닌 함량에 차이가 큰 처리간에서 낮아졌다. 뿌리의 생육(生育)은 수도수구(水道水區)에서만 유의성있게 적었다.

  • PDF

컴퓨터 비전 기술을 이용한 볼트 탭 형상 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Bolt Tap Shape Inspection System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 박양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03-309
    • /
    • 2018
  • 컴퓨터 비전 기술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인간의 눈의 기능을 기계가 수행 할 수 있도록 카메라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취득하고,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석하고 판별한 후 생산부품의 양품과 불량을 판별하는 부품 검사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볼트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볼트 탭의 유무를 컴퓨터 비전 기술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불량품을 선별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형상검사 방법으로는 라인 스캔방식으로 검사영역의 시작점과 끝점의 위치를 파악하여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볼트 탭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원형 스캔방식으로 검사영역의 평균 밝기 값의 차이를 측정하여 유사도를 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두 종류의 볼트 탭의 검사 성능실험에서 총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분당 300개 검사가 가능하며, 완벽한 검사 정확도를 나타내어 생산라인에서 검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