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nnin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24초

견의 탄닌처리에 관한 연구(IV) -탄닌처리포의 물성변화- (A Study on the Tannin Treatment of Silk Fabrics(IV) -Change of Properties in Tannin Treated Fabrics-)

  • 설정화;최석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23
    • /
    • 1999
  •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mosa tannin and tannic acid on change of properties and photodegradation of silk fabrics according to tannin concentration and irradiation ti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concentration of tannin increased, thickness, fabric count and stiffness showed no difference. But tensile strength were increased, and elongation were decreased. 2. When concentration of tannin is high, tannin adhered to surface of fabrics. 3. fR absorption bands of untreated silk fabric appeared at $3400cm^{-1},\; 1640cm^{-1},\;1445cm^{-1},\;1235cm^{-1},\;and\;675cm^{-1}$, but those of silk fabric treated with tannic acid appeared at $1710cm^{-1}\;and\;3400cm^{-1}$ by treatment of mimosa tannin, respectively. IR absorption bands of photoirradiated silk fabrics appeared at $3400cm^{-1},\;3280cm^{-1},\;2960cm^{-1},\;2920cm^{-1},\; 1720cm^{ -1},\;1380cm^{-1},\;1280cm^{-1},\;1120cm^{-1},\;and\;1070cm^{-1}$. But those bands were decreased at the silk fabrics treated with mimosa tannin and tannic acid.

  • PDF

밤나무 품종별(品種別) 함유성분(含有成分)의 시기적(時期的) 변화(變化) (Seasonal Variation of Some Substances in Chestnut Shoots)

  • 위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1-28
    • /
    • 1976
  • 밤나무 1~2년(年) 지(枝)에 함유(含有)된 tannin, catechol tannin, pyrogallol tannin, 당(糖), 전분(澱粉), 및 조단백질등(粗蛋白質等)의 물질(物質)을 시기적(時期的)으로 추출(抽出) 분석(分析)하여 그 물질(物質)들의 시기적(時期的) 동향(動向) 그리고 밤나무 혹벌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과 감수성(感受性) 품종간(品種間)의 차이점(差異點)을 밝히고 밤나무 재배상(栽培上)의 문제점(問題點)으로 되어있는 밤나무 혹벌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품종별(各品種別) tannin의 평균적(平均的) 함율(含率)은 Tsuguba 0.730%, Ginyose 0.845%, Shimokatsugi 0.507%, Taisyo-wase 0.520%이었으며 년중(年中) tannin의 양적(量的) 변화(變化)는 6월(月)부터 9월(月)사이에 가장 낮은 함율(含率)을 보이나 9월이후(月以後) 상승(上昇)함을 알수있었고 6월(月)과 9월(月) 사이의 품종별(品種別) 함율(含率)은 Shimokatsugi와 Taisyo-wase에 비(比)하여 Tsuguba와 Ginyose가 높은 함율(含率)을 나타내었다. 2. 각품종별(各品種別) catechol tannin의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은 상대적(相對的) 용량(容量)으로 비교(比較)할 때 Tsuguba 0.0069%, Ginyose 0.0075%, Shimokatsugi 0.0041%, Taisyo-wase 0.0038%이었고 2월이후(月以後) 10월(月)까지 양적(量的)으로 큰 변동(變動)은 없으나 10월이후(月以後)부터 상승(上昇)하였으며 연중(年中)을 통(通)하여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인 Tsuguba와 Ginyose가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인 Shimokatsugi와 Taisyo-wase보다 2배(倍) 이상(以上)의 함율(含率)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catechol tannin의 양적(量的) 차(差)가 저항성(抵抗性)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에 있는 것 같다. 3. Pyrogallol tannin을 상대용량(相對容量)으로 비교(比較)하면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이 Shimokatsugi 0.0260%, Taisyo-wase 0.0270%이고 Tsuguba 0.0196%, Ginyose 0.0194%이어서 오히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인 Tsuguba와 Ginyose가 낮은 함율(含率)을 보였는데 pyrogallol tannin의 양적(量的) 저하(低下)와 catechol tannin의 양적(量的) 증가(增加)가 저항성(抵抗性)에 관계(關係)하지 않은가 생각한다. 4. 당(糖)의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은 Tsuguba 1.061%, Ginyose 1.094%, Shimokatsugi 0.961%, Taisyo-wase 0.905%로서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인 Tsuguba와 Ginyose가 타품종(他品種)에 비(比)하여 더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고 연중(年中) 양적(量的) 분포(分布)도 catecholl tannin과 비슷한 경향(傾向)이었다. 5. 전분(澱粉)은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이 Shimokatsugi 2.175%, Taisyo-wase 2.131%, Tsuguba 1.998%, Ginyose 1.854%로서 당(糖)과는 달리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인 Shimokatsugi와 Taisyo-wase에 더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으나 연중(年中) 함율(含率)의 변화(變化)는 당(糖)과 비슷하였다. 6.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연평균(年平均) 함율(含率)도 Shimokatsugi 1.575%, Taisyo-wase 1.620%, Tsuguba 1.543%, Ginyose 1.446%로서 품종간(品種間) 차(差)는 심(甚)하지 않으나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이 약간(若干) 많은 경향(傾向)이었고 연중(年中) 함율(含率)의 변화(變化)는 전분(澱粉)과 비슷하였다. 7. 밤나무 혹벌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인 Ginyose와 Tsuguba는 tannin, catechol tannin, 및 당(糖)이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보다 현저(顯著)하게 많았으며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인 Shimokatsugi와 Taisyo-wase는 pyrogallol tannin, 전분(澱粉), 및 조단백질(粗蛋白質)의 함율(含率)이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 보다 대단(大端)히 많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들 성분(成分)의 함유차(含有差)가 복합상승작용(複合相乘作用)하여 밤나무 혹벌 저항(抵抗)에 관여(關與)하지 않는가 생각되며 시기적(時期的)인 각성분(各成分)의 변화(變化)와 양적차(量的差) 또한 저항성(抵抗性)에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것 같다.

  • PDF

키토산과 탄닌 처리가 황토 염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tosan and Tannin Treatment on the Natural Dyeing using Loess)

  • 권민수;전동원;최은경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0
    • /
    • 2006
  • Tannin treatment has been used for improving the color fastness of dyed materials. In natural dyeing, the tannin treatment is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stness. The chitosan treatment also improves the fastness and depth of shade in natural dyein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annin and chitosan pre-treatment on the color and fastness in loess dyeing were investigated. Cotton woven fabric specimens and cotton knit fabric specimens were pre-treated with chitosan solution in acetic acid, and the specimens were then treated with or without tannin. The specimens were finally dyed with loess. The tannin treatment decreased the K/S values, while the chitosan treatment increased the K/S. Both the tannin treatment and the chitosan treatment increased the wash fastness and light fastness. In tannin treatment, tannin component and Fe component of loess may react together to decrease the lightness and develop dark color. For maintaining inherent color of the loess, it is much preferable to employ chitosan treatment rather than tannin treatment.

Condensed Tannin을 포함한 접착제에서 Tannin과 Formaldehyde의 반응에 관한 연구 (Reaction Study of Tannin with Formaldehyde in the Adhesive Containing Condensed Tannin)

  • 정경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16-121
    • /
    • 1992
  • This paper is on for a material to replace the petroleum-based resins used as adhesives for the fiber in rubber composite materials. The study limited to the reaction properties of tannin with formaldehyde. Tannin-formaldehyde(TF) reactions were carried out in aqueous media. Rates of reaction were strongly dependent on concentration, temperature, pH, and the mole ratio of tannin to formaldehyde. Viscosities of reaction mixtures were followed up to gelation. The reactivity of tannin-formaldehyde resins was greater than that of resorcinol-formaldehyde resins. To formulate an adhesive, a styrene-butadiene-vinyl pyridine terpolymer latex(L) was added to the TF. This preliminary results suggest that the condensed tannins have considerable promise as substitutes for resorcinol used in resin formulation for bonding of fiber to rubber.

  • PDF

대황 모상근의 배양에 의한 tannin 생산 (Production of Tannin from Hairy Root Cultures of Rheum undulatum L.)

  • 황성진;나명석;표병식;이종빈;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0-258
    • /
    • 2000
  • 약용식물의 기내 (in vitro) 배양에 의한 유용물질의 생산을 위하여 대황 (Rheum undulatum L.)의 유묘 조직 절편에 Agrobacterium rhizogenes A4을 감염시켜 형질전환을 유도하였다. 형질전환된 부정 근인 모상근은 WPM 배지에서 RCM 배지의 3.4배의 성장률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지표 물질인 tannin의 생산량 또한 동일 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배지내 식물성장조절물질의 처리에 의한 모상근의 성장 및 tannin 생산촉진 효과는 식물성장조절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2 mg/L IAA 처리구와 0.5 mg/L ABA 처리구에서 각기 1.7배의 성장 (0.72 g dry weight/flask)과 1.4배의 tannin (0.67 mg/g fresh weight)의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다. 배지내 탄소원인 sucrose 는 3%와 5%에서 최대성장 (0.54 g dry weight/flask)과 tannin 생산 (0.46 mg/g fresh weight)을 보였으며, chitosan의 농도는 50 mg/L 처리구에서 tannin의 생합성에 영향을 주었다.

  • PDF

In vitro Nutrient Digestibility, Gas Production and Tannin Metabolites of Acacia nilotica Pods in Goats

  • Barman, K.;Rai, S.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호
    • /
    • pp.59-65
    • /
    • 2008
  • Six total mixed rations (TMR) containing 0, 4, 6, 8, 10, 12% tannin (TMR I-VI), using Accacia nilotica pods as a source of tannin,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Acacia tannin on in vitro nutrient digestibility and gas production in goa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egraded products of Acacia nilotica tannin in goat rumen liquor. Degraded products of tannins were identifi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t different hours of incubation. In vitro digestibility of dry matter (IVDMD) and organic matter (IVOMD) were similar in TMR II, and I, but declined (p<0.05) thereafter to a stable pattern until the concentration of tannin was raised to 10%. In vitro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VCPD) decreased (p<0.05) with increased levels of tannins in the total mixed rations.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much more affected tha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organic matter. In vitro gas production (IVGP) was also reduced (p<0.05) with increased levels of tannins in the TMR during the first 24 h of incubation and tended to increase (p>0.05) during 24-48 h of incubation. Gallic acid, phloroglucinol, resorcinol and catechin were identified at different hours of incubation. Phloroglucinol and catechin were the major end products of tannin degradation while gallate and resorcinol were produced in traces. It is inferred that in vitro nutrient digestibility was reduced by metabolites of Acacia nilotica tannins and ruminal microbes of goat were capable of withstanding up to 4% tannin of Acacia nilotica pods in the TMR without affecting in vitro nutrient digestibility.

감 과실(果實)의 탄닌 물질(物質) 생성(生成) 및 탈삽기구(脫澁機構) -제사보(第四報). 감 엽(葉)의 탄닌 함량(含量)의 변화(變化) 및 현미경적(顯微鏡的) 관찰(觀察)- (Studies on the Mechanism of Nonastringency and Production of Tannin in Persimmon Fruits -Part IV.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hange of Tannin contents in Persimon Leaves during Growth-)

  • 손태화;성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01-205
    • /
    • 1982
  • 감 과실(果實)의 탈삽기구(脫澁機構) 및 탄닌생성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감엽(葉)의 탄닌함량의 변화 및 현미경적 관찰의 결과 삽시(澁枾)에서는 엽(葉)과 과실(果實)의 탄닌함량의 변화 경향이 유사하였으나, 감시(甘枾)에서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엽(葉)의 탄닌함량 변화는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엽(葉)의 상피세포(上皮細胞)는 과실(果實)의 탄닌세포와 같이 다량의 탄닌물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유관속(維管束) 부근에도 탄닌세포가 존재하였다. 사관부내(篩管部內)에는 탄닌물질이 이동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감엽(葉)의 탄닌물질과 과실(果實)의 탄닌물질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생물(微生物) Tannase에 의(依)한 식품(食品)의 Tannin 성분(成分) 분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한국산(韓國産) 도토리 Tannin 분해(分解) 효소(酵素) 생산균주(生産菌株)의 분리(分離)와 효소(酵素) 생산(生産)을 위한 배양조건(培養條件)의 검토(檢討)- (Studies on the Hydrolysis of Tannin in Food by Fungal Tannase -Part 1. Screening test of Molds on the Production of Acorn tannin hydrolyzing Enzyme and studies on the cultural conditions of selected strain-)

  • 채수규;유태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58-267
    • /
    • 1973
  • 국내(國內) 도토리의 이용(利用)을 위하여 그의 성분분석(成分分析)을 실시하였고, 가공(加工)에 장해(障害)가 되고 있는 tannin 성분(成分)의 효소적(酵素的) 가수분해(加水分解)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도토리와 상수리에 대한 주요성분(主要成分)을 분석(分析)하였다. 도토리중의 tannin 함량을 $6.5{\sim}7.5%$이었다. 2) 배양액 중에 tannin 가수분해(加水分解) 효소(酵素)를 다량(多量)으로 생산(生産)하는 우수균주(優秀菌株)의 분리(分離)를 시도하여 활성(活性)이 강한 Aspergillus flavus와 Aspergillus sp. AN-11을 부패도토리로부터 얻었다. 3) Aspergillus flavus 및 Aspergillus sp. AN-11의 효소생산(酵素生産)을 위한 최적(最適) 배양조건(培養條件)을 결정(決定)하였다.

  • PDF

어성초 생육 시기 및 부위별 Quercetin과 Tannin 함량 비교 (Comparison of Quercetin and Souble Tannin in Houttuynia cordata $T_{HUNB}.$ according to Growth Stages and Plant Parts)

  • 이성태;이영한;최용조;손길만;이홍재;허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16
    • /
    • 2002
  • 약용작물은 재배환경, 재배방법, 생육 시기 및 부위별로 약리성분 함량에 차이가 많은데, 이뇨, 진통, 지혈, 조직재생 및 혈관확장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어성초를 생육 시기별, 부위별 및 퇴비 시용량별로 유효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 시기별 quercetin 및 tannin 함량은 생육 초기인 4월 20일에 채취하였을 때 각각 0.72, 2.1%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개화기 전까지 감소하다가 개화기 이후로 증가하였다. 부위별 quercetin 및 tannin 함량은 꽃에서 2.06, 5.3%로 가장 높았으며, 잎, 줄기, 뿌리 중에서는 잎에서 각각 0.81 및 2.3%로 높았다. 퇴비 시용량별 어성초의 quercetin 및 tannin함량은 무처리구에서 각각 0.67 및 2.3%로 가장 높았고, 퇴비시용량이 증가할 수록 지상부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유효성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탄닌 투여시 인체의 혈청 지질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annin on Lipid metabolism in 6 College Women)

  • 최인선;이경화;이성숙;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920-926
    • /
    • 1997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tannin on plasma lipid status in human, tannin was supplemented with increasing amounts from 0 to 0.5, 1.0, 2.5g/d early week until 4th week.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 follows. Concentration of total lipid in plasma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n the level of tannin supplementation was 0.5g/day while the level of tannin 1.0g/day and 2.5g/day did not affect to change the total lipid level. There seems to be no obvious improvement of the plasm lipid status respect to different tannin levels. Despite the result, the excretion of total bile acids in feces was increased and total lipid in plasma was reduced significantly during first time supplementation compared the contro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