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allow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8초

오일과 토코페롤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Different Oil and Tocopherol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하경희;김회윤;박기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1
    • /
    • 2003
  • 우지가 5% 첨가되어 있는 일반적인 비육후기사료를 급여한 돈육(C), 우지 3%에 들깨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1), T1에 비타민 E를 250 ppm 첨가한 돈육(T2), 우지 3%에 오징어유 2%를 대체 급여한 돈육(T3), T3에 비타민 E를 첨가 급여한 돈육(T4), 우지 3%에 CLA 2%를 우지 대체 급여한 돈육(T5)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일만 급여한 처리구들간(C, T1, T3, T5)에 근절길이,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T1이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낮았으며, 동일한 오일 급여구에서 비타민 첨가구들(T2, T4)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T1, T3)보다 염용성 및 총단백질의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및 보수성의 경우 대조구가 다른 세 처리구들(T1, T3, T5)보다 높았으며, 비타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들보다 보수성은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육색의 L값과 지방색의 a값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경도, 부착성, 점착성의 경우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C, T1, T3)보다 높게 나타났다. 오일간에 가열육의 부착성의 경우 T3가, 탄력성은 T5가 다른 세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첨가에 따라 경도는 T3가 T4보다 높은 반면 응집력과 탄력성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

팜유와 우지로 제조한 라면의 저장 안정성에 대한 산화방지제 효과의 비교 (Relative Effectiveness of Some Antioxidants on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Noodle(Ramyon) Fried by Palm Oil and Beef Tallow)

  • 양주홍;장영상;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9-575
    • /
    • 1988
  • 몇가지 산화방지제와 상승제를 첨가한 팜유와 우지로 튀긴 라면의 저장 안정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를 저장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이화학적 항수(과산화물값, carbonyl값, conjugated diene)의 변화와 n-hexana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팜유와 우지에 ${\delta}-Toc$을 첨가한 것이 $DL-{\alpha}-Toc$을 첨가한 것보다 저장 안정성이 다같이 우수하였고고 ${\delta}-Toc$$DL-{\alpha}-Toc$에 상승제로 ascorbyl palmitate를 첨가하였을 때가 citr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보다 상승효과가 좋았다. 우지에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첨가한 것이 tocopherol류를 첨가한 것보다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팜유에서는 BHA와 BHT 혼합제를 첨가한 것이 ${\delta}-Toc$를 첨가한 것보다 저장 안정성이 좋지 못하였다. 저장 라면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값, carbonyl값 및 conjugated diene산의 변화는 서로 잘 일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라면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저장 라면중의 hexanal의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가열조건에 따른 유지의 트랜스 지방산 생성과 산패도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Trans Fatty Acid formation and Degree of Rancidity in Fat and Oils According to Heating Condition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69-478
    • /
    • 2008
  • In this study, degree of rancidity and trans fatty acid formation were examined in fat and oils, including soybean oil (SB), canola oil (CA), corn germ oil (CO), olive oil (OL), palm oil (PO), and beef tallow (BT), during heating for 10-130 minutes at 160-200$^{\circ}C$. In order to determine the rancidity of the fat and oils, acid values (AV), iodine values (IV), viscosity, and color were measured. Changes in the amounts of fatty acids and the formation of trans fatty acids were measured using GC and HPLC. For all groups, AV increased, IV decreased, and coefficients of viscosity and color increased as the heating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increased, indicating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and AV. In addition, all groups had similar amounts of trans fatty acids, with the exception of the beef tallow; however, its level only slightly increased with heating. The olive oil had the lowest trans fatty acid content and the lowest amount created by heating. The order of trans fatty acid amounts generated while heating was BT>PO>CO>CA>SB>OL.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deep frying temperature during cooking should be 160-180$^{\circ}C$ in order to reduce AV and the amount of trans fatty acids that are formed. In addition, it is better to remove beef tallow during cooking and avoid heating at high temperatures since it results in high levels of trans fatty aci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ns fatty acids and AV was positive, whi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trans fatty acids and IV was negative, indicating that AV and trans fatty acid levels increase while IV decreases as the deep fry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reducing the deep frying temperature and time can lessen increases in AV and trans fatty acids, and decrease IV. Accordingly, to reduce AV and trans fatty acid formation, the ideal deep frying conditions would be to use olive oil or soybean oil rather than beef tallow or palm oil at a temperature of 160-180$^{\circ}C$.

THE UTILIZATION OF FULL FAT SOYBEAN FOR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THE LAYING HENS

  • Han, I.K.;Choi, Y.J.;Chu, K.S.;Park,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권3호
    • /
    • pp.173-178
    • /
    • 1988
  • To study the effects of utilizing extruded full fat soybean (FFS) in layer diets, 300 White Leghorn pullets were put in trial divided into 5 treatments; control (commercial soybean meal as protein source), FFS 50% (replacing 50% of soybean meal with FFS), FFS 100% (replacing all amount of soybean meal with FFS), soybean oil and tallow added treatment. Each treatment consisted of 5 replicates of 12 birds. Egg production and feed efficiency from hens fed control die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from hens fed the other die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and feed efficiency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other treatments.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serum and egg yolk were not affected by any dietary treatment. Feeding extruded full fat soybean did not cause pancreatic hypertrophy nor change in mortality. There was an indication that linoleic acid (C18:2), linolenic acid (C18:3) and iodine contents increased in the thigh and egg yolk lipid of the groups fed FFS or soybean soybean can serve as effective protein source for layer diets if economically justified.

쥐에서 식이에 보충한 Conjugated Linoleic Acid가 식이지방 종류에 따라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Conjugated Linoleic Acid Supplemented to Dietary Fat Has an Antioxidant Activities, but It Depends on the Type of Fat in Diet)

  • 윤경미;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8호
    • /
    • pp.858-864
    • /
    • 2001
  • The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an antioxidant activi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in rat liver by determin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and the levels of tocopherol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Male Sprague Dawley rats at weeks-old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etary fat(beef tallow and fish oil) and then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groups depending on CLA supplement. All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 containing 12% total fat including 1% CLA by weight for 30 weeks. CLA supplemented to beef tallow die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TBARS and tocopherol. The level of TBAR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fish oil diet(highly unsaturated fat diet), but its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increasing SOD and GSH-Px activities when CLA was supplemented to fish oil diet so that CLA showed a sparing action of tocopherol in tissue. CLA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eroxisomal catalase activities, but its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BARS production was high in the fish oil diet. CLA could be incorporated into phospholipid of microsomal membrane, and interfered the conversions of C18 : 0 into C18 : 1 and C18 : 2 into C20 : 4 in liver. In conclusion, CLA had an antioxidant activ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fat in diet. Therefore, it could be recommended to use CLA when highly unsaturated fat was used in meal preparation.

  • PDF

폴리카보네이트와 몬모릴로나이트 나노복합체의 층간삽입 (Intercalation of Polycarbonate/Montmorillonite Nanocomposites)

  • 이양훈;홍성권;윤광수;최일석;이성구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818-825
    • /
    • 2001
  • 폴리카보네이트 (PC)와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 MMT)의 나노복합체를 용액 및 용융 혼합 방법으로 층간삽입시켜 제조하여 X-ray 실험으로 MMT의 층간간격 변화를 조사하였다. MMT로는 $Na^+$를 양이온으로 갖는 순수 MMT (MMT-Na)와 도데실암모늄 (MMT-DA) 및 dimethyl hydrogenated tallow 2-ethylhexyl ammonium으로 개질된 MMT (MMT-25A)를 사용하였다. PC/MMT-25A와 PC/MMT-DA가 PC/MMT-Na보다 층간거리의 증가폭이 컸으며, 혼합방법에 따라 최대 $37AA$까지 층간간격이 증가하였다. 또 PC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혼합시간이 증가할수록 삽입이 잘 일어났다. 열중량분석법 (TGA)으로 측정한 열안정성은 PC/MMT-25A가 PC/MMT-Na와 순수한 PC보다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 PDF

바이오디젤 구성분자와 유도세탄가 상관관계 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odiesel Components and Derived Cetane Number)

  • 임영관;박소라;김종렬;임의순;정충섭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22-129
    • /
    • 2011
  • Biodiesel produced from triglyceride which is main component of animal fats and vegetable oils by methanolysis was known for remarkable cetane number. In this study, the derived cetane number of 3 kinds of biodiesel came from vegetable oils such as soybean oil, palm oil, and perilla oil and 2 kind of biodiesel which were produced from beef tallow and pork lard were analyzed using IQT (Ignition quality tester). In IQT test result, the derived cetane number of palm- , beef tallow- and pork lard's biodiesel were more excellent than other biodiesels. After analysis of biodiesel composed molecular by gas chromatography-mass and determination of the derived cetane number of pure biodiesel components using IQT, we have found that the low olefin contented and long alkyl chained biodiesel have excellent derived cetane number.

육계에서의 양지, 우지 및 레시친의 이용 (The Utilization of Mutton Fat, Tallow, and Lecithin in the Broilers)

  • 고태송;오세정;김춘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3-90
    • /
    • 1979
  • 육계사료의 대사에너지 및 단백질이용성에 미치는 양지. 우지 및 레시친첨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옥수수. 대두박 및 어분을 주로 하는 사료에서 상기 유지가 각각 2% 및 5% 함유하는 사료를 단백질함량과 대사에너지함양이 동일하도록 옥수수와 대치하거나 소맥당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육계는 처음 1주일간 시판배합사료를 급여하고 전기 4주간 흑은 후기 3주간에 단백질과 대사에너지 함양이 각각 다른 사료로 사육하여 성장 및 사료요구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기사료를 급여한 3주령의 마지막 3일간은 분요혼합물과 사료섭취량을 24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전기사료의 에너지이용. 실소축적량 및 지방의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육계의 성장. 사료요구율 및 평균일당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각 유지사료급여간이나 각 유지 2% 혹은 5% 급여구간에 특별한 경향은 없었고 서로 유사하였다. 대사에너지함양은 전기사료 1g당 2,713-3,059Kcal이었고 총에너지의 대사율은 62-70%로 기초사료급여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지 2% 첨가시에 비교하여 5% 첨가시에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지의 종류에 의한 특별한 경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3주령시에 1일1수가 대사하는 에너지량은 132-168Kcal였으며 유지의 첨가량이 5%로 증가할 때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때 질소 축적량은 0.631-0.738g이었으며 양지와 우지의 첨가량이 5%로 증가할 때 2% 첨가시에 비교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레시친의 경우는 그 반대였다. 유지의 소비율에 있어서도 48%로부터 76%의 범위에 있었으나 서로 유의차는 없었고 기초사료급여구가 가장 낮고 양지 및 우지의 경우는 2% 급여시보다 5% 급여시가 높았다. 이러한 값들은 어분중에 함유된 지질과산화물에 기인한다고 추측되었으나 레시친급여구의 유지의 소화율은 2% 급여시와 5% 급여시에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단백지 및 에너지이용에 있어서 양지는 우지와 비슷하였으나 레시친과는 경향이 다르다는 것이 추측되었다.

  • PDF

이유자돈에 있어 대두유, 우지 및 코코넛 오일의 첨가가 생산성, 혈청 지질변화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ybean Oil, Tallow and Coconut Oi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erum Lipid Change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Weaned Pigs)

  • 조진호;김해진;진영걸;유종상;민병준;김진동[;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33-40
    • /
    • 2007
  • 본 연구는 이유자돈에 있어 대두유, 대두유와 우지의 혼합 급여 및 대두유와 코코넛유의 혼합급여가 생산성, 혈청 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함량, 등지방 두께, 정육율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개시시 체중 6.92±0.01kg 인 3원 교잡종 [(Yorkshire×Landrace)×Duroc] 자돈 120두를 공시하여 35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일반대두유 5%를 함유한 처리구(CON), 일반대두유 4.5%와 우지 0.5%를 함유한 처리구 (T0.5), 일반대두유 4.5%와 코코넛유 0.5%를 함유한 처리구(C0.5) 및 일반대두유 4%와 코코넛유 1.0%를 함유한 처리구(C1.0)의 4 처리를 하여 처리당 6반복, 반복당 5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이유자돈의 생산성에 있어서는 14~35일과 전체 시험기간 동안 일당증체량 및 일당사료섭취량에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두유와 코코넛유를 혼합급여한 처리구가 대두유와 우지를 혼합급여한 T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개시시, 14일 후, 35일 후(종료시)에 측정한 등지방 두께 및 정육율의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 개시 14일 후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C1.0구가 C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동맥경화지수에 있어서는 C0.5구가 T0.5 및 C1.0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시험 종료시(35일) 지방소화율에서는 C1.0구가 T0.5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결론적으로, 이유자돈 사료 내 대두유와 코코넛 오일의 혼합급여는 대두유와 우지의 혼합급여와 비교하였을 때 사료효율 및 지방소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지질원으로 우지, 대두유 및 오징어 간유 첨가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체성분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 (Effects of Dietary Beef Tallow, Soybean Oil and Squid Liver Oi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Biochemical Changes with Starvation)

  • 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76
    • /
    • 1994
  • 사료의 n-3HUFA 함량이 $1.6\%$ 이상 함유되도록 조절한 3종의 실험 사료로 43g 전후의 조피볼락을 19주간 사육 실험한 후, 136g전후의 어체를 45일간 절식시켜 사료 지질원에 따른 조피볼락의 성장 및 체성분의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를 조사하였다. 증중율, 사료 효율, 단백질 축적 효율 및 지질 축적 효율 모두 사료 지질원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P\geq0.05)$ 간과 등 근육의 총지질 중의 지방산은 사료 지질원의 조성비에 영향을 받아, monoene산은 우지 첨가구에, n-6계 지방산 (18:2n-6, 22:4n-6)들은 대두유 첨가구에, n-3계 지방산 (20 : 5n-3, 22 : 6n-3)들은 오징어 간유 단독 첨가구에 상대적으로 더 높게 조성되어 있었다. 전 어체 및 등 근육의 일반 성분은 실험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도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내장의 수분 함량은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높았으며, 간지질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는 모두 절식기간 중에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그 감소폭이 컸다. 절식 15일까지는 근육 단백질과 지질이 감소하였고, 그 후부터는 간의 글리코겐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내장 지질은 절식 기간 중 계속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절식 중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형태와 시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혈청 성분은 지질원에 따라 절식 기간별로 이동되는 형태가 약간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절식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그 차이는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