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tile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21초

Research on Capacitive Tactile Sensor for Electronic Skin using Natural Rubber and Nitrile Butadiene Rubber

  • Sangmin Ko;Dasom Park;Sangkyun Kim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8권4호
    • /
    • pp.173-178
    • /
    • 2023
  • Recentl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focus on the development of flexible and stretchable sensors, driven by advancements in electronic devices and the robotics industry. Among these sensors, tactile sensors stand out as the most actively researched, playing a crucial role i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electronic devices, particularly in robotics and medical applications. This study specifically involves the manufacturing of a capacitive tactile sensor using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process and sensor structure. Natural rubber and Nitrile butadiene rubber, commonly employed in the rubber industry, were utilized. The dielectric material in the manufactured tactile sensor possesses a porous structure. Notably, the resulting tactile sensor demonstrated excellent sensitivity, approximately 1%/kPa, and exhibited the capability to detect pressures up to 212 kPa.

자동차 인테리어의 촉감 평가를 위한 대표감성 추출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Emotions for Evaluations of Tactile Impressions in a Car Interior)

  • 박남춘;정성원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57-166
    • /
    • 2013
  • 자동차 인테리어에 사용된 여러 가지 재질에 대하여 현재까지 촉감을 측정하고 평가하여 소재의 적용과 표면질감의 기준을 결정하고자 했던 연구는 자동차의 조작 장치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 시각적 디자인요소에 대한 연구에 비해서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인테리어의 여러 소재에 대한 촉감 관련 감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촉감 관련 대표감성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감성어휘 연구에서 추출되어 있는 대표감성어휘를 이용하여, 자동차에 탑승하여 여러 재질을 보고 만지면서 촉각으로 느껴지는 촉감에 대해 느껴지는 감성어휘와 자동차 사용기의 분석 및 자동차 전문가에 대한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52개의 촉감 관련 감성어휘를 추출하였다. 이를 요인분석한 결과 거칠기, 단단함, 마찰감, 안락감, 뻣뻣함, 부드러움, 온도감, 매끈함, 친숙함, 유연함 등 10개의 대표감성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대표감성 어휘는 자동차 인테리어의 촉감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측정하고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속, 플라스틱, 가죽 등 다양한 소재들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질감을 결정할 수 있는 감성평가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접촉력에 따라 변하는 Tactile 영상의 퍼지 융합을 통한 인식기법 (Recognition of Tactilie Image Dependent on Imposed Force Using Fuzzy Fusion Algorithm)

  • 고동환;한헌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5-103
    • /
    • 1998
  • 접촉센서가 제공하는 tactile영상을 이용하여 접촉면의 형태를 인식할 때 영상의 모양은 접촉면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많은 노력에도 부루하고 tactile 센서만을 이용하여 접촉면의 형태를 완전히 인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actile 영상이 얻어지는 때의 힘을 동시에 측정하고 힘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의 모양을 퍼지융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접촉센서의 tactile 영상은 eigen vector해석 방벅을 적용하여 장축과 단축의 길이로 표현된다. 이들은 접촉 시에 가해지는 힘의 분포에 따른 경계선의 변호를 측정하여 만들어진 소속함수에 의해 퍼지화되며 Averaged Minkowski's distance를 이용하여 융합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다중센서시스템에 구현하여 실험하였으며 측정 시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 및 측정면의 종류에 고르게 86% 이상의 인식률을 보여 주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복수개의 손가락을 갖는 로봇의 손에 구현하면 작은 힘에도 변형되는 물체의 정밀한 조자이나 인식에 응용될 수 있다.

  • PDF

Tactile 영상을 이용한 매니퓰레이터의 그리퍼 힘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ipper Force Control Of Manipulator Using Tactile Image)

  • 이영재;박영태
    • 전자공학회논문지T
    • /
    • 제36T권1호
    • /
    • pp.64-70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매니퓰레이터로 작업체 이동시 이동방향 가, 감속에 따른 미끄럼, 회전등의 위치에러 방지를 위한 그리퍼 힘 제어를 작업계획도를 설정해 구간별로 알아본다. 또한 작업체와 매니퓰레이터사이에 가장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tactile 센서를 그리퍼에 부착해 연속적으로 tactile 영상 데이터 추론을 통해 미끄럼과 회전을 감지한다. 계산된 파지력과 감지된 에러량 비교를 통해 보상제어와 이를 응용한 최적의 파지력을 구할 수 있다. tactile 센서로는 압각센서인 FSR(Froce Sensing Resistor)을 사용해 22×22 센서회로를 구성하였다. 전처리로써 연속적인 taxel 수를 문턱값으로 설정해 필터링 작업을 하였고, 모멘트 메써드를 감지 알고리즘으로 사용해 실험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Tactile Slippage Sensation Algorithm in Robot Hand Control System

  • Yussof, Hanafiah;Jaffar, Ahmed;Zahari, Nur Ismarrubie;Ohka, Masahiro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9-15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pplication of a new tactile slippage sensation algorithm in robot hand control system. The optical three-axis tactile sensor is a type of tactile sensor capable of defining normal and shear forces simultaneously. The tactile sensor is mounted on fingertip of robotic hand. Shear force distribution is used to define slippage sensation in the robot hand system. Based on tactile slippage analysis, a new control algorithm was proposed. To improve performance during object handling motions, analysis of slippage direction is conducted. The control algorithm is classified into two phases: grasp-move-release and grasp-twist motions.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control algorithm based on the existing robot arm control system are presented. The experiment is conducted using a bottle cap, and the results reveal goo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to accomplish the proposed object handling motions.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한 원격조종용 촉각궤환장치 (Tactile feedback device using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s for teleoperation)

  • 안인석;문용모;이정훈;박종오;이종원;우광방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7-76
    • /
    • 1997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tactile feedback device using repulsive force of magnets. The force of the tactile feedback device was derived from the Maxwell's stress method by using the concept of magnetic charge. Magnetic repulsive force is linear function with respect to current and nonlinear to displacement. Experimental data shows these characteristics. To compensate the fact that the presented tactile feedback device can not be controlled by close loop control, we developed a simulation model which predicts output displacement and force by using Runge-Kutta method. And, this paper evaluated the presented tactile feedback device and compared it with commercial tactile feedback devices.

  • PDF

가정 자로법에 의한 전자기 흡입력의 촉각궤환장치의 최적설계 (An Optimum Design of the Tactile Feedback Device using the Electromagnetic Attractive Force by the Probable Flux Paths Method)

  • 이정훈;장건희;최동훈;박종오;이종원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64-478
    • /
    • 1998
  • In teleoperation, it is important for an operator to feel as if he really were in a distant place. To realize this objective, the various information from a remote site must be presented to the operator. Even though tactile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to efficiently execute a task, it is not yet sufficiently provided for the operato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mechanism that can provide the more dexterous tactile information to the operator This device utiliz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is designed to be compact and light enough to be attached to the fingerpad, and designed to be controlled continuously. The magnetic circuit is derived by the probable flux paths method in order to take forces at any given dimension. An optimization technique is also proposed to maximize the tactile force that humans can perceiv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objective function is formulated as maximizing displacements indented on the fingerpad, considering the mechanism of human tactile perception. The optimization formulation is subject to the geometric and rising temperature constraints in the coil. It is demonstrated that, by optimization, the tactile force increases by 24%,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the initial design.

  • PDF

진동패턴을 이용한 감성정보 표현의 극대화 (Emphasizing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Vibration Patterns in Online Environments)

  • 정찬희;백정민;한민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411-416
    • /
    • 2007
  • 본 연구는 메신저 환경에서 상대방에게 감정을 표현할 때, 기존의 시청각적 감성정보 전달방식 이외에 촉각적 수단을 통하여 감성정보를 표현하는 진동기반 촉각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한 메신저 프로그램이 제공하고 있는 감성정보 기반의 이모티콘들을 분류하여 진동패턴을 기반으로 한 택타일 아이콘(tactile icons)으로 재정의한다. 그리고 사용자 실험을 통해 이의 실효성과 향후 응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 PDF

시각장애인의 길 탐색을 위한 대화형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개발 (A Conversational Interactive Tactile Map for the Visually Impaired)

  • 이예린;이동명;루이스 카바조스 케로;호르헤 이란조 바르톨로메;조준동;이상원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29-40
    • /
    • 2020
  • 시각장애인들에게는 길 찾기 및 탐색이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이들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이동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점자 촉각 지도는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촉각 지도에 다른 인터랙션 방식을 더하려는 시도들이 존재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새로운 대화형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촉각 탐색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음성 피드백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음성 에이전트와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이를 통해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나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실제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 사용 후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점자를 사용한 기존 촉각 지도보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프로토타입이 시각장애인들에게 더욱 높은 사용성을 제공하였다. 시각장애인들은 본 연구의 프로토타입을 사용했을 때 더 빨리 시작 지점 및 관심 지점을 찾을 수 있었고 더 높은 독립성 및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지도 이용 및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촉각 지도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프로토타입의 개선 방향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아직 개발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들렌 비요네 디자인에 나타난 촉각적 가치 (Tactile Value Expressed in the Design of Madeleine Vionnet)

  • 윤진영;임은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6호
    • /
    • pp.1193-1204
    • /
    • 2011
  • As designs that simulate man's five wits are important, all five senses used are complex. Tactil value by Bernard Berenson means that the object in fine art makes the spectator feel like his or her finger is touching something, although the spectator is distant from the art piece. Especially as costumes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flexible skin and moving body, tactile modality and tactile value is more important. In order to analyze how Madeleine Vionnet realized a new feminin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principal of tactile value to dress design and in order to define tactile value in the field of fashion,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y of tactile value, sculpture, painting, contemporary art, and product design as well as the design of Madeleine Vionnet from 1925 to 1937 because she was in the fashion business enlarging dress shops in New york during this period. The shape of Madeleine Vionnet's dresses made the concealed body alive through organic curves pressed against the body from cuts and dissections based on the anatomy of a supple body with curves and movement. In the garments, soft physical characteristics or the glossy touch of silk or pile textile imitated smooth skin while colors similar to a woman's eye, hair, and skin color continue the impression of the dress extending to the body through these design elements, Madeleine Vionnet's dresses reinforce the will to touch female body hidden under the dress by tactile values, not by the body's modification or visual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