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DC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7초

경두개 직류자극과 가상현실프로그램 적용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Application on the Cognition and Depres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5-164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application on cognition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o find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enhance active participation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 In this study, 50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25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25 patients). The treatment group was applied with a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a placebo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Both groups received five 50-minute sessions per week (one session per day) for six weeks (total of 30 sessions). NCSE was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patie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 Moreover, K-BDI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epression of the patient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intervention, the cognitive function of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ly (p<.05) improved, and the depression of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 significantly (p<.05) decreased. Moreover,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treatment and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cognitive funct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nd decreased the depression of them.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program was an intervention method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을 결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우울, 손기능, 인지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 Combin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Depression, Hand Function, Cognition, and Daily Life Activities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Disorders)

  • 김고운;김보라;안태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62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on the depression, hand function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dividing 20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The 20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treatment group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 a virtual reality program) and a control group (placebo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 a placebo virtual reality program). Methods : This study allocated ten subjects to the treatment group and ten subjects to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was given fiv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30 sessions), and each session was 30 minutes. This study screened depression by using SGDS-K, a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to examine depressio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tervention. This study also used the box and block test, NCSE, and FIM to evaluate hand function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respectively.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hand func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cognitive function significantly improved,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magnitude of changes in depression, hand function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intervention (p>.05).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could improve cognitive function, hand function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decreasing depression.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a virtual reality program is an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be applied for decreasing depression, enhancing hand functions,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increas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mmunogenic Cell Death Induced by Ginsenoside Rg3: Significance in Dendritic Cell-based Anti-tumor Immunotherapy

  • Keum-joo Son;Ki ryung Choi;Seog Jae Lee;Hyunah Lee
    • IMMUNE NETWORK
    • /
    • 제16권1호
    • /
    • pp.75-84
    • /
    • 2016
  • Cancer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iscover new therapeutic modules with improved efficacy and safety. Immune-(cell) therapy is a promising therapeutic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cancers. The effectiveness of certain chemotherapeutics in inducing immunogenic tumor cell death thus promoting cancer eradication has been reported. Ginsenoside Rg3 is a ginseng saponin that has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In this study, we treated tumor cells with Rg3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inducing immunogenic tumor cell death in antitumor therapy, especially in DC-based immunotherapy. Rg3 killed the both immunogenic (B16F10 melanoma cells) and non-immunogenic (LLC: Lewis Lung Carcinoma cells) tumor cells by inducing apoptosis. Surface expression of immunogenic death markers including calreticulin and heat shock proteins and the transcription of relevant genes were increased in the Rg3-dying tumor. Increased calreticulin expression was directly related to the uptake of dying tumor cells by dendritic cells (DCs): the proportion of CRT+CD11c+cells was increased in the Rg3-treated group. Interestingly, tumor cells dying by immunogenic cell death secreted IFN-γ, an effector molecule for antitumor activity in T cells. Along with the Rg3-induced suppression of pro-angiogenic (TNF-α) and immunosuppressive cytokine (TGF-β) secretion, IFN-γ production from the Rg3-treated tumor cells may also indicate Rg3 as an effective anticancer immunotherapeutic strategy. The data clearly suggests that Rg3-induced immunogenic tumor cell death due its cytotoxic effect and its ability to induce DC function. This indicates that Rg3 may be an effective immunotherapeutic strategy.

칼만 필터 기반의 스마트 해양기상관측 파고 시스템 연구 (A Study on Ocean Meteorological Observation Wave Meter System based on Kalman-Filter)

  • 박상현;박용팔;김희진;김진술;박종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377-138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개발 분야가 취약한 해양관련 기상기후와 파고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해양기상관측 파고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해양파고 측정 장치가 없으며 대부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 수입 제품은 긴 시간 동안 측정이 불가능 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스마트 해양기상관측 파고 시스템은 데이터로거 방식으로 실시간 해양기상을 관측하고 기존의 데이터로거가 가지고 있는 기능과 해양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을 동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양파고 측정은 칼만 필터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실시간 파고를 측정할 때 발생되는 노이즈와 정확도를 높였다. 본 논문에서는 검교정 장치와 실제 해양 테스트를 통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를 실험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해양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충전이 가능한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개발하였고 최적의 사용을 위하여 RTC 기반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소비 전력을 최소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 주기에 따른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배터리 사용과 측정값을 도출하였다.

IPv6 단말간 라우팅 구현과 성능측정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outing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Scheme among IPv6 Terminals)

  • 우정윤;양재수;이종원;김강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05-512
    • /
    • 2018
  • 인터넷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현재의 주 인터넷 프로토콜인 Internet Protocol Version 4는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인터넷주소 자원의 부족한 상황을 해결할 IPv6 기반의 안정된 망 네트워크 확산이 절실하다. 최근 IoT의 확산과 모바일 단말수의 폭증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최적의 IPv6 라우팅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Pv6에 대한 특성 분석과 함께, IPv6의 주소체계 및 구조 분석과 IPv6 단말간 효율적 라우팅 기술에 대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나아가 네트워크 기반의 IPv6 라우팅 구현 환경에서 라우팅 패킷 분석과 Convergence Time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3가지 종류의 라우팅 프로토콜 방식으로 IPv6 라우팅 구현 및 동작시험과 Fail over 성능 부분으로 나누어서 실험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이를 통하여, IPv6 시스템 도입과 테스트베드 환경구축 및 네트워크 설계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지상세포 활성화를 위한 세포투과 펩타이드가 결합된 재조합 전립성 산성 인산분해효소의 정제 (Purification of Recombinant CTP-Conjugated Human prostatic acid phosphatase for activation of Dendritic Cell)

  • 이기완;류강
    • KSBB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80-88
    • /
    • 2009
  • glandular kallikrein에 광범위한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는, 전립선암의 대표적인 혈청 biomarkers이다. 수지상세포는 유력한 항원 제시 세포이며, 바이러스, 미생물 병원체 및 종양에 대하여 면역 계통에서 강력한 T 세포 응답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종양 특이적인 항원으로 감작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면역요법은 anti-tumor 면역 유도를 위한 강력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크레아젠(주)에서 개발된 CTP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 기술은 세포 내로의 높은 침투 효율성을 가지며 핵산이나 단백질과 같은 생체 고분자 물질을 접합하여 세포내로 수송할 수 있는 기술이다(36). 하지만 활성형의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는 세포사멸을 매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진은 항암 치료용 백신으로의 수지상세포 감작을 위해 비활성형 형태의 다중체 (multimer) 항원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지상 세포의 감작과 활성화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다중체 형태 (multimeric form)의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가 융합된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를 얻기 위한 정제공정을 기법을 개발하였고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western blot과 Dynamic Light Scattering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아울러, 정제된 다중체 형태 (multimeric form)의 세포막 투과성 펩티드가 융합된 인간 전립성 산성 인산 가수분해 효소는 수지상 세포의 감작시 세포질 내로 효과적으로 침투되었다. 결과적으로 세포의 사멸의 부작용이 없이 MHC class I 분자를 통해 수지상세포의 표면으로 효과적으로 제시되었다.

NGN 기반환경 에서의 VoIP QoS 관리체계 모델 설계 (A Study on Designing Method of VoIP QoS Management Framework Model under NGN Infrastructure Environment)

  • 노시춘;방기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5-94
    • /
    • 2011
  • QoS(Quality of Service)는 ITU-T Rec. E.800에 의해 서비스를 사용하는 형태, 특성 그리고 요구 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성능지표로 표현된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QoS관련 문제점은 해결해야 할 현안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 기반 환경에서 VoIP QoS 보증을 위해 어떤 체계하에서 품질이 관리 되어야 하는지를 도출하기 위해 VoIP 품질측정과 시험체계 모델을 제시 한다. 프레임워크는 VoIP 기술동향, 프로토콜 분석, 품질관리 항목 도출, 품질측정 기능개발, 프레임워크 설계, 프레임워크 검증 순서로 연구를 진행 한다. 이를 위해 QoS 측정 메트릭스, 측정구간과 측정계위, 측정도구와 측정장비, 측정방법 및 측정결과분석에 대한 일련의 프로세스와 관리체계를 모델화 하여 향후 VoIP QoS 보증활동에 응용토록 한다. 통신서비스 품질은 스스로 보장되지 않으며 끊임없이 측정되고 관리될 때 에만 목표 수준의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특히 네트워크기술 패러다임 대 전환이 전개되고 있는 이 시기적인 중요성을 볼 때 VoIP QoS 관리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활발하게 추진되어야 할 핵심 소재 이다. 본 연구를 통해 VoIP 품질관리 프레임워크를 적용 할 경우 품질관리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차 체성 감각 피질을 자극한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체성감각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on Somato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for Improving Life Care)

  • 김선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9-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 결손이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체성감각피질에 적용했을 때, 감각의 회복과 상지 기능의 회복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환측 체성감각피질에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위상 자극을 실시하였다. 중재는 총 2주간, 10회, 회기 당 20분씩 진행되었다. 체성감각 평가는 The Erasmus MC modifications to the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EmNSA), Semmes-Weinstein monofilament examination(SWME), 상지기능 평가는 퍼글마이어평가(FMA), 운동 활동 척도(MAL), 가속도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전체적인 촉각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피질 감각, 지각의 민감도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환측 상지의 사용량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체성감각 회복과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한 tDCS의 효과적인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온라인 동영상, 음악서비스 및 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 - 20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The present and prospect of Online Video, Music service and Media Usage)

  • 김선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37-144
    • /
    • 2015
  • 본 연구는 적극적 미디어 컨텐츠 사용계층인 20대 대학생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해 봄으로써 국내 온라인 동영상, 음악서비스가 나아갈 방향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부산지역 20대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온라인 동영상, 음악서비스의 이용 현황과 전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20대는 이용 빈도 측면에서 절반 이상이 거의 매일 두 가지 서비스를 이용할 정도로 적극적인 이용행태를 보였다. 사용 시간에 있어서는 일주일간 세 시간 이상 사용 비중이 열 명 중 세 명꼴로 헤비 유저로 나타났다. 이용 방식은 공히 스트리밍 방식이 다운로드보다 높기는 하나 음악의 경우 다운로드 방식이 거의 절반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비용 부담은 유료가 있으나 아직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고 특히 동영상의 경우는 무료 이용(불법 다운로드 포함)이 월등히 높은 실정이다. 부담할 수 있는 비용의 심리적 한계도 1만원 정도로 높지 않은 편이다. 유료 결제방식도 동영상의 경우 건당 결제가 높고 음악의 경우 월정액 방식이 높다. 선호 컨텐츠 장르로는 방송사 컨텐츠, 영화같은 RMC(Ready Made Contents)로 나타났다. 미디어 이용에 관해 주목할 만한 결과는 TV를 보지 않는 소위 '제로TV(Zero TV)'의 비중이 32%로 전체 모집단의 비중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국내 온라인 동영상, 음악서비스는 향후 이용 행태의 점진적 변화와 그로 인한 다양한 수익모델의 등장이 기대된다.

두경부암 환자 방사선 치료 시 BinkieRTTM(구강용 고정장치)에 대한 유용성 평가 (Evaluating the usefulness of BinkieRTTM (oral positioning stent) for Head and Neck Radiotherapy)

  • 이경진;손상준;임경달;김찬용;이제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4권
    • /
    • pp.21-30
    • /
    • 2022
  • 목 적: 본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는 두경부암 환자들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도입한 구강용 고정장치 BinkieRTTM의 구강 내 재현성을 평가하고 기존 고정장치와의 재질과 선량 비교를 통해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BinkieRTTM를 사용하여 치료한 두경부암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혀 재현성 평가를 위해 치료계획용 CT와 치료 중 3일 간격으로 촬영된 CBCT영상에 혀를 그린 후 DSC와 중심축 이동값을 분석하였다. 또한 BinkieRTTM를 사용하는 경우와 다른 종류의 구강 고정장치(mouth piece, paraffin wax)를 사용했을 때 선량 분포측면에서 혀에 조사되는 선량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상악에 위치한 종양 치료를 받는 환자들과 편측 두 경부암 환자들을 각 10명씩 선정하고 전산화 치료 계획 시 혀에 조사되는 선량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질 평가 측면에서는 임상에서 혀를 치료부위 반대 방향으로 보내 고정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Paraffin Wax나 Putty와의 비교를 통하여 BinkieRTTM의 단순 물질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산화 치료 장비로 Mass density 및 상대전자밀도 등을 확인하고, 팬텀과 이온챔버를 이용하여 Transmission Factor를 측정하였다. 결 과: BinkieRTTM를 사용 시 DCS (n=144) 의 평균은 0.8 ± 0.07, 95% 신뢰구간은 0.79~0.82 로 나타났고, 빈도분포 분석 결과는 왜도 -0.8, 첨도 0.61 로 나타났다. 치료 기간 중 혀 중심축 이동에 대한 편차를 분석하기 위해 LR, SI, AP 방향 이동에 대한 95% 신뢰구간과 편차의 이상값인 0에 대한 일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n=144) t검정 결과 LR, SI 방향의 평균은 각각 0.01 ± 0.14 cm(p>.05), 0.03 ± 0.25 cm(p>.05), AP 방향은 -0.08 ± 0.25 cm(p<.05) 로 나타났다. 혀를 치료부위의 반대 방향으로 고정한 경우인 편측 귀밑샘 종양 환자들의 경우 BinkieRTTM를 사용한 환자들의 혀 평균선량은 처방선량 대비 평균 16.92% ± 3.58%, Paraffin Wax 환자 23.99% ± 10.86% 로 BinkieRTTM 사용 시 혀 선량이 비교적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반면, 혀를 아래로 누르는 목적으로 BinkieRTTM를 사용한 환자들 중 비강암 환자의 혀 평균선량은 평균 4.4% ± 5.6%, mouth piece를 사용한 환자들은 5.9% ± 6.8% 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Paraffin Wax와 BinkieRTTM, Putty의 상대전자밀도 측정 결과 각각 0.94, 0.99, 1.26, Transmission Factor는 각각 0.99, 0.98, 0.96로 나타났다. 결 론: BinkieRTTM의 치료기간에 걸쳐 나타난 혀 DSC분석 결과는 약 0.8, 고정력은 LR, SI 방향으로의 편차가 0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우수하였으며, AP방향의 고정력 또한 평균 0.08 cm 로 우수한 편이었다. 또한 혀를 옆으로 밀어 치료부위 반대 방향으로 고정하는 편측 두경부암 환자의 경우 Paraffin wax나 Putty를 사용하는 것보다 BinkieRTTM를 사용하는 것이 혀에 조사되는 불필요한 선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실험 결과와 BinkieRTTM의 특성을 적절히 고려하여 두경부암 치료에 적용한다면 혀의 재현성 유지 및 선량 감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