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yntactic model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3초

The Parallel Corpus Approach to Building the Syntactic Tree Transfer Set in the English-to- Vietnamese Machine Translation

  • Dien Dinh;Ngan Thuy;Quang Xuan;Nam Ch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ICEIC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 /
    • pp.382-386
    • /
    • 2004
  • Recently, with the machine learning trend, most of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s on over the world use two syntax tree sets of two relevant languages to learn syntactic tree transfer rules. However, for the English-Vietnamese language pair, this approach is impossible because until now we have not had a Vietnamese syntactic tree set which is correspondent to English one. Building of a very large correspondent Vietnamese syntactic tree set (thousands of trees) requires so much work and take the investment of specialists in linguistics. To take advantage from our available English-Vietnamese Corpus (EVC) which was tagged in word alignment, we choose the SITG (Stochastic Inversion Transduction Grammar) model to construct English- Vietnamese syntactic tree sets automatically. This model is used to parse two languages at the same time and then carry out the syntactic tree transfer. This English-Vietnamese bilingual syntactic tree set is the basic training data to carry out transferring automatically from English syntactic trees to Vietnamese ones by machine learning models. We tested the syntax analysis by comparing over 10,000 sentences in the amount of 500,000 sentences of our English-Vietnamese bilingual corpus and first stage got encouraging result $(analyzed\;about\;80\%)[5].$ We have made use the TBL algorithm (Transformation Based Learning) to carry out automatic transformations from English syntactic trees to Vietnamese ones based on that parallel syntactic tree transfer set[6].

  • PDF

선형 혼합 모형을 통해 살펴본 쓰기 능력의 장기적인 발전 양상 탐색 (Investigation into Longitudinal Writing Development Using Linear Mixed Effects Model)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15-319
    • /
    • 2022
  • 본 연구는 선형 혼합 모형을 활용하여 쓰기 능력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를 통사적 복잡성(syntactic complexity) 측면에서 4명의 사례 연구자들이 작성한 에세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연구자들은 자발적으로 Criterion 이라는 자동 쓰기 평가 프로그램의 피드백을 받아 초안과 수정본을 교실 밖에서 매달 한 개 씩 일 년 동안 작성했다. 총 48개 초안 에세이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고, 통사적 복잡성은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의 14개 지표 중에서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선형 혼합 모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간과 T-unit의 평균길이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길이가 긴 T-uni을 포함한 에세이를 작성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과 의존절과 독립절 간의 비율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선형 관계가 있었는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일 년 동안 높은 비율의 의존절이 포함된 에세이를 작성했음을 시사한다.

문장성분의 다양한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 (Korean Parsing Model using Various Features of a Syntactic Object)

  • 박소영;김수홍;임해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6호
    • /
    • pp.743-74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구문 중의성 해결을 위해 문장성분의 구문자질, 기능자질, 내용자질, 크기자질을 활용하는 확률적 한국어 구문분석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구문분석 모델은 한국어의 부분자유어순과 생략현상을 잘 처리할 수 있도록 문법규칙을 이진형식으로 제한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구문분석 모델의 성능을 각 자질조합별로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 자질의 조합이 서로 유사한 특징을 갖는 자질의 조합보다 구문중의성 해결에 더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단일자질인 기능자질이 내용자질과 크기자질의 조합보다 성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Probing Sentence Embeddings in L2 Learners' LSTM Neural Language Models Using Adaptation Learning

  • Kim, Eu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3-23
    • /
    • 2022
  • Prasad et al.는 사전학습(pre-trained)한 신경망 L1 글로다바(Gulordava) 언어모델을 여러 유형의 영어 관계절과 등위절 문장들로 적응 학습(adaptation learning)시켜 문장 간 유사성(sentence similarity)을 평가할 수 있는 통사 프라이밍(syntactic priming)-기반 프로빙 방법((probing method)을 제안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배우는 영어 자료를 바탕으로 훈련된 L2 LSTM 신경망 언어 모델의 영어 관계절 혹은 등위절 구조의 문장들에 대한 임베딩 표현 방식을 평가하기 위하여 프로빙 방법을 적용한다. 프로빙 실험은 사전 학습한 LSTM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추가로 적응 학습을 시킨 LSTM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문장 임베딩 벡터 표현의 통사적 속성을 추적한다. 이 프로빙 실험을 위한 데이터셋은 문장의 통사 구조를 생성하는 템플릿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구축했다. 특히, 프로빙 과제별 문장의 통사적 속성을 분류하기 위해 통사 프라이밍을 이용한 언어 모델의 적응 효과(adaptation effect)를 측정했다. 영어 문장에 대한 언어 모델의 적응 효과와 통사적 속성 관계를 복합적으로 통계분석하기 위해 선형 혼합효과 모형(linear mixed-effects model) 분석을 수행했다. 제안한 L2 LSTM 언어 모델이 베이스라인 L1 글로다바 언어 모델과 비교했을 때, 프로빙 과제별 동일한 양상을 공유함을 확인했다. 또한 L2 LSTM 언어 모델은 다양한 관계절 혹은 등위절이 있는 문장들을 임베딩 표현할 때 관계절 혹은 등위절 세부 유형별로 통사적 속성에 따라 계층 구조로 구분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Processing Nominal Suffixes in Korean: Evidence from Priming Experiments

  • Ahn, Hee-Don;An, Duk-Ho;Choi, Jung-Yun;Hwang, Jong-Bai;Jeon, Moon-Gee;Kim, Ji-Hyon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morphologically complex nouns in Korean through a series of priming studies. Two experiments examined whether morphological affixes on Korean nouns were decomposed or processed as a whole. Two types of morphological affixes were examined: morpho-syntactic case markers and the plural marker '-tul'. Results showed that priming occurred for the plural marker with SOAs of 80 ms and 160 ms, but no priming occurred for the morpho-syntactic case ma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phological processing for these two types of affixes differ. We argue that Korean nouns with the plural suffix are decomposed into the stem and affix, supporting the Decomposition Model (Pinker & Ullman, 2002). We suggest that while plural markers are truly morphological affixes, case markers in Korean are morpho-syntactic, and thus presuppose the existence of other syntactic elements, such as the matrix verb, hence the lack of priming effects.

  • PDF

구문 분석과 One-Stage DMS/DP를 이용한 연속음 인식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using Syntactic Analysis and One-Stage DMS/DP)

  • 안태옥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3호
    • /
    • pp.201-207
    • /
    • 2004
  • 본 논문은 연속음 인식에 관한 연구로써,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MS/DP에 의한 음성 인식 방법을 사용한다. 인식 실험을 위해 우선 구간 구분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DMS(dynamic Multi-Section) 모델을 만들며, 구문 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MS/DP 방법으로 연속음 데이터를 인식하게 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한 인식 실험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비교를 위해 전통적인 One-Stage DP 방법을 같은 조건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수행하였다. 인식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구문분석을 이용한 One-Stage DMS/DP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Fuzzy Syntactic Pattern Recognition Approach for Extracting and Classifying Flaw Patterns from and Eddy-Current Signal Waveform

  • Kang, Soon-Ju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2권4호
    • /
    • pp.59-65
    • /
    • 1997
  • In this paper, a general fuzzy syntactic method for recognition of flaw patterns and for the measurement of flaw characteristic parameters for a non-destructive inspections signal, called eddy-current, is presented. Solutions are given to the subtasks of primitive pattern selection, signal to symbol transformation, pattern grammar formulation, and event-synchronous flaw pattern extraction based on the grammars. Fuzzy attribute grammars are used as the model for the pattern grammar because of their descriptive power in the face of uncertain constraints caused by nose or distortion in the signal waveform, due to their ability to handle syntactic as well as semantic information. This approach has been implemented and the performance of eh resultant system has been evaluated using a library of law patterns obtained from steam generator tubes in nuclear power plants by an eddy current-based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 PDF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

  • 배장성;이창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1호
    • /
    • pp.36-43
    • /
    • 2017
  • 의미역 결정 연구에 있어 구문 분석 정보는 술어-논항 사이의 의존 관계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역 결정 성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의미역 결정 이전에 구문 분석을 수행해야 하는 비용(overhead)이 발생하게 되고, 구문 분석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그대로 답습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구문 분석 정보를 제외한 형태소 분석 정보만을 사용하는 End-to-end SRL 방식의 한국어 의미역 결정 시스템을 제안하고, 순차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LSTM RNN을 확장한 Stacked Bidirectional LSTM-CRFs 모델을 적용해 구문 분석 정보 없이 기존 연구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표층 구문 타입을 사용한 조건부 연산 모델의 일반화 LR 파서 (Generalized LR Parser with Conditional Action Model(CAM) using Surface Phrasal Types)

  • 곽용재;박소영;황영숙;정후중;이상주;임해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_2호
    • /
    • pp.81-92
    • /
    • 2003
  • 일반화 LR(Generalized LR, 이하 GLR) 파싱은 선형 스택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LR 파싱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만들어진 LR 파싱 기법의 하나로서, LR 기법에 여러 가지 매커니즘을 통합하여 자연어 파싱에 응용하는 작업의 토대가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확률적 LR 파싱 기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개선한 조건부 연산 모델(Conditional Action Model)을 제안한다. 기존의 확률적 LR 파싱 기법은 그래프 구조 스택의 복잡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제한된 문맥 정보만을 사용하여 왔다. 제안된 모델은 부분 생성 파스의 표현을 위하여 표층 구문 타입(Surface Phrasal Type)을 사용하여 그래프 구조 스택에 들어 있는 구문 구조를 기술함으로써 좀 더 세분된 구조적 선호도를 파서에 반영시킬 수 있다. 실험 결과, 어휘를 고려하지 않고 학습한 조건부 연산 모델로 구현된 본 GLR 파서는 기존의 방식보다 약 6-7%의 정확도 향상을 보였으며, 본 모델을 통해 풍부한 스택 정보를 확률적 LR 파서의 구조적 중의성 해결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한국어 텍스트 문장정렬을 위한 개체격자 접근법과 LSA 기반 접근법의 활용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Entity-Grid and LSA models on Korean sentence ordering)

  • 김영삼;김홍기;신효필
    • 인지과학
    • /
    • 제24권4호
    • /
    • pp.301-321
    • /
    • 2013
  • 본 논문은 텍스트의 응집도 측정과 텍스트 자동생성 시스템을 위한 기초기술 중 하나인 문장정렬 과제에 대한 연구로, 개체기반적(entity-based) 접근의 한 유형인 개체격자 모형(Entity-Grid model)과 벡터공간 모형에 기반한 LSA(Latent Semantic Analysis)를 모두 시도하고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개체격자 모형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 논의된 명사들의 통사역(syntactic role) 정보가 한국어 텍스트 정렬과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독일어권 응용연구 결과와는 달리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의 격조사를 활용하는 전략을 취했으며, 이는 한국어의 격표지 정보가 한국어 텍스트의 응집성을 측정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개체격자 모형을 통한 결과를 LSA 기반 모형결과와 비교하여 양 모형의 장단점과 향후 개선점을 아울러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