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tactic

검색결과 717건 처리시간 0.026초

어휘 정보와 구문 패턴에 기반한 단일 클래스 분류 모델 (One-Class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Lexical Information and Syntactic Patterns)

  • 이현구;최맹식;김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6호
    • /
    • pp.817-822
    • /
    • 2015
  • 관계 추출은 질의응답 및 지식확장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주요 정보추출 기술이다. 정보추출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관계 범주가 수동으로 부착된 대용량의 학습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지도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는 학습 데이터 구축을 위한 인간의 노력을 줄이기 위해 원거리 감독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원거리 감독법은 분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부정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원거리 감독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부정 데이터 없이 학습이 가능한 단일 클래스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입력 데이터로부터 긍정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해서 제안 모델은 벡터 공간 상에서 어휘 정보와 구문 패턴에 기반한 유사도 척도를 사용하여 입력 데이터가 내부 범주에 속하는지 그렇지 않은지 판단한다. 실험에서 제안 모델은 대표적인 단일 클래스 분류 모델인 One-class SVM보다 높은 성능(0.6509 F1-점수, 0.6833 정밀도)을 보였다.

대명사의 참조관계 처리시의 맥락의 역할 (The Contextual Effects on Pronoun Reaolution)

  • 방희정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279-307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글이해시의 참조관계 처리 과정에서 맥락이 어떤 영향을 미치며 다른 통사 정보와는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대명사 해결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실험1에서는 무관단어 어휘판단 과제 및 선행참조어 강제선택 과제를 사용하여 글이해시 대용어 문장에서 제공되는 하위 수준의 국소적 맥락편중에 의한 촉진 효과를 입증했다.그러나 맥락 편중에 의한 촉진 효과는 통사적으로 명료한 조건에서는 보다는 애매 조건에서 더욱 강하여,맥락과 통사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냈다.실험 2 에서는 대용어 문장 수준에서는 국소적 맥락 정보가 주어지지 않더라도 선행글로 부터 제공된 상위 수준의 전체주제와 관련된 총체적 맥락 정보가 참조관계 해결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실험 3 에서는 전체 덩이글 에서의 선행된 총체적 맥락과 후행하는 국소적 맥락간의 일관성 변인이 대명사 해결시에 촉진적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즉 세개의 실험을 통해 글이해에 미치는 맥락 촉진 효과가 다양한 수준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인접 단어들의 접속정보를 이용한 일한 활용어 번역 (Japanese-to-Korean Inflected Word Translation Using Connection Relations of Two Neighboring Words)

  • Kim, Jung-In;Lee, Kang-Hyuk
    • 인지과학
    • /
    • 제15권2호
    • /
    • pp.33-42
    • /
    • 2004
  • 일본어와 한국어는 문법적으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사점을 잘 이용한다면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구문해석이나 의미해석의 상당한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몇 년 전부터 우리는 유사성을 이용하여 번역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번역테이블을 이용한 일한기계번역 시스템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이 시스템은 활용어미의 번역, 다의성 단어의 처리 등 및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번역데이블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개선하여 이웃하는 단어들과의 관계 정보를 이용한 일한 기계번역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조사, 조동사의 접속정보를 최대한 이용한다. 또한, 번역 테이블을 엔트리테이블과 접속정보 테이블로 나누어 설계하여 번역의 효율을 높인다. 즉, 하나의 역어만 가지는 단어인 경우, 우리는 일한 직접 대응 방법을 이용하여 바로 번역하고 2개 이상의 역어로 번역되어야 할 경우만 접속 정보 값을 평가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번역어를 선택하도록 한다.

  • PDF

절 경계와 트리 거리를 사용한 2단계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 (A Two-Phase Shallow Semantic Parsing System Using Clause Boundary Information and Tree Distance)

  • 박경미;황규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5호
    • /
    • pp.531-540
    • /
    • 2010
  • 본 논문은 최대 엔트로피 모형에 기반한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의미 논항의 경계를 인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확인된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할당한다.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에서는 두 번째 단계인 논항 분류가 논항 확인 단계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논항 확인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논항 확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논항 확인의 전처리 단계에 구문 지식을 통합한다. 구체적으로, 절 인식 결과로부터 술어의 인접절 및 상위절들을 확인하고, 구문 분석 결과로부터 술어의 부모 노드로부터 구문 구성 요소의 부모 노드까지의 트리 거리를 추출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활용한다. 실험을 통해, 구문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부분 의미 분석 성능에 기여함과 제안하는 두 단계 방법이 한 단계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보인다.

XML 문서 편집을 위한 추상문법 (An Abstract Grammar for XML Document Editing)

  • 신경희;최종명;유재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268-277
    • /
    • 2003
  • 문서내의 태그를 정의하는 문서타입정의(DTD)는 구문구조를 정의하는 XML 문서문법으로 이문법에 따라 작성되는 XML 문서는 파싱처리로 적합성을 확인해야 한다. XML 문서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한 파싱 방법으로서 프로그래밍 언어의 결정적 파싱은 표준에서 언급한 모든 엘리먼트선언에 대한 결정적 내용 모델에 대한 정의를 만족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적합한 XML 문서 처리를 위하여 구문 편집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구문편집에 기본이 되는 DTD의 내부표현과 그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하여 기술한다. 문자열로 표현되는 DTD의 엘리먼트선언과 어트리뷰트선언의 문서 논리구조는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그래프구조와 데이블구조로 변환되고, 특히 테이블구조의 구문정보는 속성값을 갖는 문맥자유문법형태로 구문지향적 편집기에 이용되는 문법이 된다. 이 문법을 XML 추상문법이라고 하고 문법생성결과 및 구문편집 예를 보인다.

시멘틱 웹 기반 DQL 검색 시스템 설계 (Semantic Web based DQL Search System)

  • 김제민;박영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1호
    • /
    • pp.91-100
    • /
    • 2005
  • 인터넷의 등장 이후 폭발적으로 증대되는 웹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 되고 있다. 현재, 웹 서비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 기반 검색은 syntactic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웹 서비스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 하고자 시멘틱 웹(semantic web)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시멘틱 웹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의미와 일치하는 정보를 찾아줄 수 있다. 시멘틱 웹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은 BQL (Daml Query Language)을 이용한 시멘틱 검색(Semantic search)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시멘틱 검색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들을 해석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정보와 의미가 같은 해답을 얻어내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해 시멘틱 엘 기반의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목적을 가지며, 효과적인 검색 시스템을 설계하기위해 사용자 중심의 키워드 형태 질의론 시스템 중심의 DQL로 변환하는 RDQL 변환기와 추론엔진을 불러내어 추론을 실행하는 RDQL 엔진을 제안한다.

순환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활용한 초등 영어 글쓰기 자동 평가 (Automatic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Writing Based on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 박영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1-169
    • /
    • 2017
  • 작성된 문서의 문법적 오류 교정을 할 때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글 중에는 문법적으로는 옳더라도 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2개의 문장이 주어졌을 때, 어떤 것이 더 자연스러운 문장인지 자동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장기 의존성(long-term dependencies) 문제를 해결하고, 보조 단어(subword)를 사용하여 희소 단어(rare word) 문제를 해결한다. 약 200만 문장의 단일어 코퍼스를 통해 순환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학습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이 주로 틀리는 표현들과 그에 대응하는 올바른 표현을 입력으로 주었을 때, 모든 경우에 대해 자연스러운 표현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었다. 본 소프트웨어가 스마트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면 실제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간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상업지구 내 가로망의 공간배열 특성 - 대전시 으능정이 문화거리를 중심으로 (Spac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Street Network in Commercial Distric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Ecology - Focused on Euneungjeongi Culture Street in Daejeon, Korea)

  • 박준영;임수영;반영운;정상규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17-22
    • /
    • 2013
  •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an urban commercial district by identifying space syntactic propertie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ecology, of the street network in Enuengjeongi culture street as the representative commercial district of Daejeon City in Korea. The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Angular Segment Analysis (ASA) on the street network in subject area for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ocially integrated nodes are arranged along the axis of main street in the district. However, in some of those node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social integrative function have weakened, because open spaces as public space for the general public are occupied illegally by commercial purposes of shops and car parking. It was found that the socially isolated nodes are located at the district boundary connected to a relative narrow street, with a relatively low density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Besides, it was identified that a street width in the commercial district may be a factor affect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a space on the basis of the openness of the space.

영어, 독일어 그리고 한국어의 강화사 (INTENSIFIERS) -머리에 묶이지 않은 용법 (NON-HEAD-BOUND-USE)을 중심으로

  • 최규련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9-225
    • /
    • 2001
  •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compare English, German and Korean non-head-bound-intensifiers such as English ‘x-self’, German ‘selbst’, and Korean ‘susulo, casin’. That is, this paper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semantic domain where the respective contributions of the expressions in question overlap. The phenomenon under discussion with the label “intensifiers” is regarded as universal, which provides the ground of the comparative/contrastive or semi-cross-linguistic study of this paper. Not only the semantic concept of intensification by these expressions but also the combination of grammatical features or syntactic behaviours thereof seem to have highly invariant common denominators among the wide varieties of languages, even if they come from apparently different language families. In comparing English, German and Korean intensifiers, this paper is interested in the more general features of the expressions in question rather than some language-specific idiocyncracies. Intensifiers work similarly not only in English and German, but also in Korean. Each of three languages under investigation provides some sort of a safegard against confusing instances and misleading judgements on the issues under discussion. Morphologically, however, English expressions in question agree with their rele-vant NP in number, gender and person. Whereas German and Korean counterparts do not have such specific morphological properties. Intensifiers in their non-head-bound-use are subject-oriented, just as in their head-bound use. Non-head-bound-intensifiers differ from head-bound-intensifiers mostly in their syntactic behaviours or distributional properties, whereas they share the semantic domain “intensification” regarding relevant subject-NP. They introduce an ordering and distinguish center and periphery, and ‘self-involvement (directness of involvement)’seems a additional possible characterisation of the relevant dimension of these intensifiers in common. An assertion of identity also can be reg

  • PDF

정상성인 여성 화자와 음성장애 성인 여성 화자의 문단 낭독 시 휴지 및 호흡단락 특성의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auses and breath groups during paragraph reading for normal female adults with and without voice disorders)

  • 표화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109-116
    • /
    • 2019
  • 본 연구는 정상군과 음성장애 환자군의 문단낭독 시 휴지 및 호흡단락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시행되었다. 정상군 40명과 기능적 음성장애 환자군 40명을 대상으로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 중 Running Speech를 이용하여 '가을' 문단을 낭독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흡기 동반 및 미동반, 어절간 및 어절내 휴지와 호흡단락을 구분하고 이에 대한 기술통계 및 집단간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흡기를 동반한 휴지횟수는 환자군이 더 높았으나 흡기를 동반하지 않은 휴지횟수는 정상군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어절경계 중 휴지가 동반된 비율은 환자군이 더 높았고 호흡단락당 음절수는 정상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음성장애 화자군은 성대폐쇄부전으로 인한 호흡지지가 정상군보다 부족하므로 휴지 시 흡기를 동반하는 경우나 호흡단락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일상대화의 자연스러움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음성장애 화자의 중재 시 휴지와 호흡단락의 빈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평가 및 중재에 포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