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ynaptic vesicl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42초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구조 단백질의 정신과적 의의 (Psychiatric Implication of Synaptic Adhesion Molecules and Scaffold Proteins)

  • 오대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3호
    • /
    • pp.119-126
    • /
    • 2010
  • Synaptic adhesion molecules mediate synapse formation, maturation and maintenance. These proteins are localized at synaptic sites in neuronal axons and dendrites. These proteins function as a bridge of synaptic cleft via interaction with another synaptic adhesion molecules in the opposite side. They can interact with scaffold proteins via intracellular domain and recruit many synaptic proteins, signaling proteins and synaptic vesicles. Scaffold proteins function as a platform in dendritic spines or axonal terminals. Recently, many genetic studies have revealed that synaptic adhesion molecules and scaffold proteins are important in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psychotic disorders, mood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In this review, fundamental mechanisms of synapse formation and maturation related with synaptic adhesion molecules and scaffold proteins are introduced and their psychiatric implications addressed.

고양이 선조체의 신경연접기구에 대한 형태학적 관찰 (The Synaptic Organization of the Cat Striatum)

  • 정진웅;최월봉;권흥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8권1호
    • /
    • pp.53-66
    • /
    • 1978
  • An attempt has been made to discriminate the synapses in the striatum consisting caudate nucleus, putamen and fundus striati of the cat with emphasis on the characteristic structures of axon terminals and postsynaptic profiles. The differentiation is based on the size and shape of vesicle in the bouton terminal, and the symmetrical or asymmetrical thickening the pre- and postsynaptic membrane. Four types of synapses could be differentiated: Type I: the bontons with asymmetrical,synaptic thickenings contain round 45 nm diameter vesicles and contact cell soma, dendritic shafts and dendritic spines (74%). Type II : the boutons contain round 45nm diameter vesicles and are associated with symmetrical membrane thickenings. These synapses are formed on the soma and dendritic shafts (6%). Type III: the boutons with symmetrical membrane thickenings contain 50-60 nm diameter pleomorphic vesicles, and contact soma and dendritic shafts (18%). Type IV: the terminals contain flattened vesicles ($25{\times}45 nm$) and are associated with symmetrical membrane thickenings. These synapses are found in contact with soma and dendritic shafts. Additionally, the bouton en passant, which is expanded from myelinated or unmyelinated axons containing round vesicles (45nm diameter) contacts the dendritic shaft or dendritic spine with asymmetrical membrane thickenings. Two unusual types of synapses, axo-axonic and dendro-dendritic, are found occasionally.

  • PDF

한국사람태아 내망막층 발생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ner Retinal Layer in Korean Human Fetuses)

  • 김백윤;양형모;윤재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21-139
    • /
    • 2000
  • 망막 발육에 관한 연구는 광수용세포와 외망상층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고 내망상층의 연구는 초기 발육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는 태생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인태아를 대상으로 내핵층의 신경모세포의 분화, 발육과 내망상층에서 신경연접 형성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좌고 30mm(태령 9주)때 망막은 외신경모세포와 내신경모세포로 분화, 발육하였고 외신경모세포의 분열은 90mm(태령 14주)때까지 진행되었다. Chievitz층은 30mm때, 내망상층은 50mm(태령 11주)때, 외망상층은 150 mm때 각각 형성되었다. 신경절세포는 자유리보솜이 세포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고 조면내형질망, 골지장치, 미세소관 및 농소체를 함유하고 있었다. 30mm때 뮐러세포는 신경절세포의 축삭사이로 돌기를 내고 있었고 초자체쪽에서 내경계막을 형성하였으며 90mm때는 뮐러세포의 돌기는 방사상으로 배열하고 있으며 다량의 활면내형질망을 함유하고 있었다. 신경연접은 50mm때 연접막비후는 존재하면서 연접소포를 내포하고 있지 않은 연접이 관찰되었고, 연접소포를 내포하고 있는 보통연접이 90mm때, 리본연접은 150mm때 각각 출현하였다. 260mm(태령 30주)때 연접소포가 없는 연접, 보통연접 및 리본연접 등 성인에서 출현하는 세 가지 연접이 모두 관찰되었다.

  • PDF

Sodium/chloride-Dependent Transporters: Elucidation of Their Properties Using the Dopamine Transporter

  • Caron, Marc 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88-93
    • /
    • 1994
  • The mechanisms controlling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synaptic transmission are numerous. Once an action potential reaches a nerve terminal, the stored neurotransmitters are released in a quantum fashion into the synaptic cleft. At that point neurotransmitters can act on post-synaptic receptors to elicit an action on the post-synaptic cell or net at so-called auto-receptors that are located on the presynaptic side and which often regulate the further release of the neutotransmitter. Whereas the action of the neurotransmitter receptors is regulated by desensitization phenomenon, the major mechanism by which the intensity and duration of neurotransmitter action is presumably regulated by either its degradation or its removal from the synaptic clef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specialized proteins located in fe plasma membrane of presynaptic terminals function to rapidly remove neurotransmitters from the synaptic cleft in a sodium chloride-dependent fashion. These proteins have been referred to as uptake sites or neurotransmitter transporters. Once taken up by the plasma membrane transporters, neurotransmitters are repackaged into secretory vesicles by distinct transporters which depend on a proton gradient.

  • PDF

치수유래 구심성 신경섬유의 삼차신경 감각핵군에서의 연접특성 (ULTRASTRUCTURAL ANALYSIS OF TOOTH PULP AFFERENTS TERMINALS IN THE MEDULLARY DORSAL HORN OF THE RAT)

  • 배용철;이은희;최민기;홍수형;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9-227
    • /
    • 2001
  • 일차연접부위에서 악안면 영역에서 유래하는 유해자극의 전달 및 처리기전을 이해하고자 horseradish peroxidase를 치수지배 구심성 신경섬유를 표식한 후 연수후각에서 미세구조 및 연접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식종말은 소수의 큰 치밀소포가 관찰되는 종말 (S형) 및 다수의 치밀소포를 함유하는 종말 (LDCV형)등 2종류로 분류할 수 있었다. S형 및 LDCV형 표식종말의 연접양식은 유사하였으며, 다수의 표식종말이 1개 혹은 2개의 neurofile과 연접을 이루어 대단히 단순한 연접양상을 보였다. 표식종말은 가지돌기체 보다는 다수의 가지돌기가시와 연접을 이루는 빈도가 높았다. 표식종말이 세포체 및 이에 인접한 근심부 가지돌기와 연접하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소수의 표식종말에서 p-ending과 연접하는 경우를 보였다. 표식종말의 체적, 표면적, 사립체의 체적, neurofile과 접하는 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단위표식종말당 연접소포의 수 및 연접소포의 밀도등은 넓은 범위의 계측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S형 및 LDCV형 표식종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연수후각에서 치수유래 구심성 신경섬유 종말의 연접양식은 고유의 특징을 보이며, 이는 신경회로의 기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태아 상경신경절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of Human Fetuses)

  • 김대영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1호
    • /
    • pp.7-22
    • /
    • 1998
  • The development of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ic method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40 mm to 260 mm of crown-rump length(10 to 30 weeks of gestational age). At 40 mm fetus,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as composed of clusters of undifferentiated cell, primitive neuroblast, primitive supporting cell, and unmyelinated fibers. At 70 mm fetus, the neuroblasts and their processes were ensheated by the bodies or processes of satellite cells. The cytoplasm of the neuroblast contain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mitochondria, Golgi complex, Nissl bodies and dense-cored vesicles. As the neuroblasts grew and differentiated dense-cored vesicles moved away from perikaryal cytoplasm into developing processe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cholinergic axon and dendrites of postganglionic neuron and a few axosomatic synapses were first observed at 70 mm fetus. At 90 mm fetus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consisted of neuroblasts, satellite cells, granule-containing cells, and unmyelinated nerve fibers. The ganglion cells increased somewhat in numbers and size by 150 mm fetus. Further differentiation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young ganglion cells, whose cytoplasm was densely filled with cell organelles. During next prenatal stage up to 260 mm fetus, the cytoplasm of the ganglion cells contained except for large pigment granules, all intracytoplasmic structures which were also found in mature superior cervical ganglion. A great number of synaptic contact zones between the cholinergic preganglionic axon and the dendrites of the postganglionic neuron were observed and a few axosomatic synapses were also observed. Two morphological types of the granule-containing cells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were first identified at 90 mm fetus. Type I granule-containing cell occurred in solitary, whereas type II tended to appeared in clusters near the blood capillaries. Synaptic contacts were first found on the solitary granule-containing cell at 150 mm fetu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soma of type I granule-containing cells and preganglionic axon termials were observed. In addition, synaptic junctions between the processes of the granule-containing cells and dendrites of postganglionic neuron were also observed from 150 mm fetus onward. In conclusion, superior cervical ganglion cells and granule-containing cells arise from a common undifferentiated cell precursor of neural crest. The granule-containg cells exhibit a local modulatory feedback system in the superior cervical ganglion and may serve as interneurons between the preganglionic and postganglionic cells.

  • PDF

삼차신경 운동핵에서 교근 근방추 구심성 신경섬유 종말지의 미세구조 (MORPHOLOGY OF THE TERMINAL ARBORS FROM THE MASSETERIC MUSCLE SPINDLE AFFERENTS IN THE TRIGEMINAL MOTOR NUCLEUS)

  • 이경우;배용철;김진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321-347
    • /
    • 1994
  • 교근의 근방추에서 유래하여 단일 연접성 고유수용성 악반사에 관여하는 구심성 신경섬유를 단일 축삭내 HRP 주입기법으로 염색해서 삼차신경 운동핵에서의 type I a 및 type II 신경 섬유 종말부의 미세 구조 및 연접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cdot}$ 대부분의 표식 종말지는 dome, 길쭉한 형태 혹은 둥근 모양을 나타내었으며, scalloped 형태 혹은 glomerulus 형태는 관찰되지 않았다. ${\cdot}$ 표식 종말지는 다수의 균일한 형태 및 크기(49-52nm) 의 투명한 구형의 소포와 때때로 소수의 치밀소포(직경:87-114nm)를 함유하고 있었다. ${\cdot}$ 표식 종말지의 크기는 type I a가 장경($1.91{\pm}0.63{\mu}m$), 단경($0.94{\pm}0.28{\mu}m$) 및 평균 직경($1.42{\pm}0.40{\mu}m$)에서 type II보다 작았다(p<0.05). ${\cdot}$ 표식 종말지는 신경원체 혹은 가지돌기와 비대칭 연접을 이루었으며, 다형소포와 같은 연접소포들을 함유하는 종말부와의 연접은 관찰되지 않았다. ${\cdot}$ 대부분의 type I a (94.9%) 및 type II(85.9%) 종말지는 단지 1개의 neuronal propile과 연접을 이루었으며, 4개 이상의 neuronal propile들과 연접을 이루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cdot}$ type I a 종말지에 있어서 대부분(87.2%)은 신경원체 및 근심부 가지돌기와 연접을 이루는데 반해 type II 종말지는 다수가(64.8%) 원심부 가지돌기와 연접을 이루었으며 신경원체 및 근심부 가지돌기와 연접을 이루는 경우는 35.2%에 그쳤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단일 연접성 악반사를 일으키는 구심성 신경섬유 종말부는 삼차운동신경핵에서, 동통 및 촉각 또는 감각분별등 복잡한 감각을 처리하는 감각핵에서 보다 연접후신경원에 강력한 흥분성 신호를 전달하며 또한 대단히 단순한 연접양상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ynapse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 Bae, Jae Ryul;Kim, Sung Hyun
    • BMB Reports
    • /
    • 제50권5호
    • /
    • pp.237-246
    • /
    • 2017
  • Synapse is the basic structural and functional component for neural communication in the brain. The presynaptic terminal i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ly essential area that initiates communication and maintains the continuous functional neural information flow. It contains synaptic vesicles (SV) filled with neurotransmitters, an active zone for release, and numerous proteins for SV fusion and retrieval.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synaptic plasticity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however, it is highly vulnerable to various pathological conditions. In fact, synaptic alteration is thought to be central to neural disease processes. In particular, the alteration of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phenotype of the presynaptic terminal is a highly significant evidence for neural diseases. In this review, we specifically describe structural and functional alteration of nerve terminals in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AD), Parkinson's disease (PD),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and Huntington's disease (HD).

Zinc-induced Neurotoxicity and Its Role in Brain Diseases

  • Koh, Jae-Young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4-14
    • /
    • 1998
  • Mammalian brian contains substantial amounts of chelatable zinc in presynaptic vesicles of certain glutamatergic terminals. The synaptic zinc is released with intense neuronal activity, suggesting its role in synaptic transmission. However, in pathological conditions, zinc may get released too excessively, which may contribute to neuronal death as shown in cortical cultures.(omitted)

  • PDF

삼차신경중간핵에서 저역치기계자극수용기 유래 들신경섬유 종말의 연접양상 (Synaptic Organization of Vibrissa Afferent Terminals in the Trigeminal Interpolar Nucleus)

  • 안형준;백상규;배용철;최종훈;김종열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87-106
    • /
    • 2005
  • 삼차신경계의 일차연접부위에서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저역치기계자극수용기에서 유래하는 감각정보의 전달 및 처리 기전을 이해하고자, 고양이 콧수염에서 유래하는 들신경섬유를 사용하여 단일축삭 내 기록법에 의해 HRP를 표식한 후, 삼차신경중간핵에서 시편을 제작하고 표식종말에 대한 연속절편을 형성하였다. 총 30개의 표식 신경종말을 대상으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삼차신경중간핵에서의 신경섬유 종말 및 연접이전축삭종말의 미세구조적 특징, 발현빈도, 연접양식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식종말은 직경 45$\sim$55 ㎚의 균일한 형태의 밝고 둥근 모양의 연접소포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가지돌기와는 연접이후 치밀질이 잘 발달되어 있고, 연접틈새가 크며, 여러 곳에서 넓은 연접구조를 보이는 비대칭연접을, 다형의 연접소포를 함유하는 비표식 축삭종말과는 연접이후 치밀질이 뚜렷하게 발달되지 않으며, 연접면적이 좁은 대칭연접을 형성하였다. 2. 각 표식종말은 인접한 신경구조물들과 최소 1개에서부터 최대 15개까지 신경연접을 형성하여 단위 표식종말 당 평균 4.77$\pm$3.37개의 신경연접이 관찰되었으며, 5개 이상의 신경구조물들과 연접을 형성하는 비교적 복잡한 연접양상이 다수의 표식종말(46.7%, n=14)에서 관찰되었다. 3. 표식종말이 세포체와 직접 연접하는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가지돌기와는 단위 표식종말 당 1.83$\pm$1.37개의 신경연접을 형성하였다. 가지돌기와 연접을 이루는 표식종말의 대부분(85.0%)은 원위부 가지돌기인 가지돌기체와 연접을 이루었으며(n=47, 1.57$\pm$1.38/1 bouton), 근위부 가지돌기(n=6, 0.20$\pm$0.41/1 bouton)나 가지돌기 가시(n=2, 0.07$\pm$0.25/1 bouton)와 연접을 이루는 경우는 드물었다. 4. 표식종말의 76.7%(n=23)에서 다양한 형태의 연접소포를 함유하는 축삭종말인 p-ending과 축삭사이연접을 형성하였으며 (2.93$\pm$2.36/1 bouton), p-ending이 표식종말 및 이에 연접하는 가지돌기와 동시에 연접을 형성하는 연접세동이도 60.0% (n=18)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고양이 콧수염에서 유래하는 들신경섬유 종말은 삼차신경중간핵에서 특징적인 연접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감각정보의 분별, 통각의 정동반응 등 복잡한 감각정보의 처리에 관여하는 삼차신경중간핵의 기능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신경종말의 미세구조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연접이전 억제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동정 등 생리학적인 기능에 대한 더욱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