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ord danc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검무(劍舞) 복식(服飾)의 연원과 변천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ition of Sword Dancing Costumes)

  • 윤지원
    • 복식
    • /
    • 제57권7호
    • /
    • pp.84-97
    • /
    • 2007
  • Dancing with weapons existed spontaneously when war and hunting were common, and sword dancing, as a dance for banquets, developed and changed in various forms. In Korea, sword dancing was performed from the Three Dynasty Period, and in Joseon Dynasty, it was performed as court ceremony. The origin of the sword dancing, that has been performed from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and costumes for sword dancing isn't accu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word dancing costume of China, Korea's neighboring country, and that of Korea in the same period, and to find out the process of wearing military uniform: Jun-mo, Jeo-go-ri, Chi-ma, Gwae-ja, and Jun-dae, being settled as the sword dancing costumes of Korea in late Joseon Dynasty. In China, sword dancing became famous in Han Dynasty, and in Tang Dynasty, it was the meridian of sword dancing with the most magnificent form. After the Song Dynasty, the sword dancing fades away. In Korea, the sword dancing started as a mask dancing of children that Hwa-rang(bravery youth) in Shilla Dynasty started. After the Unified Shiila Period, the sword dancing of Tang Dynasty spread to Korea, with active inter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 Corea Dynasty, the mask dancing of children faded and the sword dancing of Tang Dynasty changes into Korean form.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court ceremony after the mid-period of Joseon Dynasty, and the costumes were settled as the military uniform, which are Gwae-ja, and Jun-dae on top of Chi-ma, and Jeo-go-ri, and Jun-moon the head.

향제 검무와 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ocal Gum-Mu and Dancing Costumes)

  • 황혜영;소황옥
    • 복식
    • /
    • 제61권6호
    • /
    • pp.15-37
    • /
    • 2011
  • This study is on dancing dresses of the costumes of Gum-Mu(劍舞, sword dance) in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region of Korea, focusing on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the way of dance. The reason why the Gum-Mu is full of local color is that royal Korean Gisaeng(妓生) and local Gisaeng returned to their hometown and propagated this dance to each regional Kyobang. They combined court sword with each local dance and music and formed the present style of regional Gum-Mu. Dance and music native to area, which has formed today's regional Gum-Mu. The composition of current dancing costume of the sword dance is Jeogori, Chima, Jeondae(戰帶), Jeonrib(戰笠), Kwaeja(快子) Also, The complement colors harmonizing with color of Yin-Yang & Five Elements. which are yellow, blue, white, red, and black, are usually used. And the masculinity in dance were expressed withmore use of blue, and red in the opposite but if a sword dance takes on masculine character, blue color is more used, if feminie character, reddish colors, such as pink and red, are used. Thus, JinJu, Honam, Haeju, Pyeongyang dancing Suit of Gum-Mu feature blue color, Tongyeong, Kyeonggi, Court(seoul)dancing Suit of Gum-Mu feature reddish color.

劍器舞服飾애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Dancing Suit Gumgee-Mu)

  • 남후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142-150
    • /
    • 1997
  • Korean ritual dancing was doing in a royal court when an auspicious event happen in a country, a ritual ceremony was hold or reception for an envoy came from the other country was hold. There were 53 kinds of ritual dancing in Korea. Gumgee-Mu was the one among of them. Yea-Reung(woman ritual dancer) were dancing Gumgee-Mu with a sword. For Gumgee-Mu they wore a Kaeja(快子), Haebsuyoi(挾袖衣). Above it they took a Jeandae(戰帶), Jeanlib(戰笠). The dancing suit\`s color had a harmony with well mixed. Lunar-Solar-Five-Natural(陰陽五行) of oriented traditional concept.

  • PDF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0호
    • /
    • pp.163-204
    • /
    • 2010
  • 감로탱은 수륙재를 거행할 때 거는 탱화로서 수륙화라고도 부른다. 중국 명나라 때의 보녕사 수륙화는 모두 139개의 족자에 장면들을 나누어서 그려 놓았다. 그러나 한국의 감로탱은 하나의 커다란 탱화에 모든 장면을 함께 그려 놓았다. 감로탱의 구성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바로 하단에 그려진 육도 윤회상이다. 육도윤회의 업을 반복해야 하는 미혹한 세계의 실상을 묘사하고 있는 하단은 아귀나 지옥고(地獄苦)뿐만 아니라 천상 인간 아수라 축생의 고통상을 인간 세상의 다양한 현실생활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하단에 묘사된 인물들은 죽은 영혼들의 생전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이들이 바로 수륙재를 통해 천도되어야 할 대상이다. 감로탱의 하단부는 사회생활, 현실생활을 묘사한 내용으로서 그 주제가 인생의 고통, 재난, 인생무상을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불교에 귀의하고 해탈하도록 의도하고 있지만, 오히려 당시의 사회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감로탱의 하단부에 묘사된 다양한 유랑예인집단과 그들의 연희도 현실생활의 일부를 사실적으로 반영한 결과이다. 감로탱의 하단부에는 외줄타기, 쌍줄타기, 솟대타기, 쌍줄백이(솟대타기의 일종), 땅재주, 방울 쳐올리기, 탈춤, 접시돌리기, 인형극, 사당춤, 검무 등 전통연희의 공연장면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 중에는 솟대타기, 쌍줄백이, 쌍줄타기, 방울 쳐올리기, 검무(풍각쟁이패 연희)처럼 이제는 사라져버린 연희종목들도 있다. 감로탱에 묘사된 연희집단은 사당패, 남사당패, 솟대쟁이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 서커스단 등 모두 유랑예인집단이다. 이 유랑광대들은 각지를 떠돌다가 죽은 후에 무주고혼(無主孤魂)이 된다. 감로탱에 묘사된 각종 연희 장면의 연희자들은 죽은 사람의 생전 모습을 재현한 내용 가운데 일부로서 수륙재의 천도대상이다. 이 중 솟대쟁이패 사당패 초라니패 풍각쟁이패 굿중패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감로탱을 통해서 현재는 전승되지 않는 여러 연희종목들의 내용, 그리고 이미 사라져버린 유랑예인집단들의 구체적인 활동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일본신화의 고장 다카치호(高千穗)의 요가구라(夜神樂) (A Study of 'Yokagura of Takachiho': A sacred Music and Dancing Performed in Takachiho, the Land of Japanese Myths)

  • 박원모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43-107
    • /
    • 2005
  • 가무를 동반한 제사예능을 일본에서는 흔히 가구라(神樂)라고 부른다. 가구라의 어원은 가무쿠라(神座)라고 하여 신이 거하는 장소를 표현하는 것으로 제장 그 자체를 의미 한다. 그러나 현재에는 그 의미가 넓어져서 신이 거하는 자리를 마련해 놓고 마을 사람들이 한데 모여 그 앞에서 행하는 제사의 일체를 지칭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일본의 미야자키현(宮崎縣) 북서부에 위치한 신화의 고장 다카치호(高天穗)에서 행해지고 있는 가구라를 현지조사를 통하여 작성한 것이다. 매년 벼 베기가 끝난 11월 말에서 이듬해 2월초에 걸쳐서 다카치호의 각 마을에서는 가구라가 행해진다. 일반 민가를 택하여 가구라를 연행하는 가구라야도(神樂宿)로 삼고서 밤을 새워 33번의 가구라가 봉납된다. 다카치호의 가구라는 주로 철야로 행해진다고 하여 요가구라(夜神樂)라고도 한다. 가무를 담당하고 있는 호샤동이라고 불리우는 사람들은 지극히 평범한 마을 사람들로 이들에 의해 다카치호가구라는 전승되고 있다. 다카치호가구라는 현재 20여개 마을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국가지정 중요무형민속문화재로도 지정되어 있다. 다카치호가구라는 지금의 히로시마현의 동부인 이즈모의 사다대사(佐陀大社)에서 행해진 신사(神事)에 그 모범을 두고 있어서, 모리모노(採物)라고 총칭되는 사카키(柳), 고헤이(御幣), 방울(鈴), 부채(扇), 칼(太刀) 등의 무구를 들고 추는 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 신노(神能)라고 하는 가면놀이가 곁들어져 있다. 마을의 신사에서 수호신인 우지가미(氏神)와 야오요로즈노가미(八百万神)라고 해서 팔백만의 제신들을 맞이하여 가구라야도에 모셔놓고 순번에 따라 33번의 가구라를 연행한다. 히코마이(彦舞) 다이도노(大殿) 가미오로시(神降) 등 강신을 위한 춤으로부터 시작하여, 아마노이와토라고 하는 일본신화를 소재로 한 다지카라오(手力男) 우즈메(細女) 도토리(戶取)를 중심으로, 고풍(古風)의 귀신의 춤인 시바히키(紫引), 곡예가 혼합된 야츠바치(八鉢) 등이 있으며, 히노마에(日之前) 구리오로시(繰下) 구모오로시(雲下) 등의 송신(送神)을 위한 춤을 마지막으로 밤을 지새우며 아침까지 연행된 33번의 가구라가 끝이 난다. 본 논문에서는 다카치호가구라(高千穗神樂)를 민족지적 기술과 함께 예능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다카치호가구라는 강신이나 신탁은 일어나고 있지 않으나 민가에서 행해지고 있는 가구라로서 사토가구라(鄕紳樂)의 고형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다카치호는 천손강림의 땅으로 일본신화와 관련된 제차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교적 예능화가 진전되어 있다. 현지조사는 1997년 12월 6일부터 12일까지 이와토지구(岩戶地區)의 고카무라(五村)와 미타이지구(三田井地區)의 아사카베(淺部)에서 행하였으며 1999년 12월 17일부터 19일까지 그리고 2000년 12월 1일부터 10일까지 사바지역과 함게 아사카베에서 보충조사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