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weet science

검색결과 1,285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산 고추를 이용한 육류용 고추분말 복합조미료 개발 및 관능특성 평가 (Development of Value-Added Seasoning Products with Korean Chile Peppers (Capsicum annuum L.) for Grilled Beef and Their Sensory Evaluation)

  • 유경미;이슬;김민경;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53-760
    • /
    • 2010
  • 한국산 고춧가루를 이용한 수출용 고부가가치 육류 고추분말 복합조미료를 개발 하였다. 한국산 고추분말가루를 이용하여 복합조미료 개발 시 한국산 고춧가루는 미생물의 부패정도가 적어 위생적이고 한국 고유의 재료인 유자, 단호박, 버섯을 혼합하여 외국 조미료에 비해 맛의 차별화를 두었다. 수출용 육류 고추복합조미료(AI)는 한국산 고춧가루(20%), 오레가노, 파슬리, 타임 등의 총 허브류(26.1%), 소금(11.4%), 버섯, 마늘, 각각 8.5%로 구성되었고 그 외 흑후추, 파프리카, 단호박, 유자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능평가에서 AI(고춧가루, 오레가노, 파슬리, 타임, 흑후추, 소금, 버섯, 커리, 유자, 파프리카, 단호박 및 마늘)은 미국산 고추 복합조미료제품보다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한국산 고추의 새로운 가공식품 분야로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노인의 식습관과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tate of the elderly oral health and food habits)

  • 권미영;원영순;김윤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2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etary habits and oral health of elderly people in an attempt to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geared towar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enior citizen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Seoul.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Regarding subjective oral health state, 54.5% of the elderly people, more than the half, considered their mouth to be in good health. The number of their mean remaining permanent teeth was 13.71. 47.5 percent of the senior citizens investigated had no shaking teeth. 2. Those who found themselves to be in good oral health had meals on a regular basis(p=0.022) and ate detergent food often. The gaps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p=0.005). In contrast, the elderly people who were in a bad oral health frequently ate cariogenic food(p=0.044). 3. The elderly people who had 21 teeth or more ate detergent food often(p=0.029), and those who owned no teeth had a sweet teeth(p=0.003), ate more cariogenic food(p=0.001) and had a snack frequently(p=0.026). 4.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detergent food intake(r=0.23) and had a slightly negative correlation to preference for sweets(r=-0.14), cariogenic food intake(r=-0.14) and snack intake(r=-0.06). The number of tooth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detergent food intake(r=0.23) and negatively to preference for sweets(r=0.32), cariogenic food intake(r=-0.30) and snack intake(r=-0.21). The presence or absence of shaking teeth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nack intake(r=0.14).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dietary habits of the elderly peopl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subjective and objective oral health state, which indicat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dietary habits. Therefore how to improve dietary habits as well as oral health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developed for the sake of the elderly. That woul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oral health of elderly people and eventually boosting their quality of life.

  • PDF

Leuconostoc mesenteroides sp. strain JFY 균주에 의한 만니톨 발효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annitol Fermenta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p. strain JFY)

  • 유선균;허상선;송석환;김경민;황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4-381
    • /
    • 2005
  • 기능성 식품 첨가물 중에서 당 알코올은 최근 그들의 탁월한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당 알코올 중에서, 만니톨$(C_6H_{14}O_6)$은 식품, 화장품, 제약 산업 등에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인체에 독성이 없어 미국 FDA에 의하여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승인이 되어 이에 대한 수요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발효 김치에서 분리 된 L. mesenteroides sp. strain JFY 균주를 이용하여 과당으로부터 만니톨 생산을 위한 최적 생물 전환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만니톨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들은 pH 6.5, 배양온도 $28^{\circ}C$, 효모 추출물의 농도 $0.5\%$, 과당의 농도는 $10\%$이었고, 이 조건에서 최대 만니톨생산은 31.5g/l이었다.

관능검사법(官能檢査法)에 의한 식품(食品)의 품질(品質) 평가(評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우유의 관능(官能) 품질(品質)의 평가(平價)를 위한 파넬원 선발(選拔) 및 차이(差異) 식별(識別) 시험(試驗)- (Studies on the Evaluation for the Quality of Food by Sensory Testing -I. Selection of Sensory Panel and Difference Testing for the Evaluation on the Sensory Quality of Milk-)

  • 채수규;장권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0-157
    • /
    • 1980
  • 관능검사법(官能檢査法)에 의한 식품(食品)의 품질(品質) 평가(評價)를 위하여 관능(官能) 파넬을 선발(選拔)하여 우유에 대한 차이(差異) 식별(識別) 시험(試驗)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파넬원 선발(選拔)의 일반(一般) 기준(基準), 감도(感度) 시험(試驗)및 차이(差異) 식별(識別) 능력(能力) 시험(試驗)을 통하여 40명의 관능(官能) 파넬을 선발(選拔)하였으며 또한 그들이 우유 품질(品質)의 관능적(官能的) 평가(評價)에 있어서 정상 능력을 갖도록 훈련(練訓)을 실시하였다. 2. 파넬원의 기본(基本) 맛에 대한 감도(感度) 시험(試驗) 결과(結果) 짠맛, 신맛, 쓴맛 및 단맛의 평균 최소(最小) 감도(感度)양(量)은 각각 0.0128M sodium chloride, 0.008M citric acid, 0.0016M caffeine 및 0.0256 M sucrose이었다. 3. 시판(市販) 5개(個) 회사(會社) 제품(製品)의 우유 시료(試料) 간(間)에 단일시료법(單一試料法), 2점(點) 대비법(對比法), 1 2 점(點) 시험법(試驗法) 및 3점(點) 시험법(試驗法)에 의한 차이(差異) 식별(識別) 시험(試驗)을 통하여 1% 수준(水準)이상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동결건조 Muscat Bailey A 포도로 만든 아이스와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Ice Wines Prepared with Freeze-dried Muscat Bailey A Grapes)

  • 전은정;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3-179
    • /
    • 2014
  • 국내산 포도주의 품질 개선을 위한 발효 방법으로 국내산 포도 Muscat Bailey A를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당분을 농축시키고 이를 발효하여 아이스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시중 아이스와인과 같이 환원당이 많이 잔존하면서 알코올 도수는 $10{\pm}5%$ 내외로 발효를 종료해 일반적으로 제조한 포도주와 비교하여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 아이스와인 기준과 유사한 포도즙(must) 당도 $34.8^{\circ}Bx$와, 보당에 따른 포도주 발효에서 정상 발효될 수 있는 한계점으로 생각된 포도즙 당도 $40.8^{\circ}Bx$로 포도를 동결건조한 후 포도주를 제조하였으며, 포도주 발효 과정 중에 발효특성을 알코올, 당도, 환원당 함량과 pH, 총산, 효모생균수, 포도주 생산량을 측정해 보았는데,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농축된 당, 산으로 인해 발효가 종료되었을 때 잔존하는 환원당은 대조구가 0.3%인 반면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각각 21.5%와 23.9%를 나타내었다. 또한 알코올 함량은 대조구 9.6%에 비해 각각 10.3%와 10.6%를 나타냈으며, 총산 함량이 높았고 정상발효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리당, 유기산 조성을 보아도 아이스와인의 경우가 발효전후에 함량이 높게 나왔으며, 총 페놀함량도 468 mg/L인 대조구와 비교하여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각각 1,304, 1,350 mg/L로 높아 건강기능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메탄올, 알데히드함량은 식품공전의 기준치를 넘지 않았으며, 농축되어 진한 색을 띈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는 520 nm 흡광도에서 높았으며, 이는 색도 L, a, b 값을 통해서도 확인하였다. 시중 판매되는 레드 아이스와인인 Pinot Noir ice wine과 sweet wine인 Concord 품종 와인을 포함하여 5가지 포도주의 색, 향, 단맛, 종합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환원당이 가장 높은 Pinot Noir ice wine이 단맛에서 강도가 가장 높았고, ice wine $34^{\circ}Bx$와 ice wine $40^{\circ}Bx$가 색, 향, 종합적 기호도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색, 향이 우수하면서도 적당한 단맛을 가진 ice wine $34^{\circ}Bx$가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보였다.

발아현미 선식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Sunsik products with germinated brown rice)

  • 방애솔;장은희;정현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13-5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건에서 선식을 제조한 후 선식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특성, 미생물 안전성 검사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선식 제조 조건으로 로스팅 시간과 온도를 다르게 하여 제조하였고, 산업적인 활용을 위해 입자사이즈는 두 가지 형태로 제조하였다. 또한 기능성과 영양적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귀리, 수수, 조를 발아시켜 첨가하였다. 선식의 수분함량은 로스팅 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았으며 발아곡류를 첨가하여 제조한 선식에서 다소 높은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140 mesh로 제조한 선식은 100 mesh로 제조한 선식에 비해 높은 수분함량과 다소 낮은 조단백과 조지방 함량을 나타냈다. 선식의 색도 역시 로스팅 시간이 길어질수록 명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식 점도는 발아곡류를 첨가한 시료에서 70 cP 이상의 점도를 나타냈다. 선식의 pH는 약산성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호화도는 로스팅 온도가 높을수록 호화도가 높아 선식의 호화엔탈피는 낮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긴 로스팅 시간에서 처리한 선식과 발아곡류를 첨가한 선식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도 긴 로스팅 시간에서 처리한 선식이 높은 고소한 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로스팅 조건, 입자사이즈, 발아곡류 첨가는 선식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체류 외국인 및 내국인의 전통향토음식에 대한 기호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in Foreigners and Koreans)

  • 차성미;정라나;정서진;김광옥;이새롬;김행란;한귀정;이진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4-303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Jeonju Bibimbap, Daetongbap, Jeonbokjuk, Jorangiddockguk, Hobakbumbuk, Darkgalbee, Eonyang Bulgogi, Moyackgwa, Insam Jeonggwa, Maejackgwa) in foreigners and Koreans. In this study, 27 foreign and 31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and Mann-Whitney U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17.0).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Foreigners had higher experience of eating Darkgalbee (84.6%), Jeonju Bibimbap (80.8%), Daetongbap (53.8%), and Jeonbokjuk (53.8%) among Korean traditional foods, whereas their eating experience of Insam Jeonggwa (3.8%), Maejackgwa (11.5%), Moyackgwa (15.4%) and Jorangiddockguk (23.1%) was lower. 2) Foreigners and Koreans both liked sweet taste, but disliked sour taste, bitter taste, garlic flavor, sesame flavor, and soy sauce flavor amo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3) Foreigners scored their overall satisfac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the order of Jeonju Bibimbap ($7.70{\pm}0.95$), Eonyang Bulgogi ($7.62{\pm}2.10$), Daetongbap ($7.59{\pm}1.60$), Darkgalbee ($7.20{\pm}1.56$), and Jeonbokjuk ($6.67{\pm}1.64$), whereas Koreans rated higher scores for Eonyang Bulgogi ($8.28{\pm}1.19$), Darkgalbee ($8.20{\pm}1.00$), Jeonju Bibimbap ($7.73{\pm}1.08$), Jeonbokjuk ($7.69{\pm}1.44$), and Moyackgwa ($7.43{\pm}1.52$).

Thermoluminescence(TL)를 이용한 농산물의 방사선 조사유무 확인 (Detection of Irradiated Agricultural Products by Thermoluminescence(TL))

  • 우시호;이상덕;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25-530
    • /
    • 2000
  • 국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방사선 조사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TL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의 first glow curve는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TL intensity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당근, 생강, 감자, 고구마의 상관계수는 0.8522, 0.9968, 0.9612, 0.9071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first glow curve의 최대발광온도점은 $176.16{\sim}190.08^{\circ}C$사이에 있었고, second glow curve는 $143.84{\sim}146.56^{\circ}C$ 사이에서 나타났다. Glow curve ratio 1은 감자와 고구마를 제외하고 모두 0.1보다 작은 수치를 보여 비조사시료로 확인되었으며, 감자(0.1840)와 고구마(0.1655)는 0.1보다 큰 수치를 보였으나 독특한 first glow curve가 나타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비조사시료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모든 시료의 glow curve ratio 2는 0.7159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조사시료로 확인되었다. Glow curve의 모양을 분석한 결과 second glow curve의 모양이 first glow curve의 유사하였고, 더 낮은 온도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glow curve ratio와 glow curve의 모양에 의해 정확하게 조사유무를 확인할 수 있었고 TL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농산물의 검지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윤작물 재배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 발생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n Root Rot Disease of Panax ginseng by Crop Cultivation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 이성우;이승호;박경훈;;장인복;김기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3-230
    • /
    • 2015
  • To study the effect of crop rotation on the control of ginseng root rot,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rot ratio of 2-year-old ginseng was investigated after the crops of 18 species were cultured for one year in soil contaminated by the pathogen of root rot. Fusarium solani a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were detected by 53.2% and 37.7%, respectively, from infected root of 4-year-old ginseng cultivated in soil occurring the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Content of $NO_3$, Na, and $P_2O_5$ were distinctly changed, while content of pH, Ca, and Mg were slightly changed when whole plant of crops cultured for one year were buried in the ground. All of EC, $NO_3$, $P_2O_5$, and K were distinctly increased in soil cultured sudangrass, peanut, soybean, sunnhemp, and pepper. All of EC, $NO_3$, $P_2O_5$, and K among inorganic component showed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ginseng when they were excessively applied on soil. The growth of ginseng was promoted in soil cultivated perilla, sweet potato, sudangrass, and welsh onion, while suppressed in Hwanggi (Astragalus mongholicus),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Gamcho (Glycyrrhiza uralensis), Soybean. All of chicory, lettuce, radish, sunnhemp, and welsh onion had effective on the inhibition of ginseng root rot, while legume such as soybean, Hwanggi, Gamcho, peanut promoted the incidence of root rot.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NO_3$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N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cidence of root rot.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 차용준;김소정;김은정;김훈;조우진;유미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15-1521
    • /
    • 2004
  • 명태식해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고증 및 자문을 통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숙성온도를 $5^{\circ}C$, $20^{\circ}C$, 변온(10일간 $20^{\circ}C$에 숙성후 $5^{\circ}C$에서 저장) 구간으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및 정미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태식해의 일반성분은 숙성중 큰 변화가 없었고, 전당은 5.63~13.41% 범위로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많이 감소하였다. pH는 $5^{\circ}C$에서 저장한 식해를 제외하고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여 3.8~4.4 범위를 유지한 반면에 총산, 아미노질소 및 VBN함량은 숙성기간과 함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의 증가폭이 컸고 변온의 경우는 이러한 함량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불휘발성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acid의 순으로 식해의 신맛에 영향을 미쳤다. 유리아미노산(taste value로 환산한 경우)에서는 단맛과 감칠맛과 관련이 있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lysine과 쓴맛을 내는 valine, methionine 등이 숙성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hypoxanthine이 핵산관련물질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엑스분질소(Ex-N)의 함량은 숙성기간중 277~581 mg% 범위였으며, Ex-N의 1/2이상을 아미노질소가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총 creatinine-N, TMAO-N 및 TMAN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