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 potato flour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7초

고구마, 감자 및 돼지감자 분말(粉末)을 이용(利用)한 합판용(合板用) 요소수지(尿素樹脂)의 증량(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otato, sweet potato, and jelusalem artichoke flour as an extender of urea 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 이필우;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11-15
    • /
    • 197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sweet potato, and jerusalem artichoke flour as an extender of urea formaldehyde resin for plywood manufacture.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dry and wet test of plywood, sweet potato flour extended in urea formaldehyde resin was shown better strength than those of wheat flour. 2) Sweet potato flour was shown good results up to 200 percent extension in the dry test, and there was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100 percent and 150 percent extension in the wet test. 3) In the case of 100 percent extension, potato flour was shown best dry shear strength(400 psi) and sweet potato flour was shown best wet shear strength (212 psi).

  • PDF

일반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팽화과자(뻥튀기)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al Properties of -uffed Snacks (ppeongtuigi) Added with Sweet Potato Flours)

  • 천선화;은종방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47-152
    • /
    • 2011
  •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뻥튀기 제조 시 팽화시간, 팽화온도, 수분함량과 같은 팽화조건을 달리하여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색도에서 수분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이 감소하고, $a^*$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비체적은 팽화시간, 팽화온도,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일반 고구마 뻥튀기의 비체적도 증가하였으며, 파괴력은 낮은 수분함량, 높은 팽화온도, 오랜 팽화시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외관, 색, 향, 조직감, 맛에 대한 패널들의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는 수분함량 및 팽화온도가 높고, 오랜 팽화시간 하에 제조된 시험구가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고구마의 육질색 종류별 고구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 김경은;김성수;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76-1480
    • /
    • 2010
  • 육질색에 따른 일반고구마, 주황색고구마 및 자색고구마로부터 갈변방지제 처리와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고구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구마 분말의 조단백질, 회분 및 식이섬유 함량은 자색고구마에서 가장 높았고 조지방과 전분 함량은 주황색고구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구마 분말의 평균 입자크기는 주황색고구마 분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고구마 분말에서 둥근형 또는 다각형의 전분입자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흡수지수 및 oil 흡수율은 열풍건조방법으로 제조한 분말이 동결건조에 의한 분말보다 높은 경향을 주었다. 고구마 분말의 수분용해도지수는 일반고구마와 자색고구마의 경우 건조조건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주황색고구마의 경우 열풍건조 한 분말에서 수분용해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막걸리 제조시 술덧의 성분동태에 관한 연구 1 (Studies on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maeh in the brewing of Maggerley (Korean wine))

  • 이성범;장원길;임병종;김덕치
    • 미생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3-158
    • /
    • 1969
  •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ubstitute sweet potato for wheat flour as the brewing material of Maggerley(Korean wine) in order to save precious wheat flour which is now consumed as the sole material in it. In this study, the fermenting mash material has been prepared with combination of wheat (KIorean wine) as a first step of sabing wheat flour consuming. The combination ratio of wheat flour and sweet potato starch in mashing, in this experiment, are such as mashing plot of 100% wheat flour (No.3 plot), 50% wheat flour plus 50 % of sweet potato starch (No.2plot), 30% wheat flour plus 70% starch syrup of sweet potato (No. 4 plot), and 60% wheat flour plus sweet potato starch (No. 1 plot). The results of fermentation and chemical components of each mash in experimental plot are as following : 1. Alocholic fermentation was most vigorous in No.4 plost among them, the next are in order to hydrolyze and break down the protein sourece to glucose and amino acid, the new enzymic source were added in experimantal amsh before putting yeasts, those enzymic sources have been developed and prepared in this laboratory No.4 and No.2 plot at same degree. Generally, the activities of alcholic fermentation of all plots are vigorous and fair. The acidity of each fermented mash is in the rangw of 3.7-4.8. 2. Amounts of amino acids in fermented mash are in the range of 145 mg per 100 ml and 158 mg for all experiments, and these amounts are much more than those of present commerical Maggerley. However, the amount of it in the No.4 plots is much less among the m, this is due to the lack of protein source in starch syrup. 3. Amounts of organic acids in fermented mash are in the range of 0.44g per 100ml and 0.62g, these amounts are generally much more than those of the present commercial Maggerley. 4. The result of sensory test for the experimental Maggerley shows good taste and flavour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mmercial Maggerely. 5. It is proved that these experimental fermentation of Maggerley is succesful in the partial substitution of sweet potato starch potato starch for wheat flour, and it is also be able to make a good Maggerley in all aspects of quality.

  • PDF

자색고구마 가루 첨가 발아현미 쿠키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Brown Rice Cookies using Purple Sweet Potato)

  • 김보람;주나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4호
    • /
    • pp.341-352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se purple sweet potato powder to develop a recipe for a nutritional cookie with an optimal composition of ingredients and texture, in order to acquire strong preference responses by all age groups in sensory tests. Wheat flour was partially substitut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to reduce the wheat flour content of the cookies. Measurements were made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echnique, which showed 16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3 replicates for the purple sweet potato powder, sugar, and butter. The compos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sample were measured, and the values obtained were applied to a mathematical model.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s showed very significant values for flavor (P<0.0071), texture (P<0.0306), taste (P<0.0190), and overall quality (P<0.0142).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hardness (P<0.0027), yellowness (P<0.0061) and spread ratio (P<0.0001). The optimal compositional ratios were determined to be 21.75 g for the purple sweet potato powder, 37.05 g for the sugar, and 60.59 g for the butter.

자색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팽화과자(뻥튀기)의 팽화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ffed Snacks (ppeongtuigi) with Purple Sweet Potato Flours Using Different Puffing Conditions)

  • 천선화;황수정;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8-33
    • /
    • 2012
  • 자색 고구마 뻥튀기의 실험결과는 색도 중 $L^*$ 값이 팽화시간이 증가할수록 $L^*$값이 감소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수분함량이나 팽화온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a^*$값은 팽화시간, 팽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으며, $b^*$값은 몇몇 시험구에서 팽화시간과 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b^*$값도 증가하였다. 비체적은 수분함량과 팽화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수분함량 11%, 팽화온도 $246^{\circ}C$, 팽화시간 4초에서 제조한 시험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자색 고구마 뻥튀기의 파괴력은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며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파괴력을 나타내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평가에서 7% 수분함량, 팽화온도 $246^{\circ}C$, 팽화시간 5초에서 제조한 뻥튀기가 패널들에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 복합분(複合粉)을 이용(利用)한 제빵시험(試驗) -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 II.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

  • 김형수;김용휘;우창명;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24
    • /
    • 1973
  •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으로 빵을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보리빵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표준 밀가루빵(speciffic loaf volume, SLV : 3.3)과 동일(同一)한 formula로 제조(製造) 할 때, 그 SLV 는 1.3(물 100%)으로 아주 낮았으나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混合)하면 1.7(물 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분질개량(粉質改良)을 위한 여러 가지 첨가제중(添加劑中)에서 1.5% GMS + 0.5% CSL 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SLV : 2.0, 물 100%) 이에 다시 밀가루를 혼합(混合)하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는 바, 보리가루의 25%를 밀가루로 대체하면 그 SLV 는 2.8(물 90%)로, 50%의 경우는 3.2(물 90%)로 증가하여 표준빵과 비슷하였으며, 빵색깔도 우수하였다. 2) 고구마빵은 baking이 끝나면 흑갈색으로 되는것이 특징(特徵)이고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 20%를 혼합(混合)하면 그 loaf volume이 증가하며 결착제(結着劑)로서 GMS + CSL의 첨가(添加)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SLV : 1.9, 물 100%) 고구마가루 복합분에 밀가루를 25%와 50%수준(水準)으로 혼합(混合)하면 그 SLV는 각각(各各) 2.3, 2.6(물 90%)으로 증가하고 빵색깔이 연해지며 빵조직(組織)이 개선되었다. 3) 감자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제빵은 그 분질(粉質)이 고구마가루와는 다르고 GMS + CSL의 첨가(添加) 효과가 낮았다. 옥수수가루에 의한 제빵은 쌀보리가루와는 상이한 경향이었으며, 탈지(脫脂)쌀겨가루는 제빵 원료(原料)로서 부적당하였다. 4) 원료(原料) 공급(供給)면에서 전망(展望)이 보이는 쌀보리가루와 고구마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5종(種)의 복합분(複合粉), 즉 (1)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5 : 10 : 45) (2)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7.5:10:22.5) (3)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 (90 : 10) (4)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0 : 20 : 40) (5)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0 : 20 : 20) 으로 첨가제를 넣고 제빵한 후, 밀가루빵을 표준(So)으로 하여 관능시험(官能試驗)한 결과(結果), 평균점(平均點)의 서열은 So>(1)>(2)>(3)>(5)>(4) 이었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의 결과 (1)의 빵, 즉 보리가루와 밀가루를 동량(同量)섞고 여기에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한 복합분(複合粉)을 주원료(主原料)로 한 빵은 그 색깔, 조직(組織), 및, 향기(香氣)등의 종합평가(綜合評價)에 있어서 밀가루빵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제4보 보리 및 고구마복합분(複合粉)을 이용한 면류(麵類)의 Texture 특성(特性)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V. Textural Characteristics of Noodles made of Composite Flours Based on Barley and Sweet Potato)

  • 장경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5-69
    • /
    • 1974
  • 밀가루 대체원료(代替原料)로써 쌀보리가루 또는 고구마가루를 활용한 복합분(複合粉)으로 국수를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면대(麵帶) 및 건면(乾麵)생산에 있어서 밀가루에 대한 보리가루 대체율(代替率)은 100%까지, 고구마가루 대체율(代替率)은 70%까지 가능하였으며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로서 glyceryl monostearate 및 sodium polycrylate의 첨가는 이들 제품의 texture 특성(特性)을 향상시켰다. 2) 면대(麵帶)와 건면(乾麵)의 texture 특성치(特性値)인 견고성(堅固性), 응집성(凝集性), gumminess는 보리가루나 고구마가루의 배합에 의하여 떨어졌으나 첨가제의 효과가 뚜렷하였고 면대(麵帶)는 견고성(堅固性) 6.2 이상, gumminess 430 이상, 건면(乾麵)은 견고성(堅固性) 6.8 이상이 필요하였다. 3) 조리면(調理麵)에 있어서 밀가루 대체(代替)와 첨가제의 사용은 texture 특성(特性)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었으며 조리특성(調理特性)으로 보아 보리가루는 60%까지, 고구마가루는 40%까지 대체(代替)할 수 있었다. 4) 조리면(調理麵)의 색깔, 맛, texture에 관한 관능(官能)시험에서 20% 대체복합분(代替複合粉)은 밀가루와 5% 수준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품질저하(品質低下)는 주로 착색(着色)에 기인(起因)하였다.

  • PDF

쌀가루 첨가량에 따른 자색고구마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Muffins Containing Rice Flour)

  • 박금순;김경은;박신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33-840
    • /
    • 2012
  • 다양한 생리기능을 지닌 자색고구마를 이용한 머핀에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고품질의 자색고구마 쌀머핀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 및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머핀의 무게와 높이는 쌀가루를 첨가 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분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쌀가루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pH는 높아졌으며 반면 산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에서 색도는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와 황색도(b)는 감소하였고 적색도(a)는 증가하였다. 경도는 P0(대조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탄력성은 P4(100% 첨가군)가 가장 높았다. 응집성, 씹힘성과 부서짐성은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의 항산화활성은 55.07~58.34로 나타났으며 P0(대조군)에 비해 P3(75% 첨가군)와 P4(100% 첨가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 관능검사 결과 외부색에서는 P2(50% 첨가군)에서 내부색은 P0(대조군)와 P1(25% 첨가군)이 높았으며 향미에서는 시료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감 중 촉촉한 정도는 P0(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2(50% 첨가군), P4(100% 첨가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씹힘성에서는 P0(대조군), P1(25% 첨가군) 보다 P2(50% 첨가군), P3(75% 첨가군), P4(100% 첨가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쌀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3(75% 첨가군), P2(50% 첨가군), P4(100% 첨가군), P1(25% 첨가군)순으로 기호도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P2(50% 첨가군)와 P3(7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p<.05) 쌀가루 첨가 자색고구마 머핀 제조시 쌀가루 첨가량을 밀가루 대비 쌀가루 첨가 50~75%를 적정한 비율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Maltodextrin Concentration and Drying Temperature on Quality Properties of Purple Sweet Potato Flour

  • Ahmed, Maruf;Akter, Mst. Sorifa;Chin, Koo-Bok;Eun, Jong-B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87-1494
    • /
    • 2009
  • The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55, 60, and $65^{\circ}C$) and addition levels of maltodextrin (MD) (10, 20, and 30%)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nutritional quality of purple sweet potato flour were investigated. MD-added flours had higher $L^*$ values, water soluble index, total phenolic, and anthocyanin contents than untreated flour. However, $a^*$, $b^*$ values, water absorption index, and swelling capacity were dependent on the drying temperature and MD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untreated flour had a higher ascorbic acid content compared to the MD-treated flour. Ascorbic acid contents decreased, whereas anthocyan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increasing drying temperatures. 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enolic content, anthocyanin, hue angle, and water soluble index.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quality parameters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 best quality product was obtained when samples were pretreated with MD before drying, regardless of drying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