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et potato $\beta$amylase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5초

고구마 $\beta$-아밀라제의 subunit (Subunits of Sweet Potato $\beta$-Amylas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0-55
    • /
    • 1988
  • B-Amylase was obtained from sweet potato extract in a crystalline state by dialysis against water after precipitated with acetone according to the method reported previously followed by DEAE 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plus gel chromatography of Sephadex G-200. The purified enzyme was homogeneous by SDS PAGE. The efforts had done to remove the miner bands in SDS PAGE by Sephadex G-200 gel chromatography, DATE Sephadex A-50 ion exchange chromatography. isoelectrophocusing, affinity chromatography, hydroxyapatite chromatography, recrystallizstion and HPLC on a column of TSK gel SW 3000 but have given any result. But, N -terminal amino acid of the enzyme was revealed mainly alanine and trace of glycine and glutamic acid. Therefore, it seems that the miner bands in SDS PAGE have a role of subunit.

  • PDF

과요소산 산화 전분에 의한 고구마 $\beta$-아밀라제의 수식 (Modification of Sweet Potato $\beta$-Amylase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 안룡근;지의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3-132
    • /
    • 1990
  • Sweet potato $\beta$-amylase is a tetrameric enzyme consisting of four identical polypeptide chains with a molecular weight of 5.6$\times$104, though most of the other $\beta$-amylases are monomeric enzym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unit structure and catalytic function of the enzyme is not known. This study was done to know what the function of the subunit structure of the enzyme is. We obtained the monomer from the enzyme by the treatment of SDS, alkali pH buffer and urea. But the monomer had not activity. We tried to prepare the active monomer from the enzyme by the modification with periodate-oxidized soluble starch , In the result, we succeeded in isolating an active monomer as an oxidized soluble starch-conjugated form The active monomer had 57% of the original activity, 13.2% of the sugar and the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to be 5.4$\times$104.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tetrameric form of the enzyme is a most stable one and exists in nature, and the subunit structure of the enzy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bilization but not catalytic function.

  • PDF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II) -효소적 분석-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I) -Enzymatic Analysis of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Rice Residu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1
    • /
    • 1997
  • 식혜에 함유된 이소말토올리고당과 밥알에 30unit/ml의 $\alpha$-아밀라아제, 글루코아밀라아제, $\alpha$-글루코시다아제, $\beta$-아밀라아제를 가하여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인체의 효소인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켜도 25% 이상 가수분해하지 못하므로 비피두스균의 활성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밥알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식이섬유로도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 PDF

Potato Yam(Dioscorea bulbifera)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tato Yam(D. bulbifera) Starches)

  • 석호문;박용곤;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53-761
    • /
    • 1990
  • Potato yam의 괴경(지하부) 및 주아(지상부)로부터 전분을 분리하고 이들 전분의 특성을 쌀 및 고구마 전분과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함량은 지상부의 yam전분이 가장 높았으나 물겹합능력, 팽윤력, 용해도에서는 지하부의 yam전분이 가장 높았다. 5% 전분현탁액의 아밀로 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 온도는 yam전분이 쌀 및 고구마전분보다 다소 높았으나 최고점도에 있어서는 지하부 및 지상부 yam전분이 각각 860 B.U. 및 590 B.U.로서 쌀 및 고구마전분에 비해 높을 뿐만 아니라 yam전분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Yam전분은 지상, 지하부 모두 ${\alpha}-amylase$에 의한 분해성이 쌀 및 고구마전분보다 낮았다. Yam전분 및 이로부터 분리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beta}-amylolysis\;limit$는 쌀 및 고구마의 것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yam전분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분리전분을 Sepharose CL-2B로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 yam전분사이에 용출패턴의 차이는 없었으나 pullulanase로 아밀로펙틴의 ${\alpha}-1,6-glucoside$결합을 가수분해 시킨 후 Sephadex G-75로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에서는 지상부 yam의 것이 pullulan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성분이 특히 많았고 아밀로펙틴의 짧은 사슬이 긴 사슬에 대한 중량비는 지상부 yam의 것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 -4보 찹쌀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 -4. Glutinous Rice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0-185
    • /
    • 1997
  • 찹쌀 20%, 엿기름 4%를 가하여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제조한 식혜는 말통스 10.1%, 한계덱스트린 7.3%, 말토트링스 1.3%, 글루코오스 0.18%, 밥알 1.75%를 나타냈다. 알코올 침전, Biogel P-2의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식혜의 한계덱스트린을 정제하여 1H-NMR 분석한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글루코시드 결합과 $\alpha$-1,6-글루코시드 결합이 5:1로 이루어졌고, pullulanase 처리한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헥사오스까지의 분포를 나타내어 멥쌀식혜에서 얻은 한계덱스트린가 구조가 같은 결과이다. 밥알의 당함량은 26.4%, 단백질 함량은 41.6%를 나타냈다. 참쌀식혜의 한계덱스트린과 밥알에 30unit/ml의 $\alpha$-아밀라아제, 글\ulcorner아밀라아제, $\alpha$-글루코시다아제, $\beta$-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at하였다. 인체의 효소인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킨 결과 한계덱스트린의 가수분해율은 18%, 밥알의 가수분해율은 26%를 나타냈다.

  • PDF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III) -시판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II) -Commercial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96
    • /
    • 1997
  • 시판 식혜에는 설탕과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및 여러 사이즈의 말토올리고당, 한계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한계덱스트린은 0.09%, 밥알은 0.2%를 나타냈다. 1H-NMR 분석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결합 및 $\alpha$-1,6-결합이 15:1의 비율을 나타냈다. Pullulanase 처리로, 말토오스에서 글루코오스 10잔기 이상의 말토올리고당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여러 아미라아제 처리 결과, 전통식혜보다 가수분해율이 훨씬 높았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와 타액 $\alpha$-아밀라아제를 공동 작용시킨 경우는 62% 가수분해되었다. 그러나, 밥알의 가수분해율이 매우 낮았다. 그래서 전통 식혜에 비해 한계덱스트린의 비피두스 인자로서의 효과는 적고, 밥알의 식이섬유 작용은 커졌다.

  • PDF

유아식품(乳兒食品)의 소화율(消化率)과 영양적(營養的) 의의(意義) (Digestibility of Infant Food and its Nutritional Meaning)

  • 홍기욱;유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1호
    • /
    • pp.17-23
    • /
    • 1974
  • 밀가루, 보리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 등 재료용(材料用)가루 4종과 비스켓, 크랙카, popped-cake (corn-flour), 식빵, 카스테라, 라면과자, 이유식(離乳禽)(I), 이유식(離乳食)(II)등 전분질(澱粉質) 식품(食品) 8종(種)에 대(對)해서${\beta}-Amylase$에 대(對)한 소화율(消化率)을 30분(分), 1시간(時間), 3시간(時間)등 경시적으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와 설문지법에 의한 유아식품(乳兒食品)의 기호도(嗜好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재료용(材料用) 가루들의 소화율(消化率)은 생분(生粉)의 경우 $5{\sim}11%(3hrs)$였고, 고구마가루가 가장 낮았으며, 호화처리(糊化處理)한 가루들은 $20{\sim}30%(3hrs)$로 상승(上昇)하였고, 역시 감자가루, 고구마가루가 보리가루, 밀가루보다 낮은 편이다. (2) 비스켓, 크랙카, popped cake (corn-flour)의 소화율(消化率)은 호화처리(糊化處理)를 하지 않은 경우, 비스켓, 크랙카는 popped cake(corn-flour) (29%)에 비(比)하며 크게 떨어지고, 비스켓 ,크랙카를 호화처리(糊化處理)하면 $19{\sim}29%(3hrs.)$${\alpha}$화(化) 재료분(材料粉)에 비슷하였다. (3) 식빵, 카스테라의 소화율(消化率)은 $21{\sim}32%$${\alpha}$화(化) 재료분(材料紛)과 비슷하였고, 카스테라보다 식빵이 높았다. (4) 이유식(離乳食)의 소화율(消化率)은 이유식(離乳食)(I)이 24.1%(3hrs.)에 비(比)하여, 이유식(離乳食)(II)는 15%(3hrs.)로 크게 낮았다. (5) 제조(製調) 시기(時期)가 $1{\sim}2$개월(個月) 경과한 일부(一部) 과자류에서는 소화율(消化率)이 떨어지는 경향이며, 시판(市販) 이유식(離乳食) 중(中)에는 소화율(消化率)이 크게 낮은 것도 있다. (6) 어머니들이 아기들의 이유식(離乳食)을 선택(選擇)할 때 양양가(營養價)(42%), 소화율(消化率)(27%)을 많이 고려하며, 집에서 이유식(離乳食)을 만들어 주는 경우, 쌀가루(41%), 밀가루(23%)가 높은 빈도수를 보이고, 소화정도(消化程度)는 쌀가루가 49%, 밀가루가 23%로 그 다음이다. (7) 소화(消化)가 잘 된다고 생각되는 이유식(離乳食)으로서는 밥류(16%)와 시판이유식(市販離乳食)(13%)이 다소 높은 편이고, 선택성(選擇性)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간식(間食)으로는 비스켓류(類)(44%)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