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ded time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26초

금강 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II. Chlorlphyll-a 분포 결정 요인에 관하여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2. Factors controlling chlorophyll-a distribution)

  • 기준학;김정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7-215
    • /
    • 1987
  • 금강 하구(Keum River Estuary)에서의 chlorophyll-a의 분포를 규제하는 제 과정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86년 4월과 7월 두차례에 걸쳐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chlorophyll-a, 영양염, ph, SPM, 용존산소, 수온, 염분 등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 다 갈수기인 4월은 방조제에서 약 35km 상류의 강경까지 염수의 침입이 있었으나, 풍수기였던 7월은 약 3km 상류역까지만 염수의 영향이 관측되었다. 4월의 경우 전 강하구 (estuary)에 걸쳐 평균 $500m{\ell}/{\ell}$이상의 높은 SPM분포를 보인 반면, 7월은 증가된 담수의 영향으로 SPM의 농도가 평균 $10m{\ell}/{\ell}$정도 밖에 이르지 않았다. chlorophyll-a의 분포는 시기, 위치에 따라 많은 변화를 보여, 7월의 경우 4월에 비 하여 매우 높은 chlorophyll-a의 분포를 보였으며, 두 시기 모두 담수-해수 경계역 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4월 평균:담수역 $6.5\mu\textrm{g}/{\ell}$, 강하구 $1.4{\;}\mu\textrm{g}/{\ell}$; 7월 평균: 담수역 $35{\;}\mu\textrm{g}/{\ell}E, 강후구 $6.8\mu\textrm{g}/{\ell}$). 영양염이 항상 충분히 존재하는 금강 하구에 있 어서, 두 시기간의 chlorophyll-a농도에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주로 SPM 농도의 현 격한 차이에 의한 빛 에너지 효용성의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담수-해수 경계지역에서의 chlorophyll-a의 급격한 감소는, 주로 ionic strength의 증가로 야기 된 삼투압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식물 plankton들의 대소멸(mass mortality)에 기인된 현상으로 생각된다. 초기혼합지역에서 AOU, ammonia의 증가를 보인 4월, ph의 급격한 감소를 보인 4월 및 7월의 자료들은, 식물 plankton의 죽음으로 인하여 공급된 유기물들의 분해과정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현상들로서, 위의 결론을 뒷 받침하여 주고 있다.

  • PDF

농업용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지하흐름 갈대 인공습지의 적용 (Application of Subsurface Flow Wetland using the Phragmites australi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Reservoi)

  • 남귀숙;배요섭;김형중;이상준;이광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9-69
    • /
    • 2004
  •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부영양화된 농업용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 갈대를 이용한 지하흐름 인공습지를 적용하였다. 처리수량이 많고 처리대상 농도가 비교적 낮은 저수지 오염특성상 인공습지의 운영은 수리학적 부하율이 높은 체류시간 6시간 ~ 72시간으로 운영하였다. 체류시간에 따른 수질 항목별 유출농도는 농업용수 수질기준보다 낮게 감소되었으며, 정화효율은 BOD와 COD, SS와 Chl-a는 체류시간 24시간 조건에서 높은 정화효율을 보여 주었으며, 그 이상의 체류시간 연장에서는 정화효율의 뚜렷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질소와 인은 체류시간이 증가할수록 정화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여 질소는 체류시간 72시간에서, 인은 48시간에서 최고의 정화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질소의 정화효과가 특히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저농도의 농업용수 수질개선을 위한 지하흐름습지는 질소 등 오염물질의 정화효과가 우수하고, 용지매수비용의 절감, 모기 등 병충해방지, 친수공간의 안전성 등 이점이 많으므로 넓은 면적의 인공습지 적용시 일부구간에 지하흐름습지의 적용을 검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설치비용상승 및 유지관리 문제 등 여러 가지 측면의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부유습지를 이용한 부영양수계 현장 수질개선 효과 (The Effect of Floating Wetland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 Eutrophic Lake)

  • 박채홍;박명환;최동호;최형주;이준헌;이명훈;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6권1호
    • /
    • pp.116-127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3월부터 2012년 5월까지 부영양수계에 네 가지 여재(스펀지, 화산석, 활성탄, 수산화마그네슘)를 사용한 부유습지를 설치하여 장기적인 수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부유습지에 유입되는 유입수와 네 가지 여재를 거쳐 최종적으로 통과된 유출수내의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 군집을 분석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탁도(66%), SS (79%), Chl-a (80%), COD (24%)의 농도는 유입수에 비해 유출수에서 뚜렷하게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p<0.001). $NO_2-N$$NH_3-N$은 각각 24%, 20%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나(p<0.05), $NO_3-N$와 TN은 평균 10% 미만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p>0.05). 한편 $PO_4-P$와 TP는 모두 평균 65%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냈다(p<0.01). 또한 식물플랑크톤밀도는 유출수에서 유입수보다 2.6배 정도 낮게 나타낸 반면, 동물플랑크톤은 유입수보다 유출수에서 평균 3.5배 이상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네 가지 여재를 이용한 수질개선용 부유습지는 특히, 입자성 물질(SS, Chl-a, COD, TP)과 용존성 영양염($NO_2-N$, $NH_3-N$, $PO_4-P$)에 대하여 높은 제거율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부영양 호소에서 수질개선 및 조류 저감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음식폐기물 응축수를 보조탄소원으로 이용하는 막 결합 생물 응조에서의 질소, 인 제거와 막 오염 특성 (Characteristics of Nutrient Removal and Membrane Fouling in a Membrane Bioreactor using Food Waste as an Additional Carbon Source)

  • 안용태;윤종호;채소룡;신항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19-524
    • /
    • 2005
  • 국내 하수의 낮은 C/N비를 나타내는 특성으로 인하여 질소와 인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보조 탄소원의 주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여러 가지 적용 가능한 외부 탄소원 중, 음식폐기물은 다량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전처리를 통하여 하 폐수 고도처리 공정의 외부탄소원으로 이용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폐기물 고속발효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 응축수를 A/O 공정으로 구성된 막 결합 생물반응조의 외부탄소원으로 적용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의 질소 인 성분의 제거 효율을 살펴보았으며, 막 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무산소 조건에서 0.19 g $NO_3-N/g$ VSS/day의 탈질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연속운전에서는 음식폐기물 응축수 주입을 통하여 총질소와 인 성분의 제거율을 각각 최대 64%, 41% 향상 시킬 수 있었다. 또한 유입수 유량의 0.5% (vol/vol)의 외부탄소원 주입 조건에서도 효과적인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전체 공정의 수리학적 체류시간 8시간 이상, 무산소조와 호기조의 체류시간은 각각 3시간, 5시간에서 최적의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실제 생환하수 처리 시,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은 증진되었으나 막 결합 생물 반응조 내의 전체 입자의 크기 증가 및 미생물 체외고분자 물질 중 단백질 성분의 증가로 인하여 전체 막 저항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입수의 고형물질의 조절을 통하여 막 오염을 줄일 수 있었다.

보와 습지가 있는 화포천의 수질 영향인자 분석 (Water Quality of a Rural Stream, the Hwapocheon Stream, and Its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 안창혁;권재형;주진철;송호면;조경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1-429
    • /
    • 2012
  • 본 연구는 화포천 수질 현황을 제시하여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연구에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류에서는 step-pool 형태의 14개의 보로 인해 하천수가 저류되었고 주거단지 및 농경지를 지나면서 생활하수와 관개용수 등의 오염물 유입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정체구역의 하상에서 사상성 남조류인 Oscillatoria 군락이 번무하였으며 하천의 중 하류에서는 고모천(T3), 용덕천(T8)과 같이 N, P가 높은 고농도 지류가 유입되는 등 본류 수질을 악화시켰다. 화포천은 하류로 갈수록 DO가 감소하고 SS가 증가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긴 체류시간과 SS, COD, $NH_4{^+}$가 화포천에서 중요한 수질인자임을 나타내었다. 또한, 습지에서 하상 유기물 농도가 높고 부착조류가 풍부한 점도 본류 수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포천 수질은 공간적으로 보가 있는 구간에서 농도가 상승하였고 하류의 습지에서는 일정하거나 소폭 감소하였다.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영양염 농도가 높았으나 여름에는 유기물 농도가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은 6월에 보와 습지 등 정체구간에서 높게 나타난 점을 제외하면 전 구간에서 $40{\mu}g\;chl-{\alpha}/L$ 이하로 나타났다.

The Acute Effect of Trimetazidine on the High Frequency Fatigue in the Isolated Rat Diaphragm Muscle

  • Emre, Mustafa;Karayaylali, Lbrahim;San, Mustafa;Demirkazik, Ayse;Kavak, Servet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6호
    • /
    • pp.646-652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ute effect of trimetazidine (TMZ) on the pre-fatigue, fatigue and post-fatigue contractile characteristics and tension-frequency relationships of isolated rat diaphragm muscle. Muscle strips were taken from the ventral-costal aspects of the diaphragm muscle of rats killed by decapitation. The muscle strips were suspended in organ baths containing Krebs solution, with a gas mixture of 95% $O_2$ and 5% $CO_2$ at $37^{\circ}C$ and pH 7.35-7.45. After determining the thermoregulation and optimum muscle length the muscles were subjected to direct supramaximal stimulation with 0.05 Hz frequency square pulses for periods of 0.5 msec to obtain control values. After adding $5{\times}10^{-6}{\;}and{\;}5{\times}10^{-5}$ M trimetazidine solution to the respective bath media, the contractile parameters of the muscles were recorded. The contractile parameters were also recorded for both the trimetazidine and tri-metazidine-free media after application of the high frequency fatigue protocols. Later, the tension-frequency relationship was determined by applying stimulating pulses of 10, 20, 50 and 100 Hz to the muscle strips. Whilst the twitch tension obtained from the $5{\times}10^{-6}{\;}and{\;}5{\times}10^{-5}$ M trimetazidine media showed numerical increase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s,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contraction time exhibited a dose dependent increase (p<0.001), whilst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ra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isometric contraction forces obtained with the different stimulating frequencie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etanic contraction only at 100 Hz (p<0.05). A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fatigue twitch tensions in the trimetazidine media showed the post- fatigue twitch tensions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e-fatigue contraction forces (p<0.05). In the $5{\times}10^{-6}{\;}and{\;}5{\times}10^{-5}$ M trimetazidine media the increases in the post-fatigue contraction force were 22 and 30%,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isolated rat diaphragm muscle, TMZ significantly limited the mechanical performance decrease during fatigue. It is our opinion that trimetazidine contributed to the observed fatigue tolerance by eliminating the factors of fatigue, due to preservation of intracellular calcium homeostasis, provision of the ATP energy levels needed by ATPase dependent pumps and especially by keeping the intracellular pH within cer-tain limits.

절연저항 측정 장치에 의한 지락사고 전류의 비변화 (Nonchange of Grounding Current due to Equipment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 엄기홍;이관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75-180
    • /
    • 2015
  • 산업화의 추세에 따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고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시설장비 및 부하의 대용량화가 수반되고 있다. 전기설비의 규모는 점차 복잡해 지고, 대규모화 됨으로써 고도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 설비에서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여 전기의 생산이 중단된다면, 전기에 의존하여 작동 중인 수 많은 장비가 지장을 받게 되고, 산업사회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사고가 발생한 발전설비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국가 산업 활동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끼치게 된다.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동작 상태를 정기적으로 감시 확인하여야 하며, 우리는 절연 저항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개발하여 (주)서부발전의 현장에 설치하여 운용 중인 바, 장비의 설치로 인한 지락 전류의 변동이 없으므로, 정확한 측정 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를 체계적 응용하여 열화 상태를 구체화하여 구현할 수 있는 사전 예방감시 기술을 연구 중에 있다.

알코홀 증류폐액의 Pilot Scale 정밀여과와 여과액의 발효 재활용에 대한 연구 (A Pilot Study for Microfiltration of Alcohol Stillage Condensate and Permeate Recycle to Fermentation Broth)

  • 김영범;이기세;남궁견;김종현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03-408
    • /
    • 2001
  • 알코홀 증류폐액은 통상적으로 COD 50,000-60,000 ppm, TS 3-8%, SS 2-4%, TN 0.05-0.2% 정도가 포함되어 있어 높은 SS와 TN 함량 때문에 종합폐수로써 생물학적 처리를 하거나 혐기성 소화를 통하여 처리하는 데 문제가 있다. SS의 주성분으로는 미발효 원료 잔류물과 함께 균체, 단백질, 섬유질, 그리고 기타 현탁성 또는 용해성 물질들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홀 증류폐액 처리의 한 해결책으로써 0.1 $\mu$m Pore size를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분리막을 이용한 pilot scale 정밀여과(microfiltration)를 실시하였다. Decanter로 처리된 증류폐액을 정밀여과 처리한 결과 2.5 bar, 6$0^{\circ}C$ 조건에서 VCR 농축도 10X 정도가지 원활한 permeate flux를 얻으며 24시간 이상 장시간 여과가 가능하였고 feed 중 0.7%였던 SS가 100% 가까이 제거된 permeate를 얻을 수 있었다. SS는 retentate 중에 7%까지 농축 가능하였으며 COD는 25-27% 정도 제거되었다. SS가 2.6%인 decanter를 거치지 않은 증류 원폐액의 경우, VCR 3X 이내의 조건으로 여과할 때 SS를 100% 가까이 그리고 COD는 약 50% 정도 제거 가능하였다. 무방류 시스템으로의 전용을 위하여 정밀여과로 얻어진 permeate와 retentate를 발효배지 사입수으로 재활용하여 알코홀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재활용 사입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발효 도중 이상 현상이나 발효속도와 알코홀 생산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 발효에 의한 총 $CO_2$ 발생량과 최종 알코홀 함량은 약간 증가하고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효시간 동안의 $CO_2$ 발생속도는 비교적 빨라져서 $CO_2$ 발생량 450 L/ton에 도달하는 시간은 재활용 사입수를 15% 사용했을 때 83-87%, 30%를 사용했을 때 72-76% 정도 단축되는 효과를 얻었다. 증류폐액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존 decanter를 대체하여 정밀여과 막분리장치를 이용한다면 SS가 완벽하게 제거됨으로써 폐수처리의 부하를 줄이는 한편 부가적인 농축 공정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여과 permeate를 발효배지 사입수로 재활용함으로써 발효속도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용수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 PDF

고환조직 동결-융해 후 회수된 고환 정자에 대한 Hypo-osmotic Swelling (HOS) Test의 효과 (Effect of Hypo-osmotic Swelling (HOS) Test on Subsequent Post-thaw Testicular Spermatozoa)

  • 박용석;이형송;송상진;김정욱;강인수;서주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3호
    • /
    • pp.267-273
    • /
    • 2000
  • Objectives: We have previous reported that thawed testicular sperm and sperm extracted from seminiferous tubule could achieved optimal fertilization and pregnancy in azoospermic patients. However, thawed testicular sperm did not show motility in many cases. Therefore we studied viability of immotile sperm extracted from frozen-thawed seminiferous tubule using hypo-osmotic swelling (HOS) test and eosin-Y test. Materials and Methods: After sperm extraction using for ICSI, the remained sections of seminiferous tubules were frozen with a computerized freezer. For thawing and preparation of testicular sperm, the seminiferous tubules were thawed by removing from $LN_2$ and letting them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 followed by %37^{\circ}C$ water bath for 10 min. The prepared samples were washed for free of preservation medium and sperm preparation method described previous. Sperm was suspended in 0.1 ml hypoosmotic solution. After 30 minutes, the type of distally coiled sperm were assessed. Results: In 44 cases of cryopreservation of seminiferous tubules in obstructive azoospennic patients, the fertilization rates with 2PN were 71.4% and pregnancy rates were 34.1%. The presence of motile spermatozoa on subsequent post-thaw testicular sperm remarked 15.1% and were increased to 77.3% just before ICSI. After sperm extracted from frozen-thawed seminiferous tubule, 3 hrs later in in vitro culture, the cases of presence of motile sperm, reaction of hypo-osmotic swelling test and viable sperm were 63.6% (28/44), 93.2% (41/44), and 77.3% (34/44), respectively. Conclusions: Just after post-thawed testicular sperm did not showed motility. Although motility was gained after in vitro culture, many cases showed non-motile sperm until optimal insemination time. However, HOS test showed positive reaction in non-motile sperm. Therefore, HOS test i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selection of viable sperm for ICSI.

  • PDF

제주도내 양식장 배출수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quacultural Discharging Water in Jeju Island)

  • 김만철;장태원;한용재;김주상;;오덕철;김기영;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43-948
    • /
    • 2009
  •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of water discharged from 4 crowded farms (Sungsan, Pyosun, Wimi and Daejung) in Jeju island were performed from July, 2006 to Dec, 2006, and the result of the analyses showed that hydrogen ion concentrations (pH) for water discharged from Sungsan farm was 7.74, Pyosun was 7.68, Wimi was 7.68 and Daejung was 7.7. Salinity levels for Sungsan, Pyosun and Wimi had an average of 31$\sim$33 $^\circ$/$_\circ$$_\circ$ indicating characteristics of far distance areas, whereas that of Daejung was 28.81 %, which was far lower compared to regular sea water salinity. As the result of measuring dissolved oxygen (DO) for each area, each area showed first graded DO for each discharged water based on water quality level for each sea district. The result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for discharged water showed that water temperatures for summer were 23$\sim$25$^\circ$C, and those for winter were 16$\sim$ 18$^\circ$C. Nitrogen concentrations for discharged water exceeded each sea area's water quality level in all farms. In the case of phosphate, its average value was 0.48 mg/l for Sungsan, 0.55 mg/I for Pyosun, 0.66 mg/I for Wimi, and 0.44 mg/l for Daejung,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was shown to be 1.5 mg/l 1.8 mg/I, 1.6 mg/I and 2.3 mg/I for Sungsan, Pyosun, Wimi and Daejung respectively. For suspended solids (SS),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19.3 mg/I, 21.2 mg/I, 21.3 mg/I and 18.5 mg/I for Sungsan, Pyosun, Wimi and Daeju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physical and chemical analyses for discharged water in farms based on time showed that almost all items were shown to increase in the forenoon and decrease, overall, in the aftern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