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gical exposure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8초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매복된 하악 제1 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김은정;김난진;조호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98-604
    • /
    • 2004
  • 하악 제 1대구치 매복의 발생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난다. 매복의 원인으로는 맹출 공간의 부족, 과잉치, 치성 종양이나 낭과 같은 맹출로상의 장애물, 유전적 요인, 내분비 질환, 외상 등이 있다. 하악 제 1대구치의 매복으로 인해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며, 치료 방법으로는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거 등이 있다. 다음의 두 증례는 하악 제 1대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게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하여 원심 경사 매복된 하악 제 1대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유도한 증례들이다.

  • PDF

C-arm을 이용한 EVAR(Endovascular Aneurysm Repair) 시술시 Lead Curtain 설치에 따른 Staff의 피폭선량 감소에 대한 연구 (The investigation of the exposure dose reduction of the Staff according to the Lead Curtain installation in EVAR(Endovascular Aneurysm Repair) surgical operation using C-arm)

  • 유인웅;정재연;이관섭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3-38
    • /
    • 2012
  • In EVAR procedure using long time C-arm, we studied exposure dose reduction and effeciency through measuring surgical staff's ESD by installing lead curtain operating table next to. The height 3 the spot (50cm, 100cm, 150cm) dose was measured on 2 locations for 600sec in the X-ray radiation considering the surgical staff's movement. To install the curtains, w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dose. As a result, it can confirm that dose of the installation former of 50cm height and after is reduced about 75% and 91% in 2 locations. In 100cm height, the reduction of the dose was a bit confirmed. There as to dose value, measured on 150cm height the installation former and after was nearly no change. This research examined the exposure dose about the radiation of the surgical staff during EVAR procedure in which the operation time is the long time. It was implemented in the object that it reduces the radiation exposure. It could confirm the certain effect of the experimental result exposure dose reduction In EVAR procedure using long time C-arm, we studied exposure dose reduction and effeciency through measuring surgical staff's ESD by installing lead curtain operating table next to. The height 3 the spot (50cm, 100cm, 150cm) dose was measured on 2 locations for 600sec in the X-ray radiation considering the surgical staff's movement. To install the curtains, w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dose. As a result, it can confirm that dose of the installation former of 50cm height and after is reduced about 75% and 91% in 2 locations. In 100cm height, the reduction of the dose was a bit confirmed. There as to dose value, measured on 150cm height the installation former and after was nearly no change. This research examined the exposure dose about the radiation of the surgical staff during EVAR procedure in which the operation time is the long time. It was implemented in the object that it reduces the radiation exposure. It could confirm the certain effect of the experimental result exposure dose reduction.

  • PDF

Extended Epitympanotomy for Facial Nerve Decompression as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 Chao, Janet Ren;Chang, Jiwon;Lee, Jun Ho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4호
    • /
    • pp.204-209
    • /
    • 2019
  • For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to access the facial nerve, we designed an extended epitympanotomy via a transmastoid approach that has proven useful in cases of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and pre-cholesteatoma. To evaluate the surgical exposure through an extended epitympanotomy, six patients with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ame surgical technique was used in all patients. Patients were assessed and the degree of facial nerve paralysis was determined prior to surgery, 1-week post-operatively, and 6-months post-operatively using the House-Brackmann grading system. In all cases, surgical exposure was adequate. All patients with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were male and the age range was 13 to 83 years. In all cases, the location of the facial nerve damage was limited to the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nu. Symptoms of all the patients improved by 6 months post-operation (p=0.024).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 any of the patients. Extended epitympanotomy is useful for safe, rapid surgical exposure of the attic area, sparing the patient post-operative dimpling, skin incision complications, and lengthy exposure to anesthesia. We suggest that surgery for patients with facial nerve palsy secondary to trauma be performed using this described technique.

Extended Epitympanotomy for Facial Nerve Decompression as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 Chao, Janet Ren;Chang, Jiwon;Lee, Jun Ho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4-209
    • /
    • 2019
  • For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to access the facial nerve, we designed an extended epitympanotomy via a transmastoid approach that has proven useful in cases of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and pre-cholesteatoma. To evaluate the surgical exposure through an extended epitympanotomy, six patients with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same surgical technique was used in all patients. Patients were assessed and the degree of facial nerve paralysis was determined prior to surgery, 1-week post-operatively, and 6-months post-operatively using the House-Brackmann grading system. In all cases, surgical exposure was adequate. All patients with traumatic facial nerve palsy were male and the age range was 13 to 83 years. In all cases, the location of the facial nerve damage was limited to the area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enu. Symptoms of all the patients improved by 6 months post-operation (p=0.024).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 any of the patients. Extended epitympanotomy is useful for safe, rapid surgical exposure of the attic area, sparing the patient post-operative dimpling, skin incision complications, and lengthy exposure to anesthesia. We suggest that surgery for patients with facial nerve palsy secondary to trauma be performed using this described technique.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술을 이용한 치험례 (TREATMENT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A CASE REPORT)

  • 조윤정;박영옥;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22-328
    • /
    • 2007
  • 제1대구치는 저작과 혼합치열기 이후의 수직적 교합관계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악골의 성장발육에 관여한다. 제1대구치의 매복은 하안면 고경의 감소, 낭의 형성, 치관 주위염, 인접치의 치근 흡수, 부정 교합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치료방법으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이 있으며 이중 외과적 노출술이 가장 기본이 되는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술시에는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개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레진관의 접착,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서 장애물의 제거와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한 결과 자발적인 맹출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surgical pack과 투명상유지장치를 사용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맹출로의 개방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 PDF

매복된 미맹출 영구치의 외과적 노출후 교정력을 이용한 치험례 (CASE REPORTS OF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IMPACTED PERMANENT TEETH)

  • 김창범;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28-636
    • /
    • 1997
  • Impacted or unerupted permanent teeth have many problems in making a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in dental clinic.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treat impacted teeth. The combination of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is usually the treatment of choice in cases with impacted teeth. Two cases are reported, which were treated with surgical intervention and orthodontic movement. and one case is treated with orthodontic movement alone. To improve esthetic problem and maintain periodontal health, We should avoid loss of attached gingiva in surgical exposure, and excessive orthodontic force during the traction of the impacted tooth.

  • PDF

Modified Nance Appliane를 이용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 치료 증례 보고 (Orthodontic Traction of Impacted Teeth with Modified Nance Appliance : Case Reports)

  • 박세희;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54-462
    • /
    • 2020
  • 매복치는 기능적, 심미적 장애 뿐 아니라 인접치의 치근흡수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매복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하는 방법, 치아이식술, 발치 등이 있다. 이 중 교정적 견인에 사용되는 modified Nance appliance는 환자의 협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견인 와이어를 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증례들에서 modified Nance appliance를 사용하여 전치, 견치, 대구치 등 상악 내 다양한 위치에 존재하는 매복치의 수술을 동반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맹출 장애를 가진 상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을 이용한 치험례 (CASE REPORTS OF TREATMENT OF ERUPTION-DISTURBED MX. FIRST MOLAR BY SURGICAL EXPOSURE)

  • 석충기;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18
    • /
    • 2004
  • 치아의 맹출이란 구강내로 치아가 출현하기 전의 악골 내에서의 이동, 구강에 출현하여 교합면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그리고 교합면 도달이후의 추가적인 이동 등 모두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이다. 맹출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치아가 성장 발육 과정에 따라 구강내로 맹출되는 과정은 preeruptive alveolar bone stage, alveolar bone stage와 mucosal stage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도 장애가 발생하면 치아가 맹출하지 않는다. 맹출 장애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부정위, 정상 맹출로의 방해, 치낭 혹은 치주인대의 손상 등이 있다. 맹출 장애의 치료에는 유치발거 및 맹출 공간확보, 외과적 노출, 외과적 정위, 외과적 노출 후 견인이 있고, 이 중 외과적 노출이 가장 기본적인 술식이다. 외과적 노출은 영구치를 둘러싸는 점막, 골, 병소, 경우에 따라 치낭 등을 제거하여 개방된 맹출로를 확보하는 것이고, 형성된 맹출로는 레진관(celluloid crown)의 접착, 거타 퍼챠 혹은 산화 아연 유지놀 시멘트, 치주 포대 등을 노출된 부위에 충전하여 개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시에는 치경부 치근의 백악질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인접치아의 치주 조직이나 치근의 손상도 피해야 한다. 또한 노출 후 치아는 각화된 치은에 위치하여야 한다. 외과적 노출 중에 가해진 손상의 정도는 치아의 병리 생리학적 이상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본 증례들은 상악 제1대구치가 맹출 장애를 가진 증례들이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위의 사항을 고려하여 외과적 노출을 시행하였고, 맹출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이지 않았다(p>0.05). 5. DIFOTI 이미지의 광투과율과 CLMS의 병소 깊이에 대한 상관 계수는 -0.688이었으나(p<0.05), LFD의 측정값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ococcus mutans에 의한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향을 미치는 해양환경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현항 내측수괴는 동계에 가조도와 칠천도 사이의 중앙 수역까지 확장되어 나타났다.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 PDF

임상가를 위한 특집 3 -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치아의 매복 및 외과적 노출술에 의한 매복치의 맹출유도 (Teeth impaction, and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teeth by surgical exposure in child and adolescent)

  • 남순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5호
    • /
    • pp.281-290
    • /
    • 2014
  • Tooth eruption disturbance is seen commonly in mixed dentition or early permanent dentition. During this period of time, children experienc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keleton and dentition, so the impaction and eruption disturbance of permanent teeth make many problems in oral and maxillofacial areas.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tooth is not simple because many factors related to impaction are considered. Several factors such as etiology, tooth development stage, location of impacted teeth or eruption pathway, patient cooperation, etc.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eciding the management of the impacted tooth.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ssessed the etiology and impaction status of impacted tooth through various cases, and try to explain the treatment method to guide eruption by surgical exposure.

교정적 견인과 감압술에 의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치험례 (Orthodontic Traction and Decompression Method in Treating Impacted Permanent Mandibular First Molars : Case Reports)

  • 지명관;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7-263
    • /
    • 2015
  • 매복치는 유치열기보다 영구치열기에서 더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가장 흔하게 이환되는 치아는 상하악 제3대구치들이며,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은 비교적 드문 편이다. 매복치의 치료방법은 자발적 맹출을 위한 지속적인 검사,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 후 아탈구, 교정적 견인, 그리고 외과적 재위치술 등이 있으며 이 모든 치료가 실패한다면 치아를 발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첫 번째 증례는 8세 남아로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 폐쇄장치를 이용한 감압술을 시행하였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아의 맹출이 관찰되었다. 두 번째 증례는 12세 남아로서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 후 치아의 맹출이 관찰되지 않아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정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후 정상적인 치아의 맹출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