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subsidence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3초

태풍 우사기와 나리 통과 후 부산지역 미세먼지 농도의 급상승에 관한 연구 (Sudden rise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fter Typhoon USAGI and NARI passage in Busan)

  • 전병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557-56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dden rise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fter the passage of typhoon USAGI and NARI in Busan. Nocturnal inversion layer was formed at atmospheric boundary layer and wind direction changed from southerly wind to northeasterly wind after USAGI passed through Busan. Fine particle concentration in Busan rapidly increased by subsidence of air pollutants released from sources and dust transported from in the vicinity of industrial regions. Wind direction changed from northeasterly wind to southeasterly wind, wind velocity increased and lower atmosphere became extremely unstable after NARI passed through Busan. $PM_{10}$ concentration of Busan increased sharply because of surface dust dispersed by strong wind. Fine particle concentration generally decreases by precipitation and wind after typhoon passes through. However, the concentration can also go up not only by subsidence and transportation in nocturnal inversion layer but also by surface dust which temporarily occurs by strong wind.

ALOS PALSAR 영상과 GPS를 이용한 시계열 분석: SBAS 알고리즘을 적용한 목포시 일원의 지반침하 연구 (Time Series Analysis with ALOS PALSAR images and GPS data: Detection of Ground Subsidence in the Mokpo Area using the SBAS Algorithm)

  • 김소연;배태석;김상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75-384
    • /
    • 2013
  • 연안 도시인 목포는 시 면적의 약 70%가 바다를 매립하여 이루어진 도시로(Kim et al., 2005) 매립에 의한 지반침하 현상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OS PALSAR L-band 위성에서 얻어진 영상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목포시 일원에서 발생한 지반침하를 관측하였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획득된 GPS 현장 자료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지반침하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GPS 자료처리 결과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지표의 상승과 하강이 반복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제외한 정확한 지반침하량만을 계산하기 위해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GPS 자료로부터 계산된 지반침하 속도는 3.89cm/yr이고, 같은 지점에서 SAR 영상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침하 속도는 2.65cm/yr로 관측되었다. SAR와 GPS 자료처리 결과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자료를 통합하여 새로운 지반침하 모델링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또한 지반침하가 관측된 곳은 간척지에 해당하며, 2012년까지 지반침하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하수관로 배면 공동 탐지를 위한 최적 물리탐사 방법 (Optimal Geophysical Exploration Performance Method for Common Detection Behind a Sewer)

  • 김진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8호
    • /
    • pp.11-17
    • /
    • 2018
  • 최근 도심지를 중심으로 도로함몰이 증가하고 있어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도로 하부에는 상하수도관로, 전기통신시설 등 각종 도로시설물이 매설되어 있는데 이 시설물의 노후화가 도로 함몰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도로함몰의 주된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노후 하수관의 경우 CCTV 탐사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지반함몰 위험도를 산정하고 있다. 현재 GPR 탐사를 통해 공동을 탐사하고 있지만 지표면에서 탐사하기 때문에 관로 배면에 있는 공동을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파괴 공동 탐사 기법에 대해 조사하고, 조사 기술 중 하수 관로 내부에서 관로배면에 존재하는 공동을 탐사할 수 있는 최적 기술 선정하고 각 기술별로 테스트 베드에서 검증했다. 이는 하수관 주변 공동을 확인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평가 방법으로 판단된다.

암반분류변수를 이용한 침하에 따른 수리전도도 변화 해석 (Hydraulic Conductivity Changes Due to Subsidence Using Rock Mass Classification Parameters)

  • 윤용균;김장순;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4호
    • /
    • pp.321-329
    • /
    • 2003
  • 채굴적의 붕괴에 따른 침하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률 의존 수리전도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직 및 전단벨변형률, 탄성계수감소비, 절리간격 등은 수리전도도 변화를 좌우하는 주요 인자들이다. 탄성계수감소비는 RMR에 의해 절리간격은 RQD로 표현함으로서 심하게 파쇄된 암반에서부터 무결암까지의 모든 조건을 나타내는 현지암반의 수리전도도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지표 부근에서의 수리전도도 변화는 별로 나타나지 않으며 채굴적 주변에서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침하에 의해 수리전도도가 1보다 커지는 지역은 채굴적 상부 약 20m 구간까지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단변형률도 채굴적 주변에서의 수리전도도 증가에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MR이 감소함에 따라 채굴적 주변의 수리전도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RMR이 낮은 불량 암반에서의 침하가 수리전도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채굴 지역에서의 건축물 기초 지반 안정성 평가 연구 (Stability Assessment of Building Foundation over Abandoned Mines)

  • 권광수;박연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1권2호
    • /
    • pp.174-181
    • /
    • 2001
  • 지하채굴로 생성된 공동이 충전되지 않은 상태로 있으면 공동 천반의 이완과 붕락에 의해 지반침하 및 지표함몰이 발생한다. 특히, 채굴적 상부에 구조물이 건축될 경우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A 채광 지역 채굴적의 충전상태 및 채굴적 분포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시추조사와 시추공 카메라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암반의 물성 및 지반의 지지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전산해석 프로그램(FLAC)을 이용해 채굴적 상부에 구조물이 구축될 경우 발생하는 지반침하 및 지반침하가 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반조사 결과 채굴적은 대부분 전석이나 광미(tailing)등과 같은 물질로 충전된 상태였고, 충전물의 공학적 분류는 SM에 속했다. 측정 자료를 근거로 실시한 전산해석 결과충전된 채굴적 상부에 구조물이 구축될 경우 구조물 및 지반의 안정성에 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폐광산 지역의 공동 탐지 및 지반침하 모니터링을 위한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영상촬영기법 적용 사례 (A Case Study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Borehole Imaging Methods for Detecting Underground Cavities and Monitoring Ground Subsidence at Abandoned Underground Mines)

  • 최정열;김승섭;박상규;신광수;강병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5-208
    • /
    • 2013
  • 지하 폐광도에 의한 지반침하 지역에서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영상촬영을 통하여 지하공동의 분포 파악 및 지반 침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전기비저항탐사가 가능했던 연구지역 1에서는 100-150 ohm-meter 정도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이상대가 관찰되었으며 시추조사와 시추공영상촬영 결과에서 폐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지역 2는 도로로 피복되어 전기비저항탐사 수행이 불가능하였으나 광맥분포를 고려한 시추조사에서 채굴적 및 폐갱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영상촬영을 43일간 총 6차례에 걸쳐 수행하여 시간에 따른 지하매질의 수직 이동 변위를 측정하였다. 지반침하로 인한 지하매질의 수직이동양상은 하부에서 상부보다 3배 이상 큰 규모로 발생하며 그 지속기간 역시 4배 이상 오랫동안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효과적인 지하공동 탐지 및 지반침하 작용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전기비저항탐사와 시추공영상촬영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고정산란체 기반 시계열 영상레이더 간섭기법을 활용한 부산 대심도 지하 고속화도로 건설 구간의 지반 안정성 분석 (Time-Series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Based on Permanent Scatterers Used to Analyze Ground Stability Near a Deep Underground Expressway Under Construction in Busan, South Korea)

  • 김태욱;한향선;이시웅;김우석
    • 지질공학
    • /
    • 제33권4호
    • /
    • pp.689-699
    • /
    • 2023
  • Assessing ground stability is critical to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urface displacement is a key indicator of ground stability, and can be measured using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InSAR). This study measured time-series surface displacement using permanent scatterer InSAR applied to Sentinel-1 SAR images acquired from January 2017 to June 2023 for the area around a deep underground expressway under construction to connect Mandeok-dong and Centum City in Busan, South Korea. Regions of seasonal subsidence and uplift were identified, as were regions with severe subsidence after summer 2022. To evaluate stability of the ground in the construction area, the mean displacement velocity, final surface displacement, cumulative surface displacement, and difference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urface displacement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time-series surface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area, the difference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urface displacement since June 2022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parameter for evaluating ground stability. The results identified highly unstable ground in the construction area as being to the north of the mid-lower reaches of the Oncheon-cheon River and to the west of the Suyeong River at the point where both rivers mee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urface displacement of 40~60 mm.

ALOS PALSAR(2006년~2010년)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태백시 지반침하 관측 및 분석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using ALOS PALSAR (2006~2010) in Taebaek, Kangwon)

  • 조민지;김상완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5호
    • /
    • pp.503-512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일대의 지반침하 분석을 위해, 인공위성레이더를 이용하여 차분간섭기법(DInSAR)과 시계열분석기법인 SBAS 알고리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기법들은 쉽게 접근하기 어렵고 넓은 지역의 변위를 관측하는데 효과적이다. 2006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ALOS PALSAR 위성레이더(경로/위치=425/730)를 통해 획득된 23개의 자료를 이용하여, 위성자료간의 수직기선거리가 1100 m 이하인 96개의 차분간섭영상을 ROI_PAC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생성된 차분간섭영상을 시계열 분석기법인 SBAS 분석에 적용하여 구한 평균 지표변위 속도로부터 경동광산, 석공 장성광산에서 약 4 cm/yr, 정동광산, 황지광산에서는 약 2 cm/yr에 해당하는 지반침하가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침하지역이 지하갱도분포 지역과 일치하므로, 침하의 주요원인이 광산개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경동광산은 약 $2{\times}2$ km의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빠른 지반침하 속도와 지속적인 침하 양상을 보이므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한 재해방지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지하수 채수에 따른 지반침하 사례분석

  • 정하익;구호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68-171
    • /
    • 2001
  • It is a common practice to extract water from the ground for domestic, agricultural or industrial uses or to lower the groundwater level for construction work. An accurate prediction of ground settlement Is sometimes crucial when groundwater is pumped. This case study have shown that drawdown of the groundwater table may cause ground subsidence. Many settlement gauges wa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pumped well to measure the surface settle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groundwater drop and surface settlement i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 PDF

Development of Impact Evaluation and Diagnostic Indicators for Sinkholes

  • Lee, KyungSu;Kim, TaeHy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3호
    • /
    • pp.53-60
    • /
    • 2018
  •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sinkholes and ground subsidence conducted until d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inkholes can be divided into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and human environmental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Furthermore, to be more specific, the human environment can be classified into the artificial type and the social type.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indices for assessing risks of sinkholes and ground subsidence were developed by performing AHP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by Lee et al. (2016), who selected the risk factors for the occurrence of sinkholes by performing Delphi analysis targeting relevant experts. Analysis showed that the artifi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of significance in affecting the occurrence of sinkholes. Explicitly, the underground factors were found to be of importance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mong them, the level of underground water turned out to be an imperative influencing factor. In the artificial environment, the underground and subterranean structures exhibited similar importance, and in the underground structures, the excessive use of the underground spac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In the subterranean ones, the level of water leakage and the erosion of the water supply and sewage piping system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and in the surface, compaction failure was observed as an imperative factor. In the social environment,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above all, the groundwater overuse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 the management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 improper construction management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