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anatomy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6초

인태아 척추 골화과정에서 연골관의 역할 (The Role of Cartilage Canals in Osteogenesis and Growth of the Vertebrae in the Human Fetuses)

  • 정성택;남광일;김백윤;윤재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3호
    • /
    • pp.287-305
    • /
    • 2001
  • 태생기 성장골에 출현하는 연골관은 골화와 무관하고 영양분을 공급하는 통로라 하였고 일부 학자들은 연골관 말단부에서 골화가 일어남을 발표하였다. 추체에서 연골관은 골화중심부 출현이전에 나타나 전 태생기동안 존재하기 때문에 연골관과 골화와의 관계를 관찰하는 것은 골화과정을 이해하는데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는 연골관이 추체연골부 골화중심부 출현에서부터 골화가 진행하는 과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새로운 지견을 얻었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좌고 60mm(태령 12주)때 추체에 연골관이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80mm(13주)때 추체 중앙부에는 석회화연골세포와 비대연골세포로 구성된 석회화소가 출현하였으며 심연골관이 비대연골세포대에서 관찰되었다. 비대연골세포의 형태는 다양하였고 불규칙하게 배열하고 있었다. 심연골관의 끝부분에는 골형성세포, 골모세포 및 파연골세포들이 관찰되었고 이것이 1차 골화중심부 출현이었다. 비석회화 연골기질은 연골관내에 존재한 혈관주위 결합조직들에 의해 주로 흡수되었고 파연골세포에의한 석회화 연골기질의 흡수는 활발하지 많음을 볼 수 있었다. 120mm(16주)때 추체 연골내골화가 전 후방으로 진행되었고 전 후방 연골막에서 막내골화가 시작되어 막성골층판이 신생되었다. 결론적으로 추체의 골화과정은 장골의 골단연골의 골화과정과 유사하였고, 특히 추체에 출현하는 연골관의 주위에 존재하는 결합조직성 세포들이 골형성세포 및 골모세포로 분화 발육하여 신생골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방사선 조사 백서 경골에 티타늄 임플랜트 매식후 골 치유에 관한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BONE HEALING AROUND TITANIUM IMPLANTS PLACED IN IRRADIATED RAT'S TIBIAE)

  • 곽병학;김종렬;박봉수;신상훈;성일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6호
    • /
    • pp.379-391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bone regenerative capacity around titanium screw implants placed in irradiated rat's tibiae. At one week after single 15-Gy dose irradiation, miniaturized titanium screw implants were inserted into anterior aspect of the upper tibia of rats weighing 200-250g. Seventy rats were involved: 35 rats were control and 35 rats radiation group. The rats were killed at different intervals as 1, 2, 3, 4, 6, 8, 12 weeks after implantation for histologic observation, histomorphometric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fibronectin and CD34 antibody. 1. Histologically, various stages of bone maturation and ossification can be seen at 4 weeks and regenerated bone close to edges demonstrates more advanced calcification, and network of new bone are well formed at 12 weeks in non-irradiated group. In contrast, active bone formation with increased contact of newly formed bone to implant surface was noted at 4 weeks and a significant amount of new bone formation and bone-implant contact is oberved at 12 weeks in irradiated group. 2. Histomorphometrical analysis confirmed these histologic finding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lant-bone contact and bone density was measured between the control and radiation group. Mean MBD was 62.2% in control group and 27.5% in radiation group, mean MBIC was 86.6% in control group and 47.7% in radiation group, and mean TBIC was 87.3% in control group and 45.6% in radiation group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3. In immunohistochemical study with fibronectin and CD34, radiation reduced hematopoietic progenitor cells severely and disturbe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in bone marrow.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bone healing capacity around implant after radiation therapy was severely impaired and irradiation reduces the capacity for osseointegration of titanium implants. Many factors including radiation dose, period between radiation and implantation, bone quality, time elapse between first and second surgery, type of prosthetics and hyperbaric oxygen therapy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in postradiation implantation.

VRML을 이용한 융합 영상에서 간질환자 발작 진원지의 3차원적 가시화와 위치 측정 구현 (Visualization and Localization of Fusion Image Using VRML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Epileptic Seizure Focus)

  • 이상호;김동현;유선국;정해조;윤미진;손혜경;강원석;이종두;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1호
    • /
    • pp.34-42
    • /
    • 2003
  • World Wide Web (WWW)에서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를 이용하는 3차원 (3D)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정보를 더 효과적으로 제공해 준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해부학적 영상과 융합되는 기능적 영상의 3D 가시화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2D 영상들과 함께 웹에서 VRML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3D 해부학적 표면 영상들과 기능적 표면 영상들을 동시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하고 VRML을 통해 만들어진 거리 측정 도구를 가지고 관심영역의 공간적인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 명의 간질 환자로부터 Magnetic Resonance (MR) 축면 영상과 발작기 및 발작간기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축면 영상들을 각각 획득하였다. 발작 진원지의 확인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subtractionictal SPECT coregistered to MRI (SISCOM)을 수행하였다 SISCOM 결과로 나타난 각 2D 영상들은 모든 voxel들의 평균값 위로 1-표준편차와 2-표준편차에 해당하는 문턱 이상의 영상 값을 갖도록 하였다. SISCOM으로 나타나는 간질 발작 진원지들과 MRI 영상에서 회색질, 백색질 및 뇌척수액의 경계들을 각각 분할하고 marching cube 알고리즘에 의해 VRML 표면 영상들로 나타내었다. 축면 영상에서 실제 거리를 나타내는 x, y축의 길이를 획득하고 z축선의 길이를 계산하였다. VRML을 이용한 거리 측정도구를 만들어 이전의 VRML 표면 영상들과 융합하였다. MRI 영상을 이용하여 3D 표면 영상들의 단면을 나타내고 3D 표면 영상들의 투명도를 설정하기 위해 Java Script 루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로서 삽입하였다 웹 페이지에서 구현되는 3D 표면 영상들의 투명도와 관찰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모델들 사이의 공간적인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다. 간질 발작 진원지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를 3D 표면 영상들을 가로지르는 MRI 평면 영상들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간질 발작 진원지는 뇌의 오른쪽 측두엽에서 나타났고 공간적으로 발작 진원지의 실제 위치를 VRML 거리 측정 도구에 의해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웹에 근거한 3D 융합 영상의 가시화와 위치 측정은 진단 및 치료 방사선학과 외과학 등의 분야에서 온라인 방식의 연구와 교육에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토끼 아래눈물샘의 미세구조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abbit Inferior Lacrimal Glands)

  • 박영희;안의태;고정식;박대균;김명수;박경호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1호
    • /
    • pp.23-33
    • /
    • 2007
  • 눈물샘은 주위환경으로부터 눈의 표면을 보호해주는 눈물막(tear film)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포유동물의 종에 따라 눈물샘의 구조와 구성요소는 차이가 있다. 포유류의 눈물샘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 즉, 위눈물샘 (superior lacrimal gland)과 아래눈물샘 (inferior lacrimal gland)으로 나눌 수 있다. 위눈물샘은 사람, 토끼, 개, 말, 낙타, 소등에 있는데, 안구의 위쪽에 위치하며, 아래눈물샘은 설치류, 토끼, 식충류 등에 존재하며, 안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토끼는 두 종류의 눈물샘 즉, 위눈물샘과 아래눈물샘을 모두 갖고 있는 데, 본 실험에서는 아래 눈물샘의 전자현미경적 구조를 관찰하였다. 토끼의 아래 눈물샘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일반구조는, 눈물샘은 전체적으로 피막에 싸여있었고, 샘실질은 결합조직에 의해 소엽으로 나뉘어지고, 소엽에는 분비부, 소엽속관 및 소엽사이관이 있다. 샘포세포는 아주 좁은 속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사이관(intercalated duct)은 샘포와 소엽속관을 연결한다. 소엽속관은 단층의 입방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출관인 소엽사이관이 결합조직 안에 잘 발달되어 있다. 눈물샘의 미세구조는 눈물샘 샘포세포는 피라밋형으로, 세포사이는 잘 발달된 연접복합체로 연접하였으며, 좁은 꼭대기 부분은 약간의 미세융모들이 샘의 내강쪽으로 향해 있다. 세포들의 가쪽면 사이에는 세포사이세관이 형성되었고, 그 속에도 상당수의 미세융모들이 관찰된다. 눈물샘분비세포는 세 종류로서 장액세포(serous cell), 장점액세포(seromucous cell)와 점액세포(mucous cell)로 이루어졌다. 장액세포는 샘포의 바닥 쪽에 많고, 세포질에는 전형적인 골지복합체와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있으며, 둥글둥글한 소포상의 과립형질내세망이 특징적인 구조이다. 한편 장점액세포는 전형적인 납작한 과립형질내세망이 조밀하고, 리보소체도 많아서 매우 어둡게 보이며, 분비과립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장액분비과립, 미세먼지같은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지닌 과립, 전자밀도가 낮으며 가끔은 융합되는 점액 분비과립을 갖고 있다. 점액세포의 과립세포질세망은 세포질전체에 퍼져 있으며, 관모양의 사립체들이 드물게 관찰된다. 점액세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분비과립 즉, 전자밀도가 낮은 분비과립, 전자밀도가 비교적 높으며 빈도가 낮은 과립과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과립이 있으며, 전자밀도가 낮은 과립은 서로 융합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과립세포질세망은 주로 세포의 바닥부분에 위치하며, 골지복합체는 세포의 중간부분인 핵상부에 주로 위치한다. 점액세포의 가쪽벽에는 세포사이공간이 있어 가쪽주름(lateral fold)과 내강에 미세융모를 지닌 세포사이세관(intercellular canaliculi)이 관찰된다. 분비관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다른 모양의 과립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안면 비대칭환자의 하악골체부의 시상 단면에 관한 연구 (Cross-sectional study of the mandibular body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 이재열;김용일;황대석;김용덕;신상훈;김욱규;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2호
    • /
    • pp.109-113
    • /
    • 2011
  • Introduction: To correct the facial asymmetry by mandibular jaw surger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anatomy of the mandible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positioning of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cross-sectional surface in the body of the mandible between the deviated side and opposite side in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37 adult patients composed of 2 groups, the asymmetry group (n=20) and non-asymmetry group (n=17). Using the cross-sectional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the distance from the buccal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outer aspect of the buccal cortex, distance from the buccal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ner aspect of the buccal cortex, distance from the inferior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thickness of the mandible, and cross-sectional surface area of the mandible were measured in each side of the mandible Resul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mandible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positioning in the deviated sid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opposite side in the asymmetry group. Only the distance from the inferior aspect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in the ramus area of the deviated sid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opposite side. On the other hand, the bucco-lingual width of the asymmetry group was thinner than the non-asymmetry group. Conclusion: The cross-sectional area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of the mandible did not appear to be modified by the facial asymmetry.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받은 신생 흰쥐 뇌 해마에서 Fas와 FasL 단백 발현 (Fas/FasL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of neonatal rat brains follwing hypoxic-ischemic injury)

  • 장영표;김명주;이영일;임익제;조재주;김종완;여성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98-202
    • /
    • 2006
  • 목 적 : Fas는 세포표면 수용체로 세포사멸 신호를 전도한다. 많은 질환에서 세포표면의 Fas가 Fas ligand(FasL)와 결합하여 세포사멸 과정을 유발하게 된다. 연구자들은 7일된 신생 흰쥐에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유발한 후 뇌 해마에서 Fas와 FasL의 발현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7일된 신생 흰쥐를 오른쪽 총 경동맥 영구 결찰 후 8% 산소에 2시간 노출시켰다.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후 12, 24, 48시간에 뇌를 적출 냉동 보관하였다. Western blotting 방법과 면역형광염색 방법으로 냉동 보관된 뇌의 경동맥을 결찰한 오른 쪽 해마에서 Fas와 FasL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 과 : Fas와 FasL의 발현은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 후 12시간에 경동맥이 결찰된 오른쪽 해마에서 크게 증가하고 이후 감소하는 것을 western blotting 방법에 의해 관찰하였다. Fas와 FasL의 면역형광발현은 오른쪽 해마의 CA1 영역에서 손상 후 12시간과 24시간에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Fas의 면역형광 발현은 손상 후 48시간에 감소하였으나 FasL의 면역형광발현은 손상 후 48시간에도 지속되었다. 결 론 : 세포표면에서 Fas와 FasL의 발현과 그들의 결합은 저산소성 허혈성 손상을 받은 미성숙 뇌의 신경세포 손상에 기여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Variations in surface roughness of seven orthodontic archwires: an SEM-profilometry study

  • Amini, Fariborz;Rakhshan, Vahid;Pousti, Maryam;Rahimi, Hajir;Shariati, Mahsa;Aghamohamadi, Bahareh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29-137
    • /
    • 201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roughness (SR) of 2 types of orthodontic archwires made by 4 different manufacturers. Methods: This in vitro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35 specimens of 7 different orthodontic archwires, namely, 1 nickel-titanium (NiTi) archwire each from the manufacturers American Orthodontics, OrthoTechnology, All-Star Orthodontics, and Smart Technology, and 1 stainless steel (SS) archwire each from the manufacturers American Orthodontics, OrthoTechnology, and All-Star Orthodontics. Aft er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each wire by energy-dispersive X-ray analysis, the SR of each wire was deter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surface profilometr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alpha}$ < 0.05). Results: The average SR of NiTi wires manufactured by Smart Technology, American Orthodontics, OrthoTechnology, and All-Star Orthodontics were $1,289{\pm}915A^{\circ}$, $1,378{\pm}372A^{\circ}$, $2,444{\pm}369A^{\circ}$, and $5,242{\pm}2,832A^{\circ}$, respectively. The average SR of SS wires manufactured by All-Star Orthodontics, OrthoTechnology, and American Orthodontics were $710{\pm}210A^{\circ}$, $1,831{\pm}1,156A^{\circ}$, and $4,018{\pm}2,214A^{\circ}$, respectively. Similar to the results of profilometry, the SEM images showed more defects and cracks on the SS wire made by American Orthodontics and the NiTi wire made by All-Star Orthodontics than others. Conclusions: The NiTi wire manufactured by All-Star Orthodontics and the SS wire made by American Orthodontics were the roughest wires.

인위적(人爲的)인 결체(結締)에 의해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 수간(樹幹)의 종양재(腫瘍材)에 관한 조직특성(組織特性)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umorous Wood Formed in a Stem of Robinia pseudoacacia L. by Artificial Fastening)

  • 엄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08-415
    • /
    • 1991
  • 수간(樹幹) 둘레를 철사(鐵絲)로 결체(結締)함에 따라 인위적(人爲的)인 피해(被害)를 받으므로써 형성(形成)된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 종양재(腫瘍材)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고찰(考察)하고 아울러 정상재(正常材)와의 그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실시(實施)하였다. 종양재(腫瘍材)는 일부(一部) 관공(管孔) 및 대부분(大部分)의 목섬유(木纖維)와 방사조직(放射組織)이 정상배열(正常配列)에서 이탈(離脫)된 불규칙적(不規則的)인 배열(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횡단면상(橫斷面上)의 관공(管孔)이 다소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신당(伸張)되어 있는 점, 선단(先端)이 굴곡(屈曲)된 목섬유(木纖維)가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방사조직(放射組織) 사이에서 가끔 관찰(觀察)되는 점, 방사조직(放射組織)의 폭(幅)과 높이가 더 큰 점, 방사단면상(放射斷面上)의 목섬유(木纖維)가 서로 교착배열(交錯配列)을 이루고 있는 점, 추재부(秋材部)의 복합관공(複合管孔) 출현(出現) 빈도(頻度)가 더 큰 점, 젤라틴목섬유(木纖維)의 발달(發達)이 더 일반적(一般的)인 점 및 농색(濃色)의 검(gum)상물질(狀物質)이 국부적(局部的)으로 목섬유(木纖維), 방사조직(放射組織), 축방향유세포(軸方向柔細胞)의 내강(內腔)에 발달(發達)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정상재(正常材)와의 조직(組織) 특성(特性) 차이(差異)를 나타내었다.

  • PDF

치주염에 이환되어 발거된 치아의 치주인대가 없는 치근표면에 EDTA처리를 한 후 3차원적으로 배양한 사람치주인대섬유모세포의 부착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The 3-dimensional attachment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on periodontally involved root surface following treatment with EDTA: A SEM study in vitro)

  • 조아영;김병옥;박주철;김흥중;장현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45-51
    • /
    • 2007
  • This study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the 3-dimensional attachment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to a periodntally involved root surface after an EDTA treatment in vitro. The human PDL fibroblasts were isolated from the middle third of the root of periodontally healthy teeth extracted for orthodontic reasons. The cells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at $37^{\circ}C$ in humidified air containing 5% $CO_2$. Eight single-rooted teeth were obtained from patients diagnosed with periodotitis.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four teeth were etched with 24% ethylenediaminetetracetic acid (EDTA) for two minutes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four teeth were not treated with EDTA and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The human PDL fibroblasts were placed in the total root surface and cultured for 4 weeks. The teeth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 in PBS before preparation fo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xamination. The human PDL fibroblasts showed a healthy morphology on the root surfaces treated with EDTA (Experimental group) and a relatively unhealthy appearance on the treated root surfaces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EDTA favorably affects the 3-dimensional attachment of human PDL fibroblasts cultured on the root surfaces. whic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iodontal healing and regeneration.

치과용 임프란트 매식을 위한 견갑골외연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METRIC STUDY OF SCAPULAR LATERAL BORDER FOR INSTALLATION OF DENTAL IMPLANT.)

  • 이종호;정숭룡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3호
    • /
    • pp.231-238
    • /
    • 1995
  • The scapular flap, described by dos Santos in 1986, has been used successfully for the reconstruction of a variety of defects of oro-mandible. Some have defined the gross and vascular anatomy of the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 yet useful anatomical information and a complete description of area and contour of each cut surface of lateral border of scapula, which is very important for esthetic and functional reconstruction using dental implants, are missing. These prompted us to clarify the cross-sectional area of lateral border of scapula. Twenty three scapulas of 15 fixed adult Caucasian cadavers were sectioned in every 1cm interval along the lateral border of scapular, and the metric relations and the shape of cut surface were assessed. The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 consisting of cortico-cancellous bone measuring $7.86{\pm}0.97mm$ in width, $19.6{\pm}2.86mm$ in height and $12{\pm}1.78cm$ in length, could be harvested as an osteocutaneous scapular flap or as a single vascularized bone flap. The mean thickness of cortical bone of lateral, medial, dorsal and costal surface was $0.46{\pm}1.48mm$, $1.78{\pm}1.34mm$, $1.54{\pm}1.11mm\;and\;1.35{\pm}0.87mm$, respectively. So we have thought that all scapular transplants could be supported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fixation of dental prosth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