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ovul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4초

다배란 처리에 따른 한우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과 수정란이식 (Effect of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Embryo Transfer Following Superovulation in Hanwoo)

  • 조상래;최선호;최창용;손준규;최수호;김영주;이풍연;연성흠;김현종;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1-144
    • /
    • 2010
  • In vivo embryo produced from Hanwoo donor cows were collected and transferred to Hanwoo recipients. Cows,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Progesterone Releasing Intravaginal Device (CIDR-plus, InterAg, New Zealand) together with injection of 1 mg estradiol benzoate and 50 mg progesterone, and gonadotropin treatment began 4 day later. For superovulation, a total of 28 mg FSH was intramuscularly injected twice a day in the way of decreasing doses 4 day (5, 5, 4, 4, 3, 3, 2 and 2 mg). Twenty one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7 days after the secon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rates of transferable embryos were 50.3%, and 78 fresh embryos at morulae and blastocysts stage were transferred into Hanwoo recipients on day 7 of estrus cycle. The pregnancy rates were first embryo transfer 55.6%, 2nd 62.9% and 3rd 57.9%,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DR-based superovulation protocol may be effectively used for production of superior Hanwoo embryos. Also, since it seems the condition of recipient cows greatly affect pregnancy rate,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recipient for effective cattle production.

한우에서 신체충실지수(BCS)가 다배란 처리 시 체내 수정란 생산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Condition Score (BC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Pregnancy Rate Following Superovulation in Hanwoo)

  • 염규태;박해금;김남태;김성우;김현;도윤정;김영신;박수봉;김재환;조상래;조재현;고응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2
    • /
    • 2013
  • Body condition score (BCS) is a useful management tool for distinguishing differences in nutritional needs of cows in the herd. Although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quantify the nutrient content of the feed supplied to the donor cow, the nutrition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the B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 vivo embryo production, return to estrous of donor and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following BCS in Hanwoo superovulation. Sixty nine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the thir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regardless of BCS ($${\leq_-}2.0$$, 2.5 to 3.0, and $${\geq_-}3.5$$). The mean number of total embryos was each $5.20{\pm}0.86$, $11.56{\pm}1.04$, and $6.23{\pm}1.07$.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 from $${\leq_-}2.0$$, 2.5 to 3.0, and $${\geq_-}3.5$$ of BCS was $2.60{\pm}0.87$, $7.94{\pm}0.89$, and $4.75{\pm}1.32$, respectively (p<0.05). Return to estrous regardless of donor BCS was no difference. The pregnancy rates of recipient were BCS $${\leq_-}2.0$$ 11.76%, 2.5 to 3.0 40.79%, and $${\geq_-}3.5$$ 11.11%, following transfer of fresh embryos produced in vivo,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Hanwoo with BCS 2.5 to 3.3 are used for donor and recipient, the embryo production and the conception rate will be greater.

제주 흑우에서 다배란 처리 후 호르몬 수준과 혈액 생화학치의 변화 (Changes of Hormonal Level and Blood Biochemistry Following Superovulation Treatments of Jeju Black Cow)

  • 이태훈;강승률;김희석;강민수;윤영민;이주명;강태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5-231
    • /
    • 2006
  • 본 연구는 제주도의 흑우에서 다배란을 유기한 후 발정기 동안 혈중 호르몬의 농도 검사, 혈액 생화학 검사, 체내 수정란 회수율 등을 관찰하였다. FSH를 4일간 8회 50 mg씩 주사하여 다배란을 유기하였다. 성호르몬의 측정은 radioimmunoassay (RI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혈액 생화학치는 자동혈청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인공 수정 후 7일에 수정란을 비외과적 방법으로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혈중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progesterone농도는 day -11에 $7.2{\pm}3.8ng/ml$ 이었으며 day -2에 급격히 감소하여 day 0에는 $0.2{\pm}0.1ng/ml$로 최저치를 유지하다가 day 2 후 상승하였다. Estradiol의 농도는 day -11에 $10.6{\pm}4.3pg/ml$였으며 day 0에는 $15.0{\pm}2.1pg/ml$ 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2. 다배란처리 후 발정 주기 동안의 AST, ALT, BUN, creatine, cholesterol, albumin 및 total protein등 혈액 생화학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각 혈액 생화학치의 변화는 정상 소의 정상 범위 내 있었으며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3. 공란우 12두에서 총 62개의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이중 이식 가능한 수정란은 37개(59.7%)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주흑우에서 다배란을 유도한 후 발정기 중 호르몬과 혈액생화학치의 변화양상을 알 수 있었다.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율 (ART Outcomes in WHO Class I Anovulation: A Case-control Study)

  • 한애라;박찬우;차선화;김혜옥;양광문;김진영;궁미경;강인수;송인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1호
    • /
    • pp.49-56
    • /
    • 2010
  • 목 적: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환자에서 보조생식술의 임신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으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23명을 연구군으로, 동일기간 난관요인으로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이들 중 연구군과 연령 및 체질량지수가 일치하는 120명의 여성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열람하였다. 보조생식술 관련 여러 계측치 및 임신율, 유산율, 출산율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군의 평균 연령은 $32.7{\pm}3.3$세였고, 평균 체질량지수는 $21.0{\pm}3.2kg/m^2$였다. 생리주기 제 2~3일에 측정한 황체형성호르몬과 난포자극호르몬은 각각 $0.61{\pm}0.35$, $2.60{\pm}2.35$ mIU/ml였고, 에스트라디올은 $10.13{\pm}8.17$ pg/ml이었다. 난소자극 주기에서 사용된 생식샘자극호르몬의 총 양과 투여기간 및 hCG 투여일의 $E_2$ 수치는 연구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보조생식술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 (IVF-ET) 주기에서는 연구군에서 자궁내막두께와 수정율, 출산율이 유의하게 낮았고, 유산율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외 난소자극 및 인공수정 (SO-IUI) 및 동결보존배아이식 (FET) 주기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저성선자극호르몬 성선저하증 여성에서 생식샘자극호르몬 치료를 통한 전반적인 보조생식술의 임신율은 22.0%로 대조군의 그것과 유사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용량의 호르몬이 필요하다. 연구군의 IVF-ET의 경우, 주기 중 현저하게 높은 $E_2$ 수치와 유의하게 얇은 자궁내막을 보이며, 더 높은 유산율과 더 낮은 생존출산율을 보여, 이의 극복을 위해 자궁내막 수용성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