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shine hour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7초

환경요인에 따른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화학적 특성과 품질과의 관계 I. 재배지역과 재배시기가 다른 잎담배의 품질과 화학성분 비교 (The Relation of the Quality of Oriental Tobaccos to their Chemical Constituents I. Comparison of Qual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Leaf Tobacco Produced from Different Location and Season)

  • 류명현;손현주;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7-96
    • /
    • 1988
  • 재배환경과 품질이 크게 상이한 한국의 만기작과 조기작, 그리이스 관행 재배에서의 생육환경, 잎담배의 화학성분 변화와 품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1. 생육중 강우량은 한국의 만기작> 조기작> 그리이스작 순으로 적고, 일조시수는 강우량의 역순이었으며, 조기작은 만기작에 비해 이식후 30∼80일 기간중 강우량이 60% 적고, 일조시수는 20% 많았다. 2. 그리이스작은 한국 재배엽에 비하여 전질소, 니코틴, 석유에텔 추출물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그리이스작>조기작>만기작 순으로 휘발성 유기산, 정유성분 중성부의 함량이 높고 품질이 좋았으며, 조기작은 만기작보다 회분함량과 pH가 크게 낮았다. 3. 건조엽의 품질과 석유에텔추출물, 휘발성 유기산, 전질소함량은 정의 상관, 회분함량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품질평가를 위한 지수로는 총 휘발성 유기산(mg/100g), (equation omitted) 접합도가 높았다.

  • PDF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과 Key-Year (Diameter Growth and Key-Year in Pinus koraiensis and Pinus densiflora Trees)

  • 한상섭;박완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16-222
    • /
    • 1988
  • 춘천근교(春川近郊)와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연습림(演習林)에서 자라고 있는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량(直徑生長量)을 측정(測定)하여 다변량해석(多變量解析) 방법(方法)으로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기상인자(氣象因子)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으며, 또한 특이(特異)한 기후변동하(氣候變動下)에서 나타나는 Key-year를 분석(分析)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일(同一)한 기상조건(氣象條件)과 입지환경하(立地環境下)에서 잣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이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보다 양호(良好)하게 나타났다. 2. 잣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기상인자(氣象因子)의 영향(影響)에 대한 크기는 안개, 일조시수(日照時數), 강수량(降水量), 습도(濕度), 온량지수(溫量指數), 증발량(蒸發量)의 순위(順位)로 나타났다. 3.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기상인자(氣象因子)의 영향(影響)에 대한 크기는 안개, 일조시수(日照時數), 습도(濕度), 강수량(降水量), 온량지수(溫量指數)의 순위(順位)로 나타났으며, 증발량(蒸發量)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4. Key-year는 잣나무와 소나무의 직경생장(直徑生長)에 미치는 특이(特異)한 기후변동(氣候變動)이 있었던 1964년(年)과 1973년(年)에 나타났다.

  • PDF

기상자료에 의한 작물의 필요수량 결정 (Water Requirement for Crops by using Meteological data)

  • 이중기
    • 물과 미래
    • /
    • 제6권1호
    • /
    • pp.87-99
    • /
    • 1973
  • The calculation of the comsumptive use by crop can be most accurate when it is actually measured. The mankind is not yet able tole grasp all the natural conditions or phenomena. The induces of actual measurement at a representive observatory and the formula abtained from the area werowere made as close as possible, which is called as the Blaney Criddle formcula, published in 1945. In calculating the water require-ment of consumptive use of water by farm crops, a more accurate and reasonable formula should be induced as the factors other than temperature and day-time hou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project area have also influences. The formula of Mr. Jerald E. Christianen published in 1969 is based on the induces of the records of actural measurements for 3, 928 months at 80 different stations and his formula couers a wider range of functions that calculate water requirement to induce the functions of moisture, wind, velocity, sunshine at elevatons, in addition to temperature and daytime hours in accordance with latitude and was modified to be fit to natural phenomena. The formula is being widely in use in many contries with their modification since it is worth while for usealso in korea, the formula is introduced and explained in the following.

  • PDF

Study of quercetin and kaemferol contents variation in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associated with cultivating locations, collecting seasons and drying methods

  • Park, Hie Tay;Han, Sangj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96-296
    • /
    • 2017
  • In order to study the content varia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associated with Varieties (with thorn, without thorn), Cultivating Locations, Collecting Seasons,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carrier) Bureau containing higher content of pharmaceutical components than the other parts were tested after collecting 6 varieties including w or w/o thorn from 4 locations such as Cheongsong, Milyang, Goesan and Gochang at 3 seasons, spring, summer and fall in 2015 and 2016. As a result, Kaempferol content associated with Varieties between with thorn and without thorn, collecting Locations and Years have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heir mean values but the differences associated with Seas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tent was higher at spring and then gradually declined at summer and fall. The content variation in Year 2015 which was higher at spring and lower at summer and then recovered at fall abnormally, shows similar pattern of sunshine variation of the year. The content variation of Quercetin and Kaempferol seems to be come from climate fluctuation specially in Sunshine hours rather than Varieties, Locations. The variation associated with drying methods for utilizing leaves are statically significant. Natural Dry was shown the least variation because heat input while drying makes degradation of the content.

  • PDF

체육관 커튼월에 설치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발전량과 기후 요소 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Electricity Generation of 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on Gymnasium Building's Curtain Wall)

  • 박강현;이정훈;김수민;박경원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8-14
    • /
    • 2012
  • Concerning about global warming due to emission of greenhouse effect gas like C02 and depletion of fossil fuels have been spreading. So the need for solar energy utilization is increased. It is essentially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reduce usage of fossil energy resour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loud cover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3. The order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verage temperatures, hours of sunshine duration of sunshine and the humidity. To accurately analyze of the degree of correlation for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dditional research about climatic elements that show a high correlation is needed.

Variation of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in Korea

  • Nkomozepi, Temba;Chung, Sang-Ok;Kim, Hyun-Ki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135-143
    • /
    • 2014
  • The variability and temporal trends of the annual and seasonal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 rainfall,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unshine hours, and runoff were analyzed for 5 major rivers in Korea from 1960 to 2010. A simple regression and non-parametric methods (Mann-Kendall test and Sen's estimator)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inimum temperature ($T_{min}$) had a higher increasing trend than the maximum temperature ($T_{max}$),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by about $0.03^{\circ}C\;yr.^{-1}$. Th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decreased by $0.02%\;yr^{-1}$ and $0.01m\;s^{-1}yr^{-1}$, respectively. With the exception of the Han River basin, the regression analysis and Mann-Kendall and Sen results failed to detect trends for the runoff and rainfall over the study period. Rapid land use changes were linked to the increase in the runoff in the Han River basin. The sensitivity of the evapotranspiration and ultimately the runoff to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was in the order of relative humidity > sunshine duration > wind speed > $T_{max}$ > $T_{min}$.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the variables analyzed herein, and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to the runoff trends.

인삼 생산량과 기상요인과의 관련성 분석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Ginseng Produc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 지경진;이윤숙;이종인
    • 농촌계획
    • /
    • 제27권2호
    • /
    • pp.69-76
    • /
    • 2021
  •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inseng production per area and meteorological factors. Four areas of major ginseng production are considered in the study. Chungcheongnam-do and Gyengsangbuk-do are selected as the original major production places and Gyeonggi-do and Kangwon-do are selected as the new major places. The meteorological factors applied for study are the average temperature, accumulated precipitation, and integrated sunshine hours. With the data collected across four areas, we used a panel data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Hausman test, the fixed effects model allowing to control individual area effect is preferable to the random effects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xed effects model, the accumulated precipitation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affect the decreases in ginseng production. Changes in the average temperature negatively affect ginseng production, but the valu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grated sunshine positively affect ginseng production, but the valu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쌀 수량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10% 증가한 2001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 비교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2001 Yield Increased by 10% than Normal Level in 2000)

  • 이점식;이정희;윤미라;곽지은;모영준;천아름;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92-300
    • /
    • 2013
  • 쌀 수량이 많은 연도에는 밥맛도 좋아 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본 연구는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년도의 식미 및 이화학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지난 20년간(1993~2012) 쌀 수량을 분석한 결과, 연차 간에 쌀 수량이 약 10% 차이가 나는 년도는 1993년과 1994년, 2009년과 2010년 등 총 6번 이었다. 그 중에서 일교차와 일조시간에 의해 평년수준의 쌀 수량은 2000년과 쌀 수량이 9.8% 증가한 2001년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년도 이었다. 기상조건은 2000년 대비 2001년은 등숙기 평균기온은 비슷하였으나, 일교차가 컸고, 일조시간이 많았다. 수량구성 요소는 2000년 대비 2001년이 주당 수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당 립 수가 많았고, 등숙비율 또한 높아 수량이 증가하였다. 쌀의 화학적 성분 함량은 2000년 대비 2001년에는 아밀로스함량은 증가하였으나, 단백질, Mg 및 K 함량은 감소하였다. 반면 Mg/K 당량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쌀 전분의 물리적 특성은 2000년 대비 2001년에 최고점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저점도 및 최종점도는 높았다. 관능평가와 기계적 식미측정값과 단순상관계수가 $0.82^{**}{\sim}0.89^{**}$(n=27~30), 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따라서 연차 간 밥맛의 차이를 기계적인 측정값으로 간접 평가한 결과 2000년 보다 2001년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해 볼 때, 일교차와 일사량에 의해 평년수준인 2000년 대비 쌀 수량이 약 10% 증가한 2001년도에는 밥맛도 좋았을 것으로 추론된다.

기후변화에 대한 강원지역 벼 재배의 적응 (Adaptation Study of Rice Cultivation in Gangwon Province to Climate Change)

  • 서영호;이안수;조병욱;강안석;정병찬;정영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3-151
    • /
    • 2010
  • 강원 지역에서의 최근 10년간(2000~2009)의 기상환경을 평년(1971~2000)과 비교하여 벼 재배의 기상환경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고품질 쌀의 안정 생산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평년에 비해 기온이 $0.5^{\circ}C$ 올라가고, 일교차는 $0.1^{\circ}C$ 줄었으며, 강수량은 122mm 많아졌고, 일조시수는 151시간 줄었다. 벼가 본답에서 주로 생육하는 6월부터 9월까지는 연중 기후 변화에 비해 강수량 증가(151mm)와 일조 시간 감소(86시간) 경향이 뚜렷하였는데, 원주 등 남부내륙권에서 가장 큰 폭의 변화를 보였다. 호흡소모계수는 평년에 비해 0.07 높아졌는데, 특히 생식생장기인 7월에 0.13으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는 고온에서 호흡이 증가하고 일조시간 부족으로 건물 생산량이 낮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고품질 벼생산을 위한 등숙 온도인 $20{\sim}22^{\circ}C$를 기준으로 산출한 알맞은 출수기는 평년에 비해 춘천, 홍천, 원주, 강릉은 늦어졌으나, 철원은 앞당겨졌다. 알맞은 출수기 후40일간의 일조시수는 평년에 비해 34시간 줄어 유백미와 사미가 많아질 염려가 있다. 최대 기후등숙량은 원주에서 가장 많이 줄어든 반면, 태백 등 고랭지에서는 등숙 온도 상승으로 높아졌다. 춘천, 철원, 강릉에서의 최근 11년간(1999~2009) 등숙 온도는 대체로 $22^{\circ}C$ 이상이었다. 향후 기후 전망에 의하면 출수기는 빨라지고 등숙 온도는 올라갈 수 있으므로, 중생종이나 중만생종을 재배하거나, 이앙 시기의 조절이나 직파 재배와 같은 재배 관리를 달리하여 출수기를 늦추면 쌀 수량과 품질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등숙 기간의 기온 상승과 일조량 감소, 강수량 증가 등의 변화된 기상 여건에 잘 적응하는 품종을 육성하거나 선발하여 보급 재배함으로써 고품질 쌀의 안정 생산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Analysis of Meteorological Variation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in Korea)

  • 심교문;이정택;윤성호;황규홍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5-102
    • /
    • 2000
  • 근래의 '춥지 않은 겨울'현상의 연속출현으로 가을 보리의 재배지역의 북상에 따른 재배면적 확대를 논의 할 만하다. 최근('74∼'98년)의 가을보리재배기간(10∼5월)의 기상변화를 살펴보고 '87년을 기준으로 '춥지 않은 겨울현상'을 보인 13년('87∼'99년) 그전 13년('74∼'86년)의 가을보리 재배기간의 기상을 평년('61∼'90년)기상과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근 25년 동안 가을보리재배기간의 평균기온은 1.02℃ 증가하였으며, 평균기온의 상승은 최저기온보다 최고기온의 상승이 더 크게 기여하였다. 2. 가을보리재배기간의 연도별 강수량은 최근 25년 동안 전국평균이 513.3 ㎜ 이었으며.'74년 이후 감소하다가 '92년 이후로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일조시간은 농촌지역만 조금 적어지는 경향이고 다른 지역들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춥지 않은 겨울' 현상을 보인 최근 13년의 가을보리재배기간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며 특히 1∼2월의 기온이 많이 상승하였다 반면에 '87년을 기준으로 그전 13년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춥지 않은 겨울'현상을 보인 최근 13년의 가을 보리재배기간의 강수량은 평년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4월의 강수량이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26㎜정도 적었다. 반면에 일조시간은 전반적으로 평년보다 적었다 그러나, '87년을 기준으로 그전 13년의 강수량과 일조시간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였다. 5.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선의 기준이 되는 월동기(1∼2월)의 기온상승으로 가을보리안전재배의 북상이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