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shine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8초

하늘상태와 음영기복도에 근거한 복잡지형의 일조시간 분포 상세화 (Downscaling of Sunshine Duration for a Complex Terrain Based on the Shaded Relief Image and the Sky Condition)

  • 김승호;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3-241
    • /
    • 2016
  •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넓은 지역의 수평면 일조시간 정보를 복잡한 산간집수역의 지형특성을 반영한 실제 일조시간 분포도로 변환하기 위해 지형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경남 하동군 악양면 단일 집수역을 대상으로 정밀 DEM을 이용하여 그림자모형화 및 공제선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일중 시간대별 음영기복도 1년 자료를 제작하였다. 2015년 5월 15일부터 2016년 5월 14일까지 1년 간 지형조건이 서로 다른 3지점에서 바이메탈식 일조계로 측정한 일조시간자료에 음영기복도 상 해당 지점의 휘도값을 추출하여 회귀시킴으로써 맑은 날의 휘도-일조시간 반응곡선을 얻었다. 이 곡선식을 하늘상태(운량)에 따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일조시간 상세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모형의 신뢰도를 기존 수평면 일조시간 추정기법과 비교한 결과 추정값의 편의가 크게 개선된 것은 물론, 일적산일조시간 기준 RMSE가 1.7시간으로 지형효과를 반영하기 전보다 37% 이상 개선되었다. 어떤 지역을 대상으로 일조시간을 상세화 하기 위해서는 먼저 대상 지역의 매 시간 음영기복도의 격자점 휘도를 모형에 입력시켜 해당 시간대의 청천 일조시간을 추정한다. 다음에 같은 시간대의 기상청 동네예보(하늘상태)에 의해 구름 효과를 보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매 시간 일조시간을 하루 단위로 적산하여 그 날의 누적 일조시간을 얻는다. 이 과정을 연구대상 집수역에 적용하여 수평 해상도 3m의 정밀한 일조시간 분포도를 얻을 수 있었다.

Effect of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and Commercial Red Sea Bream Feed (CF)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Sunshine Bass (M. saxatilis male X M. chrysops female) Reared at Various Salinity During the Winter Season

  • Cho Sung Hwoan;Lee Jong Kw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229-234
    • /
    • 2002
  • Possibility of raising sunshine bass during the winter season in Korea was investigated. Also, the effect of feed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sunshine bass was compared at the various salinity. Twenty sunshine bass $(Mean\;weight\;\pm S.D.\: :\;53.9 \pm 0.24 g)$ were stocked into the eighteen circular flow-through tanks. A 2 (feed) $\times$ 3 (salinity) factorial design with triplicate was used for this study. Feed was prepared into the 2 groups: the raw fish-based me>ist pellet (MP) containing $59.5\%$ crude protein and $9.4\%$ crude lipid, and commercial sinking red sea bream feed (CF) containing $49.9\%$ crude protein and $9.4\%$ crude lipid, respectively. And salinity was prepared into the 3 groups: freshwater $(0\%)$, brackishwater $(15\%)$, and seawater $(32\%)$. Fish were fed to satiation twice daily for 6 days a week. Fish were all survived at the end of the 8-week feeding trial. Weight gain (WG)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sunshine bass were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both feed and salinity. WG and SGR of sunshine bass fed the MP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F in the same salinity. Amount of dry feed fed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both feed and salinity. Feed consumption by sunshine bass fed on the M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by fish fed on the CF in the same salinity. Feed efficiency ratio (FER)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salinity, but not by fee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both feed and salinity. Moisture and protein content of the whole-body of fish was not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either feed or salinity. However,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whole-body of fish was significantly (P<0.05) affected by salinity, but not by feed. In conclusion, the MP was superior to CF for growth of sunshine bass during the winter season in Korea and no mortality occurred. And sunshine bass seemed to grow better in freshwater $(0\%)$ and brac-kishwater $(15\%)$ than seawater $(32\%)$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in terms of improvement in FER and PER in freshwater or brackishwater.

우리나라의 계절별(季節別) 일조시간(日照時間)과 기온(氣溫)의 상관관계(相關關係) 및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Relationships between Seasonal Duration of Sunshine and Air Temperature in Korea)

  • 이정택;윤성호;박무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5-162
    • /
    • 1995
  • 계절별로 일조시간과 기온과의 관계를 밝히고 작물재배시 기후자원 활용의 효율을 기하고자 지역별 월별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릉지방의 여름이 기온은 높으나 일조시간은 겨울보다도 적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2. 순복사량과 일조시간은 정의 상관이 있으며, 7월에는 일조시간 증가에 따라 순복사량의 증가가 컸다. 3. 일조시간 증가에 따른 현열전달량의 증가는 4월과 10월에 컸고, 7월이 가장 낮았다. 4. 연중(年中) 고온다조지역은 여수, 대구, 포항 등지이고, 저온과조지역은 춘천, 서올, 울릉도 등지이다. 5. 일조시간은 봄과 가을에는 기온교차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여름에는 최고기온과 그리고 겨울에는 최저기온과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1월의 일조시간이 평년대비 1시간 길어짐에 따라 평균기온은 평년에 비해 $1{\sim}1.7^{\circ}C$ 정도 낮아졌다.

  • PDF

3차원 GIS 모델을 활용한 공동 주택 단지의 일조율과 천공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중계동 아파트 62개 단지를 대상으로 -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le Duration of Sunshine & the Possible Amount of Visible Sky in Large-Scale Apartment Sites Using the 3D GIS Models - Focused on 62 Apartment Sites in Junggye-dong -)

  • 조용성;원제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05-114
    • /
    • 2011
  • There are various kinds of Large-Scale apartment sites in Seoul. There are more households in apartment sites than single family houses. Nowadays, it is easy to find a lot of apartment sites built in the style of a high rise building. On the matter of space, a building is influenced by the buildings near it. The influence a building has to another is different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Therefore, in the case of apartment sites, the environmental surroundings of each household is affected by the nearby buildings. For these reasons, the environment is having more and more influence on the price of each household in apartment sites. This paper has defined Sunshine and Sky as the major environmental elements. In order to be analyzed, they have to be measurable. Thus, there are two types of variables in environmental surrounding of apartment sites, -the Duration of Sunshine and the possible amount of visible Sky-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housing price.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le duration of sunshine and the possible amount of sky a household is visible to. It focused on 62 different apartment sites which were built after 1990. It is based on the 3-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Computer Aided Engineering for analyzing the sunshine simulation and the viewing simulation. This paper will be helpful for designing the apartment sites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sunshine and sky.

도시지역 유인관측소 일조 관측환경 평가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Observational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for Sunshine Duration at ASOSs Located in Urban Areas)

  • 김도용;김도형;김재진
    • 대기
    • /
    • 제23권3호
    • /
    • pp.275-282
    • /
    • 2013
  • In this study, the numerical model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observational environment of sunshine duration and, for evaluating the accuracy and utility of the model, it was verified against the observational data measured at Dae-gu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located in an urban area. Three-dimensional topography and building configuration as the surface input data of the model were constructed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First, the accuracy of the computing planetary positions suggested by Paul Schlyter was verified against the data provid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erical model predicted the Sun's position (the solar azimuth and altitude angles) quite precisely. Then, this model was applied to reproduce the sunshine duration at the Dae-gu ASOS. The observed and calculated sunshine durations we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the observed and calculated sunrise (sunset) times were delayed (curtailed), compared to those provided by KASI that considered just the ASOS's position information such as latitude, longitude, and elevation height but did not consider the building and topography information. Further investigation showed that this was caused by not only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 (higher in the east and lower in the west) but also the buildings located in the southeast near the sunrise and the southwest near the sunset. It was found that higher building resolution increased the accuracy of the model. It was concluded that, for the accurate evaluation of the sunshine duration, detailed building and topography information around the observing sites was required and the numeric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successful to predict and/or the sunshine duration of the ASOS located in an urban area.

GIS 자료를 활용한 도시 재개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분석 (A Study on the Sunshine Environment Around Urban Redevelopment Area Using a GIS Data)

  • 강정은;박수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49-7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층 건물 신축에 의한 주변 지역의 일조 환경 변화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 부경대학교 일대를 중심으로 지형과 건물을 구축하고, 고층 건물 건설 전과 후에 대해 계절별로 일조 모델을 수행하였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 전에도 대상 지역의 남동쪽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와 남쪽에 위치한 봉오리산의 영향을 받아 일조 차단 영역이 넓게 나타났다. 고층 건물 단지 건설에 의해 주변 지역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고, 일출과 일몰 시간대에는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일출 1시간 후의 경우에는 춘분(1.60%), 추분(1.58%), 하지(1.50%), 동지(1.36%) 순으로 일조 차단 면적이 증가하였다. 부경대학교 동쪽(남쪽)에 건설된 고층 건물 단지는 일출(일몰)시 서쪽(동쪽)으로 1,000 m(750 m) 이상의 지점까지 일조가 차단되었다. 특히, 부경대학교 내부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에 각각 46.61%, 22.75%, 58.56%, 11.31%의 일조 시간이 감소하였다. 부경대학교 기숙사 건물에 대해 겨울철 1주일 동안 일조 시간을 조사한 결과, 남쪽 고층 건물 단지 건설은 기숙사 건물 서쪽(남쪽) 벽면의 일조 면적을 30.91%(49.45%) 정도 감소시켰다.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IV. '하늘상태'를 이용한 일조시간 및 일 적산 일사량 상세화 (Improving the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V. Estimation of Daily Sunshine Duration and Solar Radiation Based on 'Sky Condition' Product)

  • 김수옥;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1-289
    • /
    • 2015
  • 일조시간 및 일사량은 작물생육에 중요한 기상요소이지만 기상청 동네예보 항목에 없기 때문에 3시간 간격 '하늘상태'를 활용하여 일조시간 및 수평면 일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기상청 동네예보의 3시간 간격 '하늘상태' 자료를 수집하고 전국 22개 일사관측 기상대의 동시간대 실측 운량과 비교하여 '하늘상태'의 4단계 격자값 '맑음(1)', '구름조금(2)', '구름많음(3)', '흐림(4)'을 0부터 10까지의 운량으로 변환하였다. 22개 일사관측 기상대의 일 평균운량 0인 날에 대하여 일조율을 비교하여 관측여건이 가장 좋은 3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점의 3년치 운량과 일조시간 실측자료로부터 운량-일조시간 추정식을 도출하였으며, 이 식에 의해 추정된 일조시간값으로 Angstrom-Prescott 모형을 구동하여 수평면 일사량을 산출하였다. '하늘상태' 기반으로 추정된 일조시간 및 일사량을 3 지점에서 2년간 실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RMSE 기준 일조시간 추정오차는 1.5~1.7 시간, 일사량 추정오차는 $2.5{\sim}3.0MJ\;m^{-2}\;day^{-1}$ 이었다.

"태소(太素) . 경맥병해(經脈病解)"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 in "Tai Su(太素)".)

  • 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1-169
    • /
    • 2007
  • The "Tai Su(太素)" which was published by Yang Shang Shan(楊上善) during the Tang(唐) dynasty does not follow complicating hand down procedures allowing it to be preserved in a relatively satisfactory state, and the book is evaluated as a major article in the study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in the modern age.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offer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disease symptoms foun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and Yang Shang Shan(楊上善) provided relatively complete expla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ane and wax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陰陽消長). The present writing was projected to acknowled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oks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and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and substantiall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of the "Tai Su(太素)" by adopting the perspectives of Yang Shang Shan(楊上善) in explaining the disease symptoms as he attempte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Total 50 disease symptoms were explained in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and 33 of them are common to the symptoms described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by taking up about 66% of the book. The monthly attachment(月別配屬) of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三陰三陽), which is described in the book of "Tai Su explanation of channel diseases(太素 經脈病解)" provides an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exterior and interior(表裏) relationship, and the crucial perspective lies on the mutual intensity change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 Therefore, the monthly attachment of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provided by the present article help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along with the time attachment(時間配屬) described in the other chapter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黃帝內經)". In the method of explaining pathogenesis, the explanation was made by understanding the perspective of mutual intensity change of shadow and sunshine powers, and exterior and interior relationship along with the channel Path(經脈流注) have been used simultaneously. In the comment of the main article, Yang Shang Shan(楊上善) stated the channels of hands and feet(手足經脈) as the scope of the three shadow and three sunshine power, but the symptoms and signs are mainly focused on the channels of feet as in the book of "Miraculous Pivot channels(靈樞 經脈)".

  • PDF

증발량 관련 기후인자와 팬증발량의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Pan Evaporation and Climate Values Related to Actual Evaporation)

  • 정대일;강재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2호
    • /
    • pp.117-129
    • /
    • 2009
  • 전지구적 기온상승으로 인해 증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으나, 다양한 지역에서 관측된 팬증발량은 지난 수십 년간 뚜렷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부터 2007년까지 관측된 국내 18개 기상관측소의 팬증발량과, 증발에 관련된 강수량, 온도,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팬증발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강수량과 온도는 증가추세를,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은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특히, 일조시간과 일조율의 감소추세는 팬증발량과 지역적으로 상당히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점도를 그려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일조시간과 일조율은 팬증발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강수량의 경우는 팬증발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강릉관측소 사례연구에서 Penman공식에 의해 추정된 개방된 수면에서의 증발량은 팬증발량에서 보인 것 같은 뚜렷한 하향추세가 검증되지 않아, 기존에 팬증발량 관측값으로부터 증발량을 추정하는 것은 장기적인 증발량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팬증발량이 실제증발량과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갖기 때문에, 팬증발량이 감소하더라도 실제증발량은 증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한국의 농업기후지대별 이상일조 출현 특성 평가 (Agro-climatic Z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of Abnormal Duration of Sunshine in South Korea)

  • 심교문;김용석;정명표;최인태;민성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3-91
    • /
    • 2014
  • 1973년부터 2010년까지의 38년 동안의 순별 누적 일조시간을 평년값과 비교하여 표준편차법으로 이상다조와 이상과조의 출현횟수를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과거 38년 동안 이상일조의 출현횟수는 연 평균 1.24회(이상다조 0.55회, 이상과조 0.69회)로 조사되었다. 연도별로는 2001년에 이상다조의 출현횟수가 2.37회로 가장 많았고, 이상과조의 출현횟수는 2010년에 1.95회로 가장 많았다. 연대별 이상다조의 연간 출현횟수는 1970년대의 1.26회에서 2000년대의 0.47회로 크게 감소한 반면에, 이상과조의 연간 출현횟수는 1980년대의 0.39회에서 2000년대의 0.98회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농업기후지대로 구분하여 분석하면, 과거 38년 동안 이상다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많았던 농업기후지대는 중부내륙지대로서 연 평균 1.35회이었고, 이상다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적었던 농업기후지대는 영남내륙산간지대로 0.21회였다. 반면에 과거 38년 동안 이상과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많았던 농업기후지대는 동해안남부지대로 연 평균 0.97회이었고, 이상과조의 출현횟수가 가장 적었던 농업기후지대는 소배산간지대(충주, 보은 등)로 연 평균 0.48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