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n-dry

검색결과 956건 처리시간 0.034초

근권세균과 옥수수를 이용한 유류 및 중금속 복합 오염토양의 Rhizoremediation (Rhizoremediation of Petroleum and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using Rhizobacteria and Zea mays)

  • 홍선화;구소연;김성현;류희욱;이인숙;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9-3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류 분해능이 있고 식물 성장 촉진능력을 가진 Gordonia sp. S2RP-17, 중금속에 내성을 가지며 식물 성장촉진 능력이 있는 Serratia sp. SY5 및 옥수수를 이용하여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양의 정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류 및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51일간 재배한 옥수수의 평균 뿌리 건중량은 $1.9{\pm}0.2\;g$이었으나, 근권세균을 접종한 오염 토양에서 재배한 옥수수의 뿌리 건중량은 $5.6{\pm}0.7\;g$로, 근권세균 접종에 의해 옥수수의 뿌리의 중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1). 초기에는 토양의 TPH 농도는 $21,576{\pm}3,426\;mg-TPH{\cdot}kg-dry\;soil^{-1}$이었는데, 51일 후 옥수수만을 식재한 토양의 잔류 TPH 농도는 $220{\pm}98\;mg-TPH{\cdot}kg-dry\;soil^{-1}$이었고, 옥수수와 함께 근권세균을 접종한 토양의 잔류 TPH 농도는 $20{\pm}41\;mg-TPH{\cdot}kg-dry\;soil^{-1}$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옥수수 식재에 의해 대부분의 TPH를 제거할 수 있으며, 옥수수와 함께 근권세균을 접종하면 TPH 효율이 조금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중금속 제거효율에 미치는 근권세균 접종 효과는 거의 없었다.

자갈 섞인 모래의 건조밀도 계산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termination of Dry Density of Sand Mixed with Gravels)

  • 박성식;최선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7호
    • /
    • pp.37-46
    • /
    • 2013
  • 실제 토목현장에 사용되는 토사에는 크고 작은 자갈이 포함된 경우가 많으며, 특히 도로 노반공사, 흙댐, 옹벽 뒤채움재 등에 사용되는 양질의 토사에도 소량의 자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소량의 자갈이지만 자갈의 함유량이나 크기에 따라 흙의 건조밀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건조밀도를 이용한 다짐도 평가를 부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모래에 크기가 다른 세 종류(2.0-2.36, 3.35-4.75, 5.6-10.0mm)의 자갈을 이용하여 자갈 함유량을 0, 10, 17, 23, 29, 33%로 달리하면서 다짐몰드 내에 다짐하거나 느슨하게 공시체를 제작한 다음 자갈섞인 공시체의 건조밀도 변화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자갈 함유량이 33%까지 증가함에 따라 최대건조밀도(또는 건조밀도)는 자갈의 크기에 따라 다짐된 공시체의 경우 15-20%, 느슨한 공시체의 경우 20-23%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갈 함유량과 크기가 동일한 경우 느슨한 공시체보다 다짐한 공시체의 건조밀도가 $0.1-0.16g/cm^3$ 정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갈 함유량은 동일하지만 작은 자갈(2.0-2.36mm)을 사용한 경우보다 큰 자갈(5.6-10.0mm)을 사용한 경우의 건조밀도가 다짐한 공시체의 경우는 $0.04-0.08g/cm^3$, 느슨한 공시체의 경우는 $0.03-0.05g/cm^3$ 정도 증가하였다.

광양만 주변해역의 표층퇴적물 중 Bisphenol A의 오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lution of Bisphenol A in Surface Sediment around Gwangyang Bay)

  • 조현서;김용옥;신태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04-110
    • /
    • 2004
  • 본 연구는 광양만과 여수해만에서 표층 퇴적물 중 비스페놀 A(BPA)의 오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999년 10월, 2000년 2월, 5월 그리고 2000년 8월에 15개 정점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 중 BPA는 0.46∼24.59 ng/g dry wt.의 변동범위를 보였다. BPA의 계절별 평균 농도는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평균 농도의 변동범위는 2.53 ng/g dry wt. 이하를 보였다. BPA의 수평분포는 계절별로 농도 값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여수해만에 비하여 광양만 퇴적물에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였다. 또한 산업폐수와 도시하수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하천 퇴적물의 조사결과 BPA는 연등천에서 농도가 높았다. TOC의 계절별 변동범위는 전계절에 걸쳐 0.09∼l.65%로 나타났으며, 섬진강 하구에서 0.09%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BPA와 TOC의 상관계수는 0.095로 상관관계가 거의 없었다.

  • PDF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 하부를 활용한 조사료 생육 연구 (Study on Forage Production under Agrivoltaic System)

  • 남철환;박만호;윤안아;지희정;최보람;선상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는 전남 강진군에 위치한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축산연구소 시험포장에서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의 하부에서 재배되는 동계 및 하계 사료작물의 생육 분석을 위해 2년간 수행하였다. 동계작물은 IRG와 청보리, 하계작물은 옥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통적으로 동계 사료작물의 입모율과 월동 전·후 초장이 태양전지모듈 하부 조건에서 높았고, 출수기는 하루 이상 늦었으며, 도복은 더 발생되었다. 또한 조단백질 값이 노지 재배 작물보다 높았고, 건물 수량은 2018년의 경우 IRG는 ha당 16,915kg으로 노지의 16,750kg보다 조금 많았으며, 청보리는 반대로 조금 적었다. 2019년에는 IRG가 ha당 12,062kg로 노지보다 5.4% 적었고, 청보리는 12,195kg로 노지보다 11.5% 적었다. 하계 사료작물은 태양전지모듈 하부 조건에서 출수기가 노지보다 하루 이상 늦었고, 초장은 같거나 작았으며, 도복이 더 발생되었다. 2019년 옥수수의 건물 수량은 ha당 13,133kg으로 노지 조건보다 17%가 적었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건물 수량이 12,450kg으로 노지의 82.5% 수준이었다. 2020년 옥수수의 건물 수량은 태양전지모듈 하부 조건에서 8,033kg으로 노지보다 7.9% 적었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은 ha당 5,651kg으로 노지보다 11.4% 적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태양전지모듈 시설물 아래의 차광된 조건에서 작물을 재배하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하계작물이 동계작물보다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수량 감소율은 최대 18%를 넘지 않아 사료작물인 IRG, 청보리, 옥수수,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모두 태양광 발전과 병행하여 재배할 수 있는 작목으로 사료되나, IRG와 옥수수가 수량적으로 더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작물의 차광 영향뿐만 아니라 수확 작업 시 태양광 시설물 점유 면적에 의한 수량 감소도 고려해야 한다.

Effects of Feeding a Dry or Fermented Restaurant Food Residue Mixture on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of Rats

  • Kim, Young-Il;Bae, Ji-Sun;Jee, Kyung-Su;McCaskey, Tom;Kwak, Wan-Su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744-1751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feeding dry or fermented (aerobically or anaerobically with or without lactic acid bacteria) restaurant food residue mixture-containing diets on animal performance and blood profiles. Rats were used as the model animal for the simulation of laboratory rodents, rabbit or horse feeding and fed for 4 wk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feeding a dry diet (control) with the same ingredient composition as diets processed by aerobic and anaerobic methods. Feeding all the fermented diets tended to increase (p>0.05) average daily gain of rats resulting in improved (p<0.01) feed efficiency. Apparent digestibility of NDF was increased (p<0.05) by feeding the fermented diets, although digestibilities of DM, OM, CP, and NFC were not affected (p>0.05). Compared with the aerobically fermented diet, digestibility of ADF was increased (p<0.05) for the anaerobically fermented diet and for the 0.5% LAB culture plus anaerobically fermented diet. The digestibility of crude ash tended to increase (p>0.05) with feeding of the fermented diets. Feeding either of the fermented diets had little effects on serum nutrients, electrolytes, enzymes and blood cell profiles of rats except sodium and uric acid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feeding a dry food residue-containing diet, feeding aerobically or anaerobically fermented diets showed better animal performance as indicated by higher feed efficiency and rat growth rate. These improvements were attributed to the desirable dietary protein conservation during the food residue fermentation process and to higher total tract digestibilities of NDF and crude ash in the fermented food residue diets.

Rocket salad(Eruca sativa) 중 glucosinolate 동정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glucosinolates in rocket salad (Eruca sativa))

  • 김초록;임영실;이상원;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85-294
    • /
    • 2011
  • Glucosinolate (GSL) contents were investigated (i) at 1~7 days after sowing (DAS) in seed sprouts and (ii) at 3-7 weeks after sowing for the time-course. Moreover, (iii) They were compared with five different cultivars of rocket salad (Eruca sativa). Seventeen GSLs were separated by HPLC analysis, and 10 GSLs among them were identified as glucoraphanin, sinigrin, glucoalyssin, diglucothiobeinin, glucobrassicanapin, glucoerucin, glucobrassicin, dimeric, 4-mercaptobutyl GSL, 4-methoxy glucobrassicin, gluconasturttin by using LC-APCI-MS analysis, but 7 compounds were not identified. (i) The total GSL content in seed sprouts initially increased up to 3 DAS and then decreased according to their seedling growth. In particular, glucoraphanin known as a strong anti-cancer reagent was found the highest level (5.05 ${\mu}mol/g$ dry wt.) at 3 DAS. The most abundant GSL was glucoerucin ranged from 26.0~49.6 ${\mu}mol/g$ dry wt. (ii) In the time-course, the total GSL content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3-week (5.91 ${\mu}mol/g$ dry wt.) to 7-week after sowing (32.2 ${\mu}mol/g$ dry wt.). The major GSLs were glucoraphanin, glucoerucin and 4-methoxy glucobrassicin. (iii) By comparing GSL contents with five different cultivars, the total GSL contents increased from 4-week to 6-week after sowing, regardless of cultivar. In 4-week-old, the order with the total GSL content was "Rucola" > "Rocket Herbs" ${\geqq}$ "Odyssey" > "Takii" > "Herb", but in 6-week-old it is changed as "Takii" > "Herb" > "Odyssey" > "Rucola" > "Rocket Herbs" even there was almost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m.

호기성매립지에서 드라이포그 주입에 의한 폐기물분해 촉진에 관한 연구 (Effect of Dry Fog Injection on Waste Decomposition in an Aerobic Landfill)

  • 박진규;이병선;윤석표;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2호
    • /
    • pp.43-5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호기성 매립지에서 함수율 및 수분주입 방법이 폐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초기 함수율(20%, 30%, 40% 및 50%)이 매립 폐기물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호흡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누적 산소소모량과 산소 소모율은 초기 함수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기 함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둘째, 매립지 내부 수분주입 방법으로서 드라이포그 시스템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모의매립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수분의 수직 주입방법과 비교하여 드라이포그 시스템이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를 촉진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드라이포그 시스템은 수직 주입방식보다 매립지 내부에서 더욱 균일한 수분 분포를 나타내었다.

중년 여성의 식사섭취 상태와 갱년기 증상 관련 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the Dietary Factors Related to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 김순경;선우재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intakes in middle-aged women(pre and postmenopausal) and relation to climacteric symptoms. We conducted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climacteric symptoms survey, and dietary intake to assess the nutrient intakes. Also, dietary quality indices were evaluated. The subjects, over 40 years old, were 168 middle aged women(pre=74, postmenopausal=94), mean age was $48.9{\pm}3.6yr$.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howed that 59% of subjects were overweight and obese. Climacteric symptoms that were answered 'yes' in 50% plus in the subjects, were dry eyes, forgetfulness, difficult concentration, large joint pain(shoulder), fatique, backache, dry skin, joint pain(ankle and knee), dry mouth, dizziness, depression and lonesomeness, snore, morning stiffness, and hot flash. Some sympto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menopausal groups. The average energy intake was 1602.1 Kcal, which was 82% of the Korean EER. The subjects had lower vitamin A, riboflavin, folic acid, Fe, Zn and Ca intake than Korean RI. The lowest nutrient intake was Ca. The mean of food intake was 1294.2 g and MAR of diet quality indices was 0.83. In relation to dietary factors with climacteric symptoms, significant correlations have been found between total protein, animal protein, lipid, cholesterol and niacin intake and 'fatique', energy, carbohydrate, thiamin, vitamin B6, folic acid, vitamin C, Na, K and Fe intake and 'dry skin', Ca intake and 'difficult concentrat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factors(food and nutrients intake, INQ, NAR, MAR) may effect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some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 aged women.

가속 드라이아이스 snow impact에 의한 도막 제거속도의 측정 (Measurement of Coating Removal Rate of Accelerated Dry Ice Snow Impact)

  • 나영민;김호태;김선근
    • 청정기술
    • /
    • 제10권4호
    • /
    • pp.177-187
    • /
    • 2004
  • 드라이아이스 스노우 젯(dry ice snow jet)을 액체 이산화탄소의 고압팽창에 의해 만들고 운반기체에 의해 더욱 가속시킬 수 있었다. 코팅의 제거기구는 표면 오염입자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코팅의 제거를 Hutchings 식으로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들 식에 의한 plot에서 얻은 두개의 매개변수로 코팅의 제거 속도와 단위 이산화탄소의 질량에 의해 제거된 비 코팅면적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실험데이터의 신뢰도와 실험 에러의 보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노즐 기판 거리와 노즐길이를 바꾸었을 때 얻어진 이들 plot이 한점에서 만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점이 jet plume을 모음에서 얻어진 scar 반경의 증대효과와 jet를 확산시킴에서 얻어진 scar 반경 증대효과가 균형을 맞추는 데서 얻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Soil Textures on the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Yield of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n Upland Soil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u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 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7-367
    • /
    • 2017
  • Crimson clover, a legume crop, is a landscape crop and green manure crop that can be sowing in spring and autumn. Its red flower blooms in May, and serves various roles such as landscape composition, weeds suppressing, prevention of soil loss and nutrient on sloping land and supplying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Thus, in order to utilize this crop in agriculture land, we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rimson clover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soil textures, sand,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The nitrogen content of crimson clover was 15.8 g kg-1 and C/N rate was 20.3. Its growth was good in sandy loam and loam. Its plant height was 42.5 cm in sandy loam and 49.5 cm in loamy, respectively, which are approximately 20 cm longer than the sand and clay loam. The crimson clover in sandy loam and loam bloomed about seven days earlier than those in sand and clay loam. Regarding number of flower per hill and flower length,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soil textures.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2.5 Mg ha-1, 2.3 Mg ha-1 each in sandy loam and loam. Therefore, it was approximately 0.8 ~ 1.1 Mg ha-1 higher than dry weight of sand and sandy loam.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crimson clover was increased late harvest time. Nitrogen contribution were higher in loam and clay loam, when it was respectively 51.3 kg ha-1, 53.5 kg ha-1. Therefore, according to flowering properties and dry weigh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imson clover was finest in sandy loam and lo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