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dioxide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28초

유통 한약재의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함량 분석 (The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and Sulfur Dioxide in Commercial Medicinal Plants)

  • 김태희;장설;이아름;이아영;최고야;김호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3-48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in Korea. Methods : Chromatographic test was performed on 100 samples consisted with 10 kinds of medicinal plants including improted and domestic products. To establish 19 pesticide residues (DDE, DDD, DDT, Dieldrin, Methoxychlor, BHC isomers, Aldrin, Endosulfan isomers, Endrin, Captan,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Imidacloprid)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 chromatographic equipments were used with the gas chromatography-mass detector and gas chromatography-electron capture detector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imidacloprid analysis was perform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gy-ultraviolet detector at 270 nm UV wavelength. The contents of sulfur dioxides were analyzed by modified Monnier-Williams method. All methods were based on notification procedure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Results : The residual pesticides were not founded in improted and domestic samples. Among 100 samples, the residues of sulfur dioxide in 73 samples were not detected and 25 samples showed contents in the range of 0~21.90 mg/kg. The excess samples of MRLs were 2 samples (30 mg/kg to medicinal herbs), Asiasari Radix et Rhizoma (Imported product) and the average amount of sulfur dioxide in 2 unsuitable samples were 14.83 mg/kg. These samples were found to transgress KFDA regulatory guidance of residual sulfur dioxide. Conclusion : These results are able to use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value of commercial medicinal herbs.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한 농작물(農作物)의 피해생리(被害生理) 감수율(減收率) 및 피해경감(被害輕減)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Sulfur Dioxide on Crops - Physiology of Lesion, Yield Loss, and Preventive Measures)

  • 한기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3호
    • /
    • pp.146-165
    • /
    • 1973
  • 대기오염물질중(大氣汚染物質中) 가장 중요(重要)한 아황산(亞黃酸)가스가 농작물(農作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자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작물(作物)에 미치는 피해생리(被害生理)와 동(同)가스의 농도별(濃度別) 및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농작물수량(農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이들 피해(被害)로 부터 작물(作物)을 보호(保護)하기 위(爲)한 방법(方法)을 모색(摸索)하기 위(爲)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피해(被害) 생리(生理) 가. 아항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는 작물(作物)(배추)조직(組織)의 pH및 Eh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나. 작물(作物)(배추)중(中) peroxidase 의 활성(活性)은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로 저하(低下)되었으나 경시적(徑時的)으로 회복(回復)되어처리(處理) 10시간(10時間) 후(後)에는 무처리(無處理)와 대등(對等)하였다. 다. 용액중(溶液中)의 엽록소(葉綠素)는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하여 순간적(瞬間的)으로 또 불가역적(不可逆的)으로 퇴색(褪色)된다. 그러나 pheophytin의 생성(生成)은 관찰(觀察)되지 않았으며 엽록소(葉綠素)의 퇴색(褪色) 생성물(生成物)은 아황산(亞黃酸)가스의 부가화합물(附加化合物) 또는 그 환원(還元) 생성물(生成物)인 것같다. 라. 엽록체중(葉綠體中)의 엽록소(葉綠素)도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하여 용액중(溶液中)의 엽록소(葉綠素)와 같은 현상(現像)으로 퇴색(褪色)되었으나 다만 그 속도(速度)가 완만(緩慢)하여 $1{\sim}2$시간(時間)이 소요(所要)되었다. 마. 아황산(亞黃酸)가스의 식물(植物)에 대(對)한 가장 큰 가해작용(加害作用)의 하나는 엽록소(葉綠素)의 파괴(破壞)인것 같다. 2. 농작물(農作物)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가. 아황산(亞黃酸)가스 처리(處理) 농도(濃度)에 비례(比例)하여 증가(增加)함을 확인(確認)하였다. 나. 아황산(亞黃酸)가스가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작물수량(作物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개화기(開花期)에 가장 심(甚)하였으며 다음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 신장기(伸長期), 유숙기(乳熟期),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의 순위(順位)였다. 다. 아황산(亞黃酸)가스에 대(對)한 작물별(作物別) 저항성(抵抗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다소(多少) 상이(相異)하나 일반적(一般的)으로 소맥(小麥)이 가장 강(强)하였으며 다음이 수도(水稻), 대맥(大麥), 파, 무, 배추의 순위(順位)로 십자화작물(十字花作物)은 화본(禾本) 과작물(科作物) 및 두과작물(豆科作物)보다 감수성(感受性)이 컸다. 3. 피해(被害) 경감(輕減) 효과 가. 아황산(亞黃酸)가스에 의(依)한 작물피해(作物被害)는 가리(加里), 규회석(珪灰石), 및 석회시용(石灰施用), 그리고 석회유(石灰乳)의 엽면(葉面) 살포(撒布)로 수도(水稻), 대맥(大麥), 대두(大豆)에 그 효과(?果)가 인정(認定)되었다. 나. 석회유(石灰乳)의 살포(撒布)는 가장 우수(優秀)한 피해경감효과를 보였다. 다. 수도(水稻)에 대(對)한 석회유(石灰乳)의 살포(撒布)는 탄소동화작용(炭素同化作用)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다.

  • PDF

Comparison of the Sulfur Dioxide Primary Standard Gases of NPL and KRISS

  • 오상협;김병문;문동민;김진석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12호
    • /
    • pp.1341-1344
    • /
    • 2001
  • Comparison of sulfur dioxide primary standard gases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RISS, Korea) and the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NPL, UK) was performed. 100 ${\times}$10-6 mol/mol and 1,000 ${\times}$10-6 mol /mol primary standard gases (designated NPL S115 and S114, respectively) prepared gravimetrically and validated in NPL were used as transfer standards. Transfer standards were analyzed by NDIR sulfur dioxide analyzer and compared with KRISS PSM 112-03-624 and PSM 112-03-625 prepared gravimetrically. Adsorption corrected relative deviations of the primary standard gases were agreed to within 0.1%, and this agreement is within the expanded uncertainties (k = 2) of the primary standards at the two laboratories.

강우분석과 모델링에 의한 원주시 대기오염물질($SO_2$) 이동과 침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ransportation and Wet Deposition of Air Pollutant($SO_2$) by Modeling and Precipitation Analysis in Wonju City)

  • 권영식;송동웅;강경호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98-106
    • /
    • 1996
  • 대기확산 모델 TCM(Texas Climatological Model)을 이용하여 $SO_2$ 오염도를 예측하였으며 강우분석에 의한 $SO_2$의 침적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원주시의 월별 $SO_2$ 실측치와 모델예측치의 상관계수는 높은 편이었으며 $SO_2$는 강우에 의해 세척되어 제거되는데, $SO_2$ 총배출량에 대한 제거율이 여름철이 가을, 겨울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여름철에 강우량이 많기 때문이 고 강우량과 제거율과의 상관계수는 0.68로 나타났다. 강우량이 많은 달은 $SO_2$ 실측치가 모델예측치보다 상당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시설내 아황산가스에 의한 난의 피해 증상 (Injury Symptoms of Orchids by Sulfur dioxide Gases in Greenhouse)

  • 이영란;최성렬;권오근;허은주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237-241
    • /
    • 2009
  • 본 연구는 난과 식물의 아황산가스 피해증상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 팔레놉시스, 심비디움, 온시디움을 이용하여 밀폐된 챔버에서 수행하였다. 가스처리는 아황산가스 농도를 0, 5, 10, 25, 50 ppm으로 하였고, 노출시간은 18시간, 온도 $25{\pm}5$, 습도 $50{\pm}5%$로 하였다. SPAD를 이용하여 가스처리 전후의 엽록소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피해엽율과 이온유출량을 조사하였다. 팔레놉시스의 경우 10ppm에서 피해엽율이 23.3%로 나타났고 심비디움, 온시디움의 경우 25ppm에서 각각 4.0, 4.4%의 피해가 나타나서 저항성이 강하다고 판단되었다. 주요증상은 초기에 잎의 뒷면이 수침상으로 나타났다가 급격히 잎이 황색으로 변하거나 탈색된다. 이온유출량은 아황산가스 농도가 높을수록 심하게 나타났고, 엽록소 함량은 아황산가스 농도가 높을수록 낮아졌다.

Monitoring of the Sorbic Acid, Benzoic Acid and Sulfur Dioxide for Commonly Consumed Beverages, Snacks and Instant Ramens in Korea

  • Han, Xionggao;Choi, Sun-Il;Choi, Seung-Hyun;Cho, Bong-Yeon;Sim, Wan-Sup;Jang, Gill-Woong;Kwon, Hee-Yeon;Choi, Ye-Eun;Kim, Dan-Bi;Lee, Ok-Hwa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9-384
    • /
    • 2019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rbic acid, benzoic acid and sulfur dioxide in commonly consumed beverages, snacks and instant ramens in Korea. A total of 150 food samples including 50 beverages, 50 snacks and 50 instant ramens were examined using the Korea Food Code method. Sorbic and benzoic acid were analyzed by the HPLC method, whereas sulfur dioxide was measured by Monnier-Williams method. Our results indicated that benzoic acid was detected in six beverages samples, and its concentration was in the range of 3.08-11.94 mg/kg. The contents of both sorbic and benzoic acid in 50 beverage samples did not exceed the residue allowance standards set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Sulfur dioxide was detected in 12 beverages samples, but its content was lower than the detection limit specified in the method by the Korea Food Code. On the other hand, sorbic acid was not detected all samples. These results provide a basic data regarding sorbic acid, benzoic acid and sulfur dioxide in commonly consumed beverages, snacks and instant ramens in Korea.

공단지역의 대기 아황산가스 등농도곡선에 의한 콩의 수량에 미치는 아황산가스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Sulfur Dioxide Gas on the Yield of Soybean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Using the Isoquant Contour Lines of Sulfur Dioxide)

  • 소창호;권용웅;한영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3-289
    • /
    • 1993
  •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대기 중 아황산가스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공업단지 주변에서 아황산가스의 농도 측정, 밭토양의 특성조사 및 콩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콩의 생육기간중의 아황산가스의 등 농도곡선을 작성하고 이를 이용한 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아황산가스의 영향과 토양 pH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의 콩의 주요 생육기간인 7월중순부터 9월중순까지의 아황산가스의 평균농도는 77mg /100$cm^2$ PbO$_2$/day였다. 2. 콩의 수량감소율은 5~30% 정도였으며, 7월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의 아황산가스농도와 수량과는 유의 한 부의 상관관계 (r=-0.846**)를 보였다. 7월 16일부터 8월 9일까지의 아황산가스의 농도와 주당 협수 및 100립 중, 8월 9일부터 9월 17일까지의 아황산가스의 농도와 100립중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조사지역의 토양 pH는 4.2~6.5였으며, 토양의 pH와 수량과는 正의 상관관계(r=0.813**)를 보였으며, 석회시용으로 토양 pH가 교정된 곳에서는 아황산가스에 의한 수량감소가 적었다. 4. 콩의 수량 형성에 미치는$SO_2$의 영향은 만성적, 누적 적으로 나타났고, 아황산가스의 등농도 곡선으로 콩의 수량감소 예측이 가능하였다.

  • PDF

우리나라 산림지역에서의 이산화황 농도의 시.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Ambient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in Forest Areas, Korea)

  • 이승우;이충화;지동훈;윤희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35-1039
    • /
    • 2010
  • 전국 65개 산림지역 조사지를 대상으로 장기확산형 패시브샘플러를 이용하여 1993년에서 2008년까지 월별 이산화황 ($SO_2$) 농도를 측정하고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산림지역에서의 이산화황 농도의 시간적 및 공간적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다. 산림 내 이산화황 ($SO_2$)의 연평균 농도는 관측 시작년도부터 점차 낮아지다가 1997년 이후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이는 환경부의 도시지역의 연도별 농도 변화와도 같은 경향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전체 산림지역 조사지의 연평균 이산화황 농도는 5.6 ppb로 환경부의 도시지역 평균치 (10.1 ppb)와 EC (1999)의 생태적 위해 기준치 (7.6 ppb)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계절별로는 산림지역과 도시지역 모두에서 난방 연료 사용량이 많은 겨울과 봄에 농도가 높았으며 강우와 고온의 영향이 큰 여름에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경북과 경기지역에서 이산화황 연평균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황산화물 배출량과 이산화황 농도 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성이 나타남에 따라 황산화물 배출원의 규모와 근접성이 대기 중 이산화황의 농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임을 반영하였다.

생약제제 중 이산화황 잔류실태 시중 유통 생약제제 중 이산화황의 잔류실태 조사 (Analysis of Sulfur Dioxide Residue in Commercial Medicine Prepared from Crude Drugs)

  • 이춘영;이정숙;이현경;박원희;김정곤;정애희
    • 약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5-59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the medicine prepared from crue drugs. Total 29 pills that contains salvia miltiorrhiza root, anemarrhena rhizome, fritillaria bulb, glehnia root, asparagus tuber, lycium fruit, moutan root bark, cimicifuga rhizome, pinellia tuber, dipsaci radix, codonopsis pilosula root, liriope tuber, achyranthes root, prepared aconite, aurantii fructus immaturus, corydalis tuber, dioscorea rhizome were examined by the modified Monier_Willams method. Sulfur dioxide were detectd in all the tested samples, and were found over MRLs (30 mg/ kg to medicinal herbs) in 8 samples (27.6%). Especilly, "i2" pills contains 132.46 mg/kg sulfur dioxide that is 4 times over than MRLs.

都市大氣中 黃酸鹽과 窒酸鹽 關한 硏究 (A Study of Size Distribution of Sulfate and Nitrate in Urban Air)

  • 신상은;김승학;김희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39
    • /
    • 1986
  • Particulate matter was collected by Andersen Air Sampler in the Seoul area during February-October, 1985, in order to investigate size distribution of sulfate and nitrate in aerosol, and conversion of sulfur dioxide to sulfate and that of nitrogen dioxide to nitrate. The size distribution of sulfate and nitrate had fine mode. The ratio of fine sulfate to total sulfate in aerosol and that of fine nitrate to total nitrate showed between 54.6% and 86%, and 55.7% and 95%, respectively, which presumably originated from gaseous reaction of sulfur dioxide and nitrogen dioxide in the atmosphe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