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ulen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초

빨간 함초의 지질 과산화 및 라디칼 형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 김동필;정영희;이미경;송희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0-157
    • /
    • 2007
  • Hamcho(Salicorinia herbacea, glasswort), a halophyte, is an annual succulent shrub that grows on coastal wetlands and has been regarded as a functional food for good health. Natural dried red and green Hamcho were extracted with 25% ethanol and water at 70$^{\circ}C$.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four extracts were examined by six different assays,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total phenolics, radical scavenging effect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nitric oxide(NO) and nitrite(NO$_2$) scavenging effects, reducing power,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four extracts were high at 237 ${\sim}$ 255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1 g of dried sample tested. The green Hamcho extracts contained more phenolic compounds than the red Hamcho extracts. When they were compared to tocophero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green and red Hamcho powd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ame concentration levels(5 mg and 3 mg, respectively) in a POV test. The inhibition effects of the four extracts at a level of 75 ${\mu}l$ were higher than 98% in the POV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DPPH radical scavenging(SC$_{50}$, 90.1 ${\mu}l$). The green Hamcho 25% ethanol extract, however, showed a high significant effect on NO radical scavenging(SC$_{50}$, 6.1 ${\mu}l$). The NO$_2$ radical scavenging effect was assayed at pH 1.2, 4.2 and 6.0, and all the Hamcho extracts scavenged the NO$_2$ radical much more effectively at pH 1.2. The NO$_2$ scavenging effect of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64%) was as high as that of 5 mM vitamin C at pH 1.2(p<0.05). In the reducing power test, the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 revealed the highest ferric ion reducing activity among the Hamcho extracts, and its activity was as high as that of 0.33 mg/ml of vitamin C. The four Hamcho extracts showed high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more than 80%, and thei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50${\mu}$g of kojic acid. The green and red Hamcho 25% ethanol extracts total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100%).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red Hamcho extracts may serve as useful natural antioxidants along with green Hamcho extracts.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에서 삽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of Sedum sarmentosum as Affected by Planting Density in Cultivation System Using a Rice Nursery Tray)

  • 김효진;이승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96-202
    • /
    • 2008
  •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30{\times}60{\times}3\;cm$)를 이용한 고품질 돌나물 생산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완주 및 금산지역종을 재료로 육모상자당 40, 60, 80개체씩 9월7일에 삽식한 다음, 월동전후 두 지역종간 생육특성과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삽식후 60일째에 초장과 줄기수는 삽식밀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지역종의 잎장과 식물체 당 곁가지 수는 40개체보다 80개체 밀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월동후 1차 수확시(4월 20일), 금산 지역종의 생육은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 지역종의 줄기직경, 줄기당 마디수와 잎수 등은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두 계통 모두 삽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나, 완주지역종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2차 수확시(6월 5일)의 생육은 두 지역종 모두 총 줄기수에서만 40개체 삽십보다 80개체 삽식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생체중과 건물중은 금산 지역종에서 40개체 삽십보다 60개체 삽식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완주 지역종의 건물중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완주 지역종은 줄기가 두껍고 마디가 짧으며, 잎이 크고 웃자라지 않아, 수량성이 금산 지역종보다 높았다. 따라서 무가온 하우스에서 벼 육묘상자를 이용한 돌나물 재배시 완주 지역종이 금산 지역종보다 적합하였으며, 재식밀도는 상자당 40개체가 적당하였다.

모듈형 경사지붕 녹화시스템의 토양과 식물생육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Soils and Plant Growth in Modular Sloped Rooftop Greening System)

  • 류남형;이춘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67
    • /
    • 2011
  •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the effects of substrate depth and substrate composition on the development of sedum etc., in a sloped rooftop (6 : 12 pitch) environment during a 4-year peri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2006 October to 2010 December under several conditions without soil erosion control : two substrate depth (5cm, 10cm), four substrate composition (A5N3C2, A3N3C4, A6C4, G5L3C2: A: artificial lightweight soil, N : natural soil, G : granite decomposed soil, C : leave composite, L : loess), four sloped roof direction ($E40^{\circ}W$, $W40^{\circ}N$, $S40^{\circ}W$, $N40^{\circ}E$). In this experiment 4 sedum etc., were used: Sedum sarmentosum, Sedum kamtschaticum, Sedum rupestre, Sedum telephium, flowering herbs (mixed seed : Taraxacum platycarpum, Lotus corniculatus, Aster yomena, Aster koraiensis), western grasses (mixed seed : Tall fescue, Creeping redfescue, Bermuda grass, Perennial ryegrass). The establishment factor had two levels : succulent shoot establishment (sedum), seeding (flowering herbs, western grasses). 1. Enkamat, as it bring about top soil exfoliation, was unsuitable material for soil erosion control. 2. Sedum species exhibited greater growth at a substrate depth of 10cm relative to 5cm. All flowering herbs and western grasses established only at a substrate depth of 5cm were died. A substrate depth of 5cm was not suited in sloped rooftop greening without maintenance. If additional soil erosion control will be supplemented, a substrate depth of 10cm in sloped rooftop greening without maintenance was considered suitable. 3. For all substrate depth and composition,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Sedum kamtschaticum. The percentage of surviving Sedum kamtschaticum was 73.4% at a substrate depth of 10cm in autumn 2007 one year after the roof vegetation had been established. But the percentage of surviving other sedum were 33.3%~51.9%, therefor mulching for soil erosion control was essential after rooftop establishment in extensive sloped roof greening was proved. To raise the ratio of plant survival, complete establishment of plant root at substrate was considered essential before rooftop establishment. 4.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biomass and substrate moisture content. There were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ubstrate moisture and erosion among substrate compos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A6C4 was highest, the resistance to erosion of A5N3C2 was highest among substrate composition. The biomass of plants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in A5N3C2 and A6C4 relative to A3N3C4 and G5L3C2, For substrate moisture and erosion resistance, A5N3C2 and A6C4 were considered suitable in sloped rooftop greening without maintenanc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oof slope direction on the substrate moisture. Especially, the substrate moisture content of $S40^{\circ}W$ was lower relative to that of $N40^{\circ}E$, that guessed by solar radiation and erosi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추출물의 생리 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Ice plant) Extract)

  • 이상률;최현덕;유선녕;김상헌;박슬기;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8-645
    • /
    • 2015
  • 본 연구는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Ice plant는 아프리카와 서유럽, 북미, 남미 그리고 호주에서 서식하는 다육식물로 항당뇨, 항산화, 지질 대사 활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Ice plant를 methanol (MCM), ethanol (MCE), 열수(MCHW), 열수 추출 후 methanol (MCHM)로 추출하여, mushroom tyrosinase, pancreatic lipase,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NO 생성,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 하였다. MCM, MCE, MCHW, MCHM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0.37%, 0.33%, 0.5%, 0.07%로 나타났다. MCHW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 높은 효과를 보였고, MCM, MCE 추출물은 lipase 저해 활성, α-glucosidase 저해 활성, NO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ice plant는 항산화 물질로서 비만, 당뇨, 염증 치료용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구마의 경정조직 유래 기내 소식물체의 생장촉진과 순화 (Growth Acceleration and Acclimatization of In Vitro Plantlets derived from Apical Meristem of Sweet Potato)

  • 은종선;김영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19
    • /
    • 1999
  • 고구마의 기내 소식물체의 생장촉진 및 순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마디를 광혼합영양과 종속영양, 광독립영양 조건하에서 각각 배양하였다. Shoot길이는 3$0^{\circ}C$의 종속영양배양에서 11.9 cm로 가장 길었고 $25^{\circ}C$의 혼합영양배양에서 3.4cm로 가장 짧았다. 3$0^{\circ}C$에서 배양된 마디의 생육이 가장 빨라 마디수가 10.5개로 가장 많았지만 식물체는 도장되어 연약하였다 엽면적은 MF-처리구인 종속영양배양보다 MF+처리구인 혼합영양배양에서 2배로 넓었고 shoot의 건물률도 약간 높게 나타나 함수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투명화된 불량묘는 광혼합영양배양의 경우 $25^{\circ}C$와 3$0^{\circ}C$ 모두 14.8%였고, 종속영양배양에서는 $25^{\circ}C$에서 22.2%, 3$0^{\circ}C$에서 31.5%로 MF+처리구에서 훨씬 적게 나타났다. Sucrose-free배지의 경우 MF-처리구에서 배양 30일 후에 마디절편이 노랗게 변하고 결국 고사되었으나 MF+처리구의 광독립영양배양에서는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되었다. 또한 sucrose와 호르몬이 첨가되지 않은 MS기본배지에서 MF+처리구의 경우 마디절편의 생존율은 양호하였다.

  • PDF

능유바위솔의 분화 재배시 광도, 분용토, 시비 수준에 따른 생육과 품질의 변화 (Growth and Quality Affected by Light Intensity, Potting Media and Fertilization Level in Potted Orostachys 'Nungyu bawisol')

  • 천영신;이상우;정경진;하수현;배종향;윤재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7-364
    • /
    • 2011
  • 능유바위솔을 분화로 재배하고자 할 때, 적정 광도 와 내음성정도, 적정 분용토, 그리고 적정 시비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능유바위솔은 52% 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82% 차광까지는 생육이 감소하기는 하지만 상품성은 유지되어 내음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90% 이상의 차광에서는 고사주가 발생하였으며, 엽색도 탈색되고 잎이 위로 서는 등 관상가치가 크게 저하되었다. 분용토로는 마사토 : 유비상토 : 강모래(6 : 2 : 2, v/v/v) 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다. 특히 지상부 생체중의 경우 다른 용토에서는 약 4~8g 범위였으나, 마사토 : 유비상토 :강모래(6 : 2 : 2, v/v/v)에서는 16g으로 2배 이상의 생육량을 보였다. 시비조건은 Hyponex 액비를 1,000~2,000배액으로 1회/주 처리했을 때, 생체중 및 초폭, 분지수 등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특히 생체중의 경우 대조구(무처리)가 16g인데 비해 1,000배액 1회/주와 2,000배액 1회/주 처리에서 약 29g으로 80% 정도 생장량이 증가하였다. 엽색에서는 액비의 농도가 높을 수록 엽색이 짙어지는 경향이 보였다.

Photosynthetic Patterns of 3 Crassulacean Plants under Drought Conditions

  • Kim, Tae-Jin;Choo, Yeon-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2호
    • /
    • pp.187-193
    • /
    • 2007
  • Higher plants can be categorized as C3, C4 or CAM according to their photosynthetic pathways, and some succulent plants are known to shift their patterns of photosynthesis from C3 to CAM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salt treatment or water deficiency. To investigate fundamental photosynthetic patterns and the induction of pattern shifts (C3, CAM, C3-CAM etc.) as a result of environmental stresses, we measured the water content, diurnal changes in pH, net $CO_2$ exchange, transpiration rate, total ionic contents, and osmolality of Kalancoe daigremontiana, Sedum kamschaticum and Sedum sarmentosum which belong to Crassulaceae known as representative CAM plant, after 10 days of drought treatment. S. kamschaticum and S. sarmentosum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urnal pH variation in the treatment and control conditions. However, the pH of drought-treated Kalancoe was low at night and high in the daytime, with a pH value between 4 and 5. Typical CAM plants display a net $CO_2$ exchange that increases at night and decreases in the daytime. Kalancoe displayed the predicted pattern. However, S. kamschaticum and S. sarmentosum showed a photosynthetic pattern more typical of C3 plants, and did not show changes in photosynthetic pattern under drought stress. Kalancoe also showed a transpiration rate typical for CAM pho-tosynthesis, whereas the transpiration rates of S. kamschaticum and S. sarmentosum were in the typical range for C3 photosynthesis. Kalancoe had high total ionic contents during the night, which decreased somewhat during the daytime, whereas S. kamschaticum and S. sarmentosum displayed the opposite pattern.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diurnal patterns of changes in pH in the three plant species, which suggests a relationship between pH and ionic contents. S. sarmentosum showed lower osmolality under drought stress than in the control condition, whereas the osmolality of Kalancoe and S. kamschaticum did not differ between conditions. S. sarmentosum may have maintained internal water content by lowering its osmolality and raising its total ionic contents. In conclusion, Kalancoe displayed the characteristic responses of a typical CAM plant, whereas S. kamschaticum and S. sarmentosum displayed aspects of the C3 photosynthetic pattern under drought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kamschaticum and S. sarmentosum (Crassulacea) in Korea overcome drought stress by increasing solute and ionic contents internally rather than changing their photosynthetic pattern from C3 to CAM under drought stress.

돌나물(돌나물과)집단의 유전적 변이: 남부지방 집단의 기원에 대한 암시 (Notes on genetic variation in Sedum sarmentosum (Crassulaceae):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southern Korean populations)

  • 정미윤;;정명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1-377
    • /
    • 2016
  • 다년생 다육식물인 돌나물은 한반도 중남부에 흔하게 자란다. 이 종은 중국 고유종이며, 아마도 식용과 약용 때문에 한반도에 도입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만약 식물이 단일 공급원에서 한반도로 도입되었다면, 저자들은 남한집단에서 유전적 변이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 한두 곳에서 도입되었다면 알로자임 변이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식물종이 여러 곳에서부터 도입되었다면, 저자들은 이런 종이 높은 수준의 유전적다양도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어떤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저자들은 한반도 남부지방 10곳 집단을 대상으로 알로자임 변이를 조사하였다. 저자들은 조사된 15개의 모든 알로자임 유전좌위에서 변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두 동속종(기린초및 바위채송화)과 두 관련 종(둥근잎꿩의비름과 세잎꿩의비름)은 중간 정도 및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H_e$ 값이 각각 0.203, 0.144, 0.201 및 0.204). 저자들은 (한국남부지방, 자생지 및 다른 귀화된 돌나물이 불염이기에) 남부지역에 생육하는 돌나물은 소수의 클론 분주체가 한번 도입된 후 무성적 번식에 의해 넓게 귀화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133년만에 밝혀진 한국산 주걱잎갯비름(돌나물과)의 분류학적 실체 및 분포 (The taxonomic entity and distribution of Korean Sedum formosanum (Crassulaceae) revealed in 133 years)

  • 최승세;김종환;김철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77-384
    • /
    • 2020
  • 한국산 주걱잎갯비름(Sedum formosanum N. E. Br.)은 133년 전에 기록된 후, 이제야 이의 분류학적 실체 및 분포 현황이 밝혀졌다. 이들은 그동안 기준표본 채집지인 타이완을 비롯하여 일본의 남부, 필리핀 북부 섬지역에만 국한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는 제4차 전국 자연환경조사를 통해 전라남도 신안군 하태도 및 상태도의 바닷가 바위 틈새에서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산 주걱잎갯비름은 높이 최대 65 cm에 달하는 2년생 다육식물로 결실기에 골돌과의 심피가 곧추서는 점에서 속내 대부분의 식물들과 다르다. 특히, 주걱잎갯비름은 한국산 돌나물속 중, 주걱비름과 비슷하지만 엽신이 단일형으로 엽선이 원두이며, 꽃 피는 줄기와 꽃이 없는 줄기를 따로따로 갖는 점에서 구별된다. 주걱잎갯비름에 대한 기재, 근연종과 차이점, 검색표 및 사진 등을 수록하였다.

LED 광질이 바위솔과 자질연화바위솔의 생장과 엽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the Growth and Leaf Color of Orostachys japonica and O. boehmeri)

  • 이재환;소순일;김현진;남상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4-113
    • /
    • 2022
  • 바위솔속(Orostachys) 식물들은 예로부터 와송이라는 이름의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LED를 활용하여 바위솔(Orostachys japonica)과 자질연화바위솔(O. boehmeri)의 생장 및 엽색에 관한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적색 LED(630nm), 녹색 LED(520nm), 청색 LED(450nm), 식물등 LED(보라색)(650, 450nm), 3000K 백색 LED(전구색)(455, 600nm), 4100K 백색 LED(주백색)(455, 590nm), 6500K 백색 LED(주광색)(450, 545nm)를 활용하여 총7가지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결과적으로 바위솔은 4100K 백색 LED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자질연화바위솔은 3000, 4100, 6500K의 다양한 백색 LED에 적응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엽색에 관한 분석에서는 바위솔과 자질연화바위솔 모두 녹색 LED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나타내었는데 L*과 b*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잎이 황화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추가로 생장과 엽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바위솔은 식물의 생장과 엽색 간의 상관관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질연화바위솔은 식물체의 생장과 L*, b* 사이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a*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바위솔은 4100K 백색 LED 하에서 재배할 것을 권장하며 자질연화바위솔은 3000, 4100, 6500K의 백색 LED 하에서 재배할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