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eeding crop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7초

가축액상분뇨 사용이 헤어리베치 질소흡수와 후작 배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imal Slurry Application on Nitrogen Uptake of Hairy Vetch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11-221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nimal slurry on nitrogen uptake of hairy vetch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in cropping system. Hairy vetch was seeded on September 20 in 2003 . We examined the effect of cover crop(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and slurry application(0, l00, 200kg N/ha) on yield and N uptake. Dry matter yield and nitrogen uptake of hairy vetch were measured. The chinese cabbage succeeding cover crop was harvested in 2004. The nitrogen uptake of hairy vetch was 84, 121, 148kg N/ha respectively, when the slurry application was 0, 100 and 200kg N/ha. In addition. N uptake of hairy vetch at the plot of 100kg and 200 kg N/ha slurry were 44% and 76% higher than that of the plot without slurry application respectively. Slurry application of hairy vetch could increase nitrogen uptake by application of green manure at the harvesting time.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and P-content of soil with hairy vetch plot was higher than that of fallow plot due to inhibition of soil erosion. The organic matter levels tend to improve with the addition of hairy vetch. Hairy vetch could improve soil quality by reducing erosion compared with bare fallow. The green manure of hairy vetch with animal slurry maintained soil nutrient and reduced nitrogen fertilizer of chinese cabbage. The hairy vetch residues decomposed rapidly releasing half of their residues within 40 days after burial.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was 90% in the plot of manure of hairy vetch compared with chemical fertilizer. The yield in the plot treated with green manure of hairy vetch and 50% of chemical fertilizer was reduced 5% less than that of chemical fertilizer.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the green manure of hairy vetch-chinese cabbage cropping system could reduce nitrogen chemical fertilizer as much as 84~148kgN/ha. the green manure of hairy vetch with animal slurry maintained soil nutrient and reduced nitrogen fertilizer of chinese cabbage.

  • PDF

제초제 사용과 잔유 (Use of Herbicides and the Residues)

  • 문영희;전재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9년도 무주 반딧불 축제 기념 세미나
    • /
    • pp.21-38
    • /
    • 1999
  • 제초제는 현대 농업에서 필수적인 농자재이나 생리활성을 갖기에 비목적대상생물에 대한 위해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초제의 문제점중 잔류문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그중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토양, 농작물중의 잔류는 더욱 중요하다. 토양과 통작물중 제초제의 잔류유해성은 토양, 기상, 제초제의 사용 및 작물재배 등의 조건에 따라 현저히 변화되나, 현 시점에서 토양중 제초제의 잔류에 대한 문제점은 후작물에 대한 영향과 같은 국부적인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으며 농작물중 난류 또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국민건강, 토양생태계를 비롯 환경에 대한 더 높은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제초제에 대한 모니터링실험과 같은 잔류성 조사가 더 많이 요구되며 사용자는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해야 하겠으며 제초제개발측면에서는 보다 저독성 약제를 개발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

  • PDF

화산회토에서 옥수수와 감자의 시비처리에 따른 양분 흡수 및 용탈 (Nutrient Uptake and Leaching Under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 for Corn and Potato Growth in Volcanic Ash Soil)

  • 강봉균;박양문;강영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3-259
    • /
    • 2001
  • 나지와 작물재배조건의 밭토양에서 질소 공급원으로 질소질 비료 및 완숙 회비를 시비함에 따른 작물체의 생육 및 양분 흡수와 토양내 양분의 이동, 지하수로의 용탈 가능성을 추정하여 시비양분의 행방을 추정하기 위하여 lysimeter에 무비방 임구, 무비무재배 제초구, 무비재배구, 질소 토양처리구(16, 32, 64kg/10a), 질소+퇴비 토양처리구(16+800, 32+1600, 64+3200 kg/10a), 질소 수용액처리구(16, 32kg/10a), 질소보비(32kg/10a)소식 및 밀식구 13 처리로 하여 전작물 옥수수와 후작물 감자의 생육 및 양분의 흡수, 용탈정도를 조사하였다. lysimeter를 통하여 용탈된 물의 양은 나지구(T1, T2)가 작물 재배구들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전작물(옥수수)과 후작물(감자)의 식물체내 질소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작물체의 생육은 수용액시비구가 토양시비구에 비해 유의하게 양호하였고, 질소흡수율도 수용액시비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옥수수 및 감자의 건물수량은 질소.퇴비보비구와 증량구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식물체내 N, Ca Na, K, Mg의 함량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감자의 총질소 함량과 다른 무기성분의 흡수량간에는 Ca, K, Mg과 각각 0.89$^{**}$ , 0.94$^{**}$ , 0.87$^{**}$ 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유지하고 있어 질소의 흡수가 다른 무기성분의 흡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식물체의 실제적인 질소흡수량은 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였으나, 비료로 시용된 질소의 흡수율은 소비구(T4)가 54.9%로 가장 높은 반면, 증량구에서는 31.0-34.0%로 낮아졌다. 토양잔존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높아져 다비구일수록 용탈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과 피복작물 리빙멀치에 따른 옥수수 무경운 재배지의 잡초군락 변화 (Change of Weed Community in No-till Corn with Legume Cover Crops as Living Mulch)

  • 최봉수;김충국;성기영;송득영;전원태;조현숙;정광호;강위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4-40
    • /
    • 2011
  • 이른 봄 녹비피복작물 생육에 따른 잡초의 발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크림손클로버구의 76%수준이었으며, 발생한 잡초총은 헤어리베치구에서 4종(냉이, 쇠별꽃, 점나도나물 및 꽃다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3종(냉이, 쇠별꽃 및 꽃다지)이었다. 두 피복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한 잡초 중 냉이는 다른 초종보다 현저히 많았고, 이에 따른 건물생산량도 가장 높았다. 크림손클로버구는 냉이 외에도 쇠별꽃의 개체수가 많았으며, 건물생산량도 쇠별꽃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 생육중기의 경작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9종으로 다양하였으며, 잡초의 개체수도 가장 많았다. 한편 헤어리베치구와 크림손클로버구의 발생 잡초는 각각 4종과 6종이었으며, 건물생산량은 각각 관행구의 18과 25% 수준으로 낮았다. 옥수수 수확 후 각 재배지 발생 잡초는 관행구에서 초종이 현저히 감소하여 바랭이를 비롯한 5종,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에서 각각 5종과 4종이었다. 잡초의 건물율은 관행구에서 23.5%였으며, 헤어리베치와 크림손클로버구는 각각 13.8과 14.7%로 관행구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한편 피복작물 재배구는 토양 피복에 의한 낮은 지온과 광차단 등으로 인하여 관행구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쇠별꽃이 지속적으로 생육하였다.

가지대목(EG-203)을 이용한 딸기 후작 토마토 무경운 재배에서의 풋마름병 경감 및 전작물 제거시기 구명 연구 (Study on Removal Time of Former Crop and Bacterial Wilt Reduction in Non-Tillage Tomato Culture by Grafting with EG-203 after Strawberry Cropping)

  • 이문행;박권서;이희경;이환구;김경제;이순계;조평화;김영식;김성은;한경숙;황갑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7-665
    • /
    • 2014
  • 토마토 억제 재배 시 생산비를 절감하고 토마토의 수확시기를 앞당기며 잦은 경운에 의한 토양환경을 보호하고자 가지대목(EG203)을 활용한 딸기후작 토마토 무경운 재배법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지대목(EG203)을 사용하여 토마토 재배를 실시한 결과 풋마름병 발생은 무경운 재배에서 실생은 30%, 가지대목(EG203)은 0%였으며 경운 재배에서는 실생은 25%, 가지대목(EG203)은 0%였다. 가지대목(EG203)을 이용한 경운 및 무경운 재배에서 상품수량은 각각 2,693, 2,657 kg/10a로 유사하였으며 당도 및 경도도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딸기 후작 토마토 재배에서 풋마름병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가지대목(EG203)을 활용하여 접목을 실시하여야하며 가지대목(EG203)을 이용하여 재배할 경우는 경운과 무경운 재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경제성 및 환경적으로 무경운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마토 정식 당일, 10, 20, 30일 후 전작물인 딸기를 제거한 결과 20, 30일 후 제거에서 초장과 절간장은 길었으나 다른 생육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품수량은 정식 당일 제거한 것이 1,885 kg/10a로 30일 후 제거 1,678 kg/10a보다 12% 많았으나 전작물인 딸기의 제거 시기는 딸기의 생육과 가격을 토마토의 기대소득과 비교 경제성을 분석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콩과목초 잔주의 사일리지용 옥수수에 대한 질소 공급효과 (A Comparison of Legume Residues as a Nitrogen Source for Silage Corn)

  • 김동암;김종덕;이광녕;신동은;정재록;김원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3-304
    • /
    • 1997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experimental plo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h m 1995 to 1996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gume residues as a N source and N fertilizer on corn (Zea mays L.) silage yield, N uptake, and availability of inorganic N in the soil. Corn was grown following (i)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ii) crimson clover (Trifolium incarnatum L.), (iii) alfalfa (Medicago sativa L.) and (iv) winter fallow. The plots were split into two rates of fertilizer N (0 and 90kg Nlha) in a split-plot experimental plan. Compared with fallow treatment, legumes depleted soil water in the surface 15cm at corn planting by 17 to 26%. As a result, corn emergence was markedly delayed with legume residues by 8 to 11 days. Corn silage DM yield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legume residues by 2.0 to 3.4 and 1.5 to 2.5 tonlha compared with winter fallow treatment at 0 and 90kg fertilizer Nlha, respec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n DM yield was found between legume residue treatments. There was an overall tendency for increased corn yields with 90kg fertilizer Nlha compared to Okg fertilizer Nlha, although not all yield increas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e corn yield response to applied N suggests that a source of N from legume residues was not sufficient for a succeeding corn crop. There was significantly more N (P

  • PDF

제초제(除草劑) 사용(使用)과 잔류(殘留) (Use of Herbicides and the Residues)

  • 문영희;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4-249
    • /
    • 1993
  • 제초제(除草劑)는 현대(現代) 농업(農業)에서 필수적인 농자재(農資材)이나 생리활성(生理活性)을 갖기에 비목적대상생물(非目的對象生物)에 대한 위해성(危害性)을 배제(排除)할 수 없다. 제초제(除草劑)의 문제점(問題點)중 잔류문제(殘留問題)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그중 인간생활(人間生活)과 밀접한 관계(關係)를 갖는 토양(土壤), 농작물(農作物)중의 잔류(殘留)는 더욱 중요하다. 토양(土壤)과 농작물(農作物)중 제초제(除草劑)의 잔류분해성(殘留分解性)은 토양(土壤), 기상(氣象), 제초제(除草劑)의 사용(使用) 및 작물재배(作物栽培) 등의 조건(條件)에 따라 현저히 변화(變化)되나, 현(現) 시점(時點)에서 토양(土壤) 중 제초제(除草劑)의 잔류(殘留)에 대한 문제점(問題點)은 후작물(後作物)에 대한 영향(影響)과 같은 국부(局部)적인 것을 제외(除外)하고는 거의 없으며 농작물(農作物)중 잔류(殘留) 또한 큰 문제(問題)가 없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그러나 국민건강(國民健康), 토양생태계(土壤生態系)를 비롯 환경(環境)에 대한 더 높은 안정성(安定性) 확보(確保)를 위하여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모니터링실험과 같은 잔류성(殘留性) 조사(調査)가 더 많이 요구(要求)되며 사용자(使用者)는 안전사용기준(安全使用基準)을 준수(遵守)해야 하겠으며 제초제개발측면(除草劑開發側面)에서는 보다 저독성(低毒性) 약제(藥劑)를 개발(開發)하는데 최선(最善)을 다해야 하겠다.

  • PDF

Crossbreeding and parental lineage influences the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rice seed endophytes

  • Walitang, Denver I.;Halim, MD Abdul;Kang, Yeongyeong;Kim, Yongheon;Sa, Tongmi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61-161
    • /
    • 2017
  • Seed endophytes are very remarkable groups of bacteria for their unique abilities of being vertically transmitted and conserved. As plants attain hybrid vigor and heterosis in the process of crossbreeding, this might also lead to the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plant endophytes in the hybrid plants ultimately affecting the endophytes of the seeds. It would be interesting to characterize how seed endophyte composition change over ti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ain insights into the influence of natural crossbreeding and parental lineage in the seed bacterial endophytic communities of two pure inbred lines exploring contributions of the two most important sources of plant endophytes - colonization from external sources and vertical transmission via seeds. Total genomic DNA was isolated from rice seeds and bacterial DNA was selectively amplified by PCR. The diversity of endophytic bacteria was studied through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 analysis. Diversity between the original parents and the pure inbred line ma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richness, evenness and diversity indices. Heat maps reveal astonishing contributions of both or either parents (IR29 ${\times}$ Pokkali and AT401 ${\times}$ IR31868) in the shaping of the bacterial seed endophytes of the hybrid, FL478 and IC32, respectively. Most of the T-RFs of the subsequent pure inbred line could be traced to any or both of the parents. Comparison of common and genotype-specific T-RFs of parents and their offspring reveals that majority of the T-RFs are shared suggesting higher transmission of bacterial communities common to both parents. The parents influence the bacterial community of their offspring. Unique T-RFs of the offspring also suggest external sources of colonization particularly as the seeds are cultivated in different ecogeographical loc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host parental lines contributed greatly in the shaping of bacterial seed endophytes of their offspring. It also revealed transmission and potential conservation of core seed bacterial endophytes that generally become the dominant microbiota in the succeeding generations of plant hosts.

  • PDF

제초제(除草劑) 약해발생(藥害發生) 양상(樣相)과 경감대책(輕減對策) (Crop Injury (Growth Inhibition) Induced by Herbicides and Remedy to Reduce It)

  • 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1-270
    • /
    • 1992
  • Many herbicides that are applied at the soil before weed emergence inhibit plant growth soon after weed germination occurs. Plant growth has been known as an irreversible increase in size as a result of the processes of cell divison and cell enlargement. Herbicides can influence primary growth in which most new plant tissues emerges from meristmatic region by affecting either or both of these processes. Herbicides which have sites of action during interphase($G_1$, S, $G_2$) of cell cycle and cause a subsequent reduction in the observed frequency of mitotic figures can be classified as an inhibitor of mitotic entry. Those herbicides that affect the mitotic sequence(mitosis) by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spindle apparatus or by influencing new cell plate formation should be classified as causing disruption of the mitotic sequence. Sulfonylureas, imidazolinones, chloroacetamides and some others inhibit plant growth by inhibiting the entry of cell into mitosis. The carbamate herbicides asulam, carbetamide, chlorpropham and propham etc. reported to disrupt the mitotic sequence, especially affecting on spindle function, and the dinitroaniline herbicides trifluralin, nitralin, pendimethalin, dinitramine and oryzalin etc. reported to disrupt the mitotic sequence, particularly causing disappearence of microtubles from treated cells due to inhibition of polymerization process. An inhibition of cell enlargement can be made by membrane demage, metabolic changes within cells, or changes in processes necessary for cell yielding. Several herbicides such as diallate, triallate, alachlor, metolachlor and EPTC etc. reported to inhibit cell enlargement, while 2, 4-D has been known to disrupt cell enlargement. One potential danger inherent in the use of soil acting herbicides is that build-up of residues could occur from year to year. In practice, the sort of build-up that would be disastrous is unikely to occur for substances applied at the correct soil concentration. Crop injury caused by soil applied herbicides can be minimized by (1) following the guidance of safe use of herbicides, particularly correct dose at correct time in right crop, (2) by use of safeners which protect crops against injury without protecting any weed ; interactions between herbicides and safeners(antagonists) at target sites do occur probably from the following mechanisms (1) competition for binding site, (2) circumvention of the target site, and (3) compensation of target site, and another mechanism of safener action can be explained by enhancement of glutathione and glutathione related enzyme activity as shown in the protection of rice from pretilachlor injury by safener fenclorim, (3) development of herbicide resistant crops ; development of herbicide-resistant weed biotypes can be explained by either gene pool theory or selection theory which are two most accepted explanations, and on this basis it is likely to develop herbicide-resistant crops of commercial use. Carry-over problems do occur following repeated use of the same herbicide in an extended period of monocropping, and by errors in initial application which lead to accidental and irregular overdosing, and by climatic influence on rates of loss. These problems are usually related to the marked sensitivity of the particular crops to the specific herbicide residues, e.g. wheat/pronamide, barley/napropamid, sugarbeet/ chlorsulfuron, quinclorac/tomato. Relatively-short-residual product, succeeding culture of insensitive crop to specific herbicide, and greater reliance on postemergence herbicide treatments should be alternatives for farmer practices to prevent these problems.

  • PDF

화산회토에서 퇴비 및 요소시용에 따른 토양중 $NO_3$-N, 양이온의 용탈 (Crop Growth and Nutrient leaching from Soil with Application of Urea and Compost in Volcanic Ash Soil)

  • 강봉균;송창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1-115
    • /
    • 2001
  • 작물생산을 위하여 토양에 시용된 비료는 용해되어 일부는 작물에 흡수되고, 나머지는 토양중에서 복잡한 과정을 거쳐 심토층으로 용탈되는데 특히 NO$_3$-N은 지하수 오염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시험은 밭토양에서 질소질비료 및 완숙 퇴비를 시비함에 따른 작물체의 흡수와 토양내 시비 양분의 이동, 지하수로의 용탈 가능성에 파악하여 환경보존형농업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지역 화산회토에서 Lysimeter(체적 0.15㎥, 지름 62cm, 높이 62.8cm)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면서 강우시 용탈수를 채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Lysimeter 시험 처리 내용은 무비방임구, 미비무재배 서초구, 무비재배구, 질소 토양처리구(16, 32, 64kg/10a), 질소+퇴비 토양처리구(16+800, 32+1600, 64+3200kg/10a), 질소 수용액처리구(16, 32kg/10a), 질소보비(32kg/10a) 소식 및 밀식구 13처리로 하여 질소는 요소를 시용하였고, 전작물로는 옥수수를, 후작물로는 감자를 재배하면서 작물의 생육 및 이온의 용탈정도를 조사하였다. 용탈수의 pH는 질소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점차 낮아지는 반면, NO3-N 농도는 증가하는 추세였다. No$_3$-N의 용탈총량은 무비방임구(T1) 및 무비무재배 서초구(T2)가 보비구(T5)보다 월등하게 높은 반면, 무비재배구(T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용액 시비구의 용탈 평균농도가 토양시비구의 64%에 불과하였고, 밀식구의 용탈평균농도는 와식구의 54.5%로 낮았다. Ca 및 K 이온의 농도 및 용탈총량도 무비재배구(T3)에서 가장 낮았으며, 무비방임구(T1) 및 무비무재배 서초구(T2)에서 높게 나타나 NO3-N과 유이한 경향을 보였다. 시비질소의 용탈율은 시비량을 증가시킬수록 높아졌고 밀식구 및 수용액시비구에서 낮아졌다. 따라서 앞으로는 시비 양분의 지하수로의 용탈을 줄이고, 시비 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특속 가능한 환경친화형 농업에 바탕을 둔 고도의 시비처방 기능이 요구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