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tidal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3초

금강하구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의 생태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 최윤;김익수;유봉석;박종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3
    • /
    • 1996
  • 서해 군산연안에 서식하는 풀망둑의 생태 연구를 위해 1994년 5월부터 1995년 6월까지 매월 표본을 채집하였으며, 서식환경, 난소의 성숙과정과 산란기, 포란수, 자어의 출현과 착저(着底)시기, 성장, 먹이생물 등을 분석하였다. 본 종의 난소 발달과정은 $10\~11$월의 난원세포기, $12\~2$월의 성장기, $2\~4$월의 성숙기, 4월-5월 초의 완숙 및 산란기로 구분되었다. 4월 하순부터 산란을 시작하여 5월 중순에 대부분 산란을 종료하였고, 산란성기는 5월 초${\cdot}$중순이었다. 포란수는 전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약 $8,600\~49,000$ 여개를 포란하고 있었다. 성숙란을 포함하는 최소 성체는 전장 225mm(체장 180mm)였다. 5월 중순 이후 6월 초까지 전장 10mm 미만의 자어가 출현하였으며, 5월 말부터는 전장 $13.0\~15.0mm$의 개체들이 조간대 부근의 천해역에서 저서생활을 시작하였다. 이들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10월 무렵에는 평균 전장 141.7 mm에 달하였는데, 이후 12월부터는 천해역에서 자취를 감추고 이듬해 산란기까지 조하대로 이동하여 생활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집된 풀망둑의 최대 전장은 산란 직전인 4월에 채집된 것으로 수컷이 531mm, 암컷이 472mm 였다. 위내용물은 어린 개체들의 경우 요각류와 기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섭식하였고, 성체에 있어서는 게, 어류, 새우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등을 다양하게 섭식하였으며, 특히 새우류의 섭식량이 많았다.

  • PDF

한국 서해산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Jedo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김지현;김종식;김용호;정의영;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2
    • /
    • 2003
  •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충남 보령연안에 서식하는 살조개 총 2,591 개체를 채집하여 연령과 성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살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연 1회 형성되었으며, 윤문형성 시기는 2-3월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고(SH)에 대한 각장 (SL), 각폭 (SW) 및 총중량 (TW) 사이의 상대성장 관계는 각각 SL = 1.1067 SH + 1.778, SW = 0.6758 SH - 0.9824, TW = 0.0007 SH$^{2.8919}$이었고, 연령 (t) 에 대한 각고와 총중량으로부터 구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SH$_t$ = 81.546(1-e$^{-0.176(t+0.381)}$), $_t$ = 81.546(1-e$^{-0.176(t+0.381)}$)이었다.

  • PDF

Seasonal Variability of Seaweed Biomass along the Vertical Shore Gradient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 Kim, Bo-Yeon;Kim, Won-Sin;Choi, Han-Gi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324-331
    • /
    • 2010
  • Seasonal variation in seaweed biomass was examined along vertical shore gradients on the rocky shore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from August 2007 to April 2008. The average annual biomass of seaweed was 404.07 g wet wt/$m^2$, with seasonal variation from 232.61 g in the spring to 754.90 g wet wt/$m^2$ in the summer at Nachido Island. At Odo Island, average biomass was 270.82 g wet wt/$m^2$ and ranged from 48.35 g in the winter to 451.66 g wet wt/$m^2$ in the spring. Seaweed biomass exhibited an even distribution across the shore gradient from the high intertidal zone to -5 m depth at Nachido Island, whereas seaweed biomass was concentrated from the mid intertidal zone to -1 m depth in the subtidal zone at Odo Island. Sargassum thunbergii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28.24% (114.12 g wet wt/$m^2$) and 36.57% (99.05 g wet wt/$m^2$) of total biomass at Nachido and Odo Islands, respectively. Subdominant seaweed species was Gelidium amansii, comprising 15.23% (61.52 g wet wt/$m^2$) and 14.70% (39.82 g wet wt/$m^2$) of total biomass at Nachido and Odo Islands, respectively. Dominant functional group was the coarsely branched-form group, which grows under moderat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omprised 93.34% (377.15 g wet wt/$m^2$) and 66.96% (181.35-g wet wt/$m^2$) of total biomass at Nachido and Odo Islands, respectively. Percentage biomass of sheet-form seaweeds growing at relatively disturbed and polluted areas was approximately 20.83% (56.40 g wet wt/$m^2$) of total biomass along the Odo rocky shore. Based on the biomass and functional-form composition of seaweeds, we concluded that Nachido Island provides bett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an does Odo Island. In addition,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ominant species of seaweeds on the two islands were very similar, but the functional-form composition of seaweeds at Nachido Island differed slightly from that at Odo Island.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임현식;박흥식;최진우;제종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1호
    • /
    • pp.80-92
    • /
    • 1999
  • 남해안에 위치한 앵강만의 저서동물 군집 구조파악을 목적으로 1994년 10월, 1995년 1월, 5월 및 8월에 앵강만 내에 18 개 정점을 설정하고 저서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총 233 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으며, 이 가운데 다모류가 90 종, 갑각류가 66 종 및 연체동물이 46 종이었다. 평균 밀도는 1,358 개체/$m^2$였으며, 다모류가 874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전체 밀도의 64%를 차지하였다. 습중량은 262.0 gWWt/$m^2$였으며, 극피동물이 137.8 gWWt/$m^2$로서 전체 습중량의 52.6%를 차지하였다. 출현종수, 밀도 및 습중량은 앵강만 동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으나, 서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석회관갯지렁이인 Ditrupa arientina, 실타래갯지렁이류인 Tharyx sp. 그리고 굴족류인 Fustaria nipponica였는데 각각 밀도가 245 개체/$m^2$, 166 개체/$m^2$ 및 132 개체/$m^2$였다. D. arientina와 F. nipponica는 앵강만 입구역에서 밀도가 높았으며, Tharyx sp.는 앵강만 중앙부 해역에서 밀도가 높았다. 집괴분석 결과 앵강만은 내만에 1 개 정점군, 만 중앙부에 2 개 정점군, 그리고 만 입구에 2 개 정점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앵강만의 저서동물 분포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 PDF

Marine Algal Flora on Goheung Coast, Korea

  • Sun, Bin;Seo, Tae-Ho;Cho, Jae-Kwon;Kim, Dae-Kwon;Yun, Soon-Ki;Shin, Hyun-Soo;Lee, Han-Sol;Shin, Jong-Ahm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31-45
    • /
    • 2011
  • To understand the marine algal flora on Goheung coast, Korea, marine algae at 8 point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8 to February 2009 and from April to June 2009. Thirty-seven species (2 species of angiosperms, 5 chlorophytes, 12 phaeophytes, and 18 rhodophytes) occurred from fall to winter and 52 species (2 species of angiosperms, 9 chlorophytes, 18 phaeophytes, and 23 rhodophytes) occurred from spring to summer. Commonly occurring species were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Hizikia fuziformis, and Gelidium amansii, and dominant species at most points were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and Gelidium amansii. The average of the ratio of total rhodophytes and chlorophytes to phaeophytes ((R+C)/P) was 1.61 in fall to winter and 1.69 in spring to summer, and the average Laminariales/Fucales/Dictyotales (LFD) ratio was 1.14 in fall to winter and 1.18 in spring to summer.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rine algal flora of Goheung could be considered as temperate. The LFD ratio was fit for showing a feature of algal flora of Goheung.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 at Points 4~6 while low at Points 1 and 8.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showed that the similarity of occurring species at Points 3 and 4 was higher than the other points from fall to winter, whereas the occurred species at Points 1~4 were similar from spring to summer. The average values of ecological evaluation index (EEI) of the investigation points were 6.8 from fall to winter and 6.3 from spring to summer, which means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investigation points were middle class and the EEI values of outer sea points were higher than the inner bay points.

대조차 연안해역의 계절적 잔차류 변화와 퇴적물 이동 예상 (Seasonal Variation of Residual Flow and Prospect for Sediment Transport in the Macrotidal Coastal Area)

  • 이종대;윤병일;김종욱;김명석;정재순;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39-47
    • /
    • 2020
  • 대조차 조간대 지역의 유속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궁평 해변 조간대 및 인근 조하대에서 하계와 동계 정점 유속관측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잔차류의 분포는 하계 시에는 북향의 잔차류가 지배적이었고, 반면에 동계에는 북향과 남서향의 이분화된 잔차류 패턴이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잔차류 방향과 크기는 유의파고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고, 탁도 역시 유의파고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동계의 고파랑에 의한 저층 퇴적물의 부유가 많이 발생되고 남서향의 잔차류에 의해 퇴적물이 이동되어 해변 침식이 주로 발생한다. 하계는 파랑의 강도가 약하고 북향의 잔차류가 지배적이며, 저층 퇴적물의 부유가 상대적으로 낮게 발생하여 퇴적물 이동이 낮게 발생된다. 또한 인공 구조물에 의해 남쪽 방향으로의 퇴적물 이동이 인위적으로 차단되어 선착장 남측에서 침식이 더 강하게 발생할 것이다. 서해안 대조차 조간대에서의 침식 현상에 대한 주요 인자는 계절적인 파랑에 지배적으로 조절되며, 인공구조물에 의한 퇴적물 차단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 sulfate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n enzymatic digest of brown seaweed Sargassum horneri in RAW 264.7 cells

  • Sanjeewa, Kalu Kapuge Asanka;Fernando, Ilekkuttige Priyan Shanura;Kim, Eun-A;Ahn, Ginnae;Jee, Youngheun;Jeon, You-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1호
    • /
    • pp.3-10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Sargassum horneri is an edible brown alga that grows in the subtidal zone as an annual species along the coast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Recently, an extreme amount of S. horneri moved into the coasts of Jeju Island from the east coast of China, which made huge economic and environmental loss to the Jeju Island. Thus, utilization of this biomass becomes a big issue with the local authorit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crude polysaccharides (CPs) extracted from S. horneri China strai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ATERIALS/METHODS: CPs were precipitated from S. horneri digests prepared by enzyme assistant extraction using four food-grade enzymes (AMG, Celluclast, Viscozyme, and Alcalase). The production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1{\beta}$ were measured by Griess assay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The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nuclear factor (NF)-${\kappa}B$,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were measured by using western blot. The IR spectrums of the CPs were recorded using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pectrometer. RESULTS: The polysaccharides from the Celluclast enzyme digest (CCP)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IC_{50}$ value: $95.7{\mu}g/mL$). Also, CCP dose-dependently down-regulated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alpha}$ and IL-$1{\beta}$, compared to the only LPS-treated cells. In addition, CCP inhibited the activation of NF-${\kappa}B$ p50 and p65 and the phosphorylation of MAPKs, including p38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Furthermore, FT-IR analysis showed that the FT-IR spectrum of CCP is similar to that of commercial fucoidan.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CP ha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formulation of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or/and drug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한반도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말잘피, 새우말의 생장 특성 (Growth Dynamics of the Surfgrass, Phyllospadix iwatensis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김종협;김재훈;김구연;박정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4호
    • /
    • pp.192-203
    • /
    • 2018
  • 말잘피 새우말은 북태평양에 위치한 북동아시아 연안의 암반에 자생한다. 우리나라에서 새우말은 주로 동해 중부해역의 암반조하대에 나타나며, 본 조사에서는 이 곳에 서식하는 새우말의 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8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새우말 군락지의 수중광량, 수온의 변화와 함께 매월 새우말의 형태적 특성, 밀도, 생체량과 잎 생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중광량과 수온은 봄과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과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다. 새우말의 형태, 밀도, 생체량과 잎 생산성은 겨울과 봄에 증가하고, 여름과 가을에 감소하였다. 새우말의 개체당 잎 생산성과 단위면적당 잎 생산성은 수중광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새우말의 연간 평균 단위면적당 잎 생산량은 $6.3{\pm}1.3g\;m^{-2}d^{-1}$로, 2018년 5월 최대값($16.4{\pm}4.4g\;m^{-2}d^{-1}$)과 2월에 최소값($2.4{\pm}0.3g\;m^{-2}d^{-1}$)을 나타내었다. 새우말 생장의 최적 수온은 $12-13^{\circ}C$로 조사되었다.

2006년 봄철 광양만 해류의 구조와 변동 (Current Structure and Variability in Gwangyang Bay in Spring 2006)

  • 이재철;김정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19-224
    • /
    • 2007
  • 광양만의 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2006년 봄철에 수심이 가장 깊은 두 지점을 선정하여 ADCP가 장착된 모니터링 부표 2대를 이용하여 유속관측을 하였다. 두 지점에서 공통적으로 북향류가 지배적인데, 이는 서쪽의 남향류를 동반하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 이 있음을 뒷받침 하고 있다. 남쪽에서는 14 m 수심에서 유향이 반전되는 2층 구조가 뚜렷하며 저층의 북향류는 바닥에 가까운 36 m 수심까지 증가한다. 북쪽 지점에서는 북향류가 더욱 강해져서 북쪽의 단면적 감소에 따른 해류의 가속 효과가 있으며 상층부에서도 북향류가 우세하다. EOF 분석을 통한 연직구조에 있어서 첫 번째 모드는 북쪽 부표에서 전체 분산의 74%인데 비하여 남쪽 부표에서는 67%로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2층 구조의 비중이 크다. 반시계 방향의 순환과 관련된 북향류의 전형적인 유속은 약 10 cm/s이다. 여기에 중첩되는 변동성으로서 국지적인 바람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는 반면에 동-서 방향의 바람에 의한 외해의 에크만 수송과 관련된 비국지적 영향은 주로 풍속이 강할 경우에 나타난다.

여자만 연성저질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Soft Bottom Macrobenthos of Yeoja Bay in Summer Season, South Coast of Korea)

  • 임현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2호
    • /
    • pp.78-91
    • /
    • 2015
  • 여자만 저서동물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87개 정점에서 2001년 7월 grab 채집을 통한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여자만은 만 중앙부를 중심으로 니질 퇴적상이 폭넓게 나타나고 있으며 하천으로부터 담수가 유입되는 하구역에서는 모래 함량이 높았다. 조사기간 동안 총 274종, 평균 2,346 개체/$m^2$$78.2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출현종수에서는 다모류가 122종(45%)으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며, 갑각류가 70종(26%), 연체동물이 57종(21%) 출현하였다. 출현종수 공간분포는 퇴적상 및 저층염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출현밀도에서도 다모류가 1,543 개체/$m^2$로서 66%를 점유하였는데 모래 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니질 및 평균 입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극피동물의 밀도는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생체량에서는 연체동물이 $44.4g/m^2$으로서 57%를 점유하였는데, 실트 및 분급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Bio-Env 분석 결과 저층염분과 모래 함량의 조합이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환경요소로 나타났다. 주요 우점종으로서는 기수성 다모류인 Minuspio japonica가 평균 1,167 개체/$m^2$로서 가장 우점하였으나 벌교천 하구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였으며, 옆새우류인 Eriopisella sechellensis의 밀도는 152 개체/$m^2$로서 여자만 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또한 다모류인 Sternaspis scutata와 이매패류의 Corbiculina sp.도 우점적으로 출현하였다. 종 다양도(H')는 여자도를 중심으로 여자만 남측해역은 3.0 이상의 값을 나타낸 반면, 북측해역은 2.0~3.0 범위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염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집괴분석 결과 5개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는데, SIMPER 분석결과 Minuspio japonica, Eriopisella sechellensis 그리고 Sternaspis scutata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여자만 입구에서부터 내만으로 들어가면서 정점군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여자만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퇴적상과 저층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자만의 저서환경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주요 우점종 및 군집 공간 분포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