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599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추이 (Trend of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 안지숙;최혜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5-28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Korean elderly.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ourth, Fifth and Six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07, KNHANES V-1, 2010, KNHANES V-2, 2014). The sample consisted of 3,668 Korean individuals aged 65 years and old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Results: The HRQoL is improving consistently and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HRQoL were the education level, activity limitation, subjective health and walking days per week in the three data of 2007, 2010, and 2014. Conclusion: A health care program focusing on improving activity limitation and physical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HRQoL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남성노인의 성생활인식도와 우울과의 관계연구 (A Correlational Study on Perceived Sex life and Depression in Old Men)

  • 김명희;이원유;이인순;정연강;권선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39-647
    • /
    • 2002
  • Purpose: Sexuality is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life in old men, but this issue has been less explored due to social prejudice.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sex life and depression perceived by old men. Method: The subjects were 370 old men who were aged over 60 and lived in a city and three province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Perception of Sex life Scale 01 items) and Depression Scale (20 item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2001 to February 2002 by written responses of the subjects to the questionnaire as well as one-to-one interview by research assistants for subjects.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data was done using SPSS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tested at 95% of confidence interval. Result: 1)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9.35{\pm}5.70$. A total of 253 subjects (68.6%) had spouse, and 191 of the subjects (52.3%) had sexual intercourse as frequently as 3 times per month. The average score for perception of sex life was $21.25{\pm}5.06$, out of the total score of 44, and that of depression was $35.08{\pm}9.29$ out of the total score of 80. 2) Perception of sex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education, disease, medication, living arrangement, marital status, presence of girlfriend, pattern of inter-coitus, pocket money age of last coitus, subjective health state, and relationship (P<0.05). 3)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education, disease. medication, living arrangement, marital status, satisfaction for marriage life, pattern of inter-coitus, feeling for change of sex life, pocket money, subjective health state, and relationship (P<0.05). 4)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sex life and depression was negative, showing that depression tended to decrease as perception of sex life increases.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depression in old men is closely related to their sex life. Positive sex life ma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old men.

  • PDF

곽향정기산가미방(藿香正氣散加味方) 투여로 호전된 아데노이드 비대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Treating Adenoidal Hypertrophy by Gwakyangjeonggisan-gamibang)

  • 이선정;박은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1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Gwakyangjeonggisangamibang on adenoidal hypertrophy. Methods The subject was a child with adenoidal hypertrophy. This patient was treated with oriental herbal medicine. The improvement was observed by subjective symptoms and A/N ratio, and OSA-18 survey was performed to compar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e symptoms of adenoidal hypertrophy were relieved. A/N ratio of this child went down from 0.9 to 0.65. Also, the significant OSA-18 score change demonstrated that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was improved.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a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herbal medicine can be an effective choice for adenoidal hypertrophy before deciding to performing an adenoidectomy.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Examin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민희 ;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
    • /
    • pp.77-99
    • /
    • 2008
  • 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 - 자율성, 능력감, 유대감 - 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이런 주장이 한국 청소년에게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장면에서 동기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경로를 추적해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자기결정이론은 부분적으로 부합했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결정력이 발달하고, 자기결정력이 발달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면 주관적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타율성을 억제하고 공부에 대한 걱정, 불안감, 경쟁심, 죄책감, 수치심 등을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결정력의 영향은 미미하였고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즉, 한국에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은 부모, 교사,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감을 맛보며, 자율적인 삶을 살 필요가 있어 보인다.

  • PDF

비염의 평가 방법에 대한 제언 ; 비교 분석 및 설립 (Proposal on the Severity Scoring System of Rhinitis ; Comparison, Analysis and Establishment)

  • 황순이;황보민;임진호;지선영;김상찬;백정한;이상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35-244
    • /
    • 2006
  • There is much confusion in the field of Rhinitis regarding how to best measure disease severity objectively, Therefore, we aimed to establish a new adequate scoring system for Rhinitis, that should be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of various scoring systems. We report as follows. We researched for data relating to severity scoring systems for rhinitis in Entrez PubMed from 1995 to 2005 and in Kiss Kstudy. Results and Conclusions: Properties of severity scoring systems were validity, sensitivity of change and ease of use. The essential items of severity scoring systems were subjective symptoms. The criterion of severity were divided into subjective symptoms and complication and Quality of Life. Intensity items are nasal obstruction, rhinorrhea, sneezing, itching, Postnasal drip, nasal mucosa swelling, nasal mucosa color, complication. Subjective symptoms is difficulty of Life. The significant items of severity scoring system are nasal symptoms. The whole score does with the maximum 30 scores. As it were, we assumed nasal symptoms accounted for around 80% of each total score, with complication and difficulty of Life representing 20%.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 Yoonho Cho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5권
    • /
    • pp.49.1-49.7
    • /
    • 2023
  •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is a state-approved statistical survey that has been conduct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RI) every 3 years since 2006 to monitor changes in the working conditions of Koreans. This cross-sectional national survey involves a sample of 50,000 employed people aged 15 or older. KWCS measures various working conditions through > 130 survey questions, including questions regarding working hours, labor intensity, work-life balance, degree of exposure to risk fact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Professional survey interviewers visit households and conduct face to face interviews. KWCS provides data and statistics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es and research in Korea. Furthermore, OSHRI holds academic conferences every year, awards high-quality academic papers, and supports researchers using data. Microdata is publicly available through the OSHRI website (https://oshri.kosha.or.kr).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Income on Subjective Quality of Life)

  • 이현송
    • 한국인구학
    • /
    • 제23권1호
    • /
    • pp.91-11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1998년에 수집한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과 만족도로 측정된 주관적 삶의 질간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가구 소득, 가족 관계, 여가활동, 주거활동, 근로활동의 5개 삶의 개별영역들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의 50% 이상을 설명되며, 수입에 대한 만족과 전반적 만족간에는 체감의 관계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자신의 생활에 보통 이하의 만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실제 소득과 소득만족도 와 의 연관 은 그렇게 크지 않으며, 이는 가구 소득의 경우에나 개인 소득의 경우에나 유사하게 실제 소득이 소득만족도의 10%정도의 변이만을 설명하고 있다. 서구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모두 외적인 조건들을 생활만족도의 설명변수로 한 희귀 분석 결과는 변량의 10%정도만을 설명할 뿐인 것으로 나타난다. 것으로 나타난다.

  • PDF

재가 장애인의 구강진료기관 이용실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Domestic Disabled People's Use of Dental Service Institutes and Their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이현옥;양춘호;김진;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93-6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구강의료서비스 이용실태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을 분석하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8년 5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전북지역 일부 재가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개별면접법을 실시하였다. 총 198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자들의 68.2%가 구강진료기관을 이용경험이 있었으며,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감각장애 모두에서 80.0%이상이 지역사회 치과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분류별 구강진료기관 방문 이유는 신체적 장애에서는 43.4%가 정기검진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정신적 장애에서는 정기검진 이 37.9%, 감각장애에서는 통증 및 파절이 43.5%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2. 연구대상자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평균 3.39점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반적인 특성에서 연령, 종교, 결혼상태, 교육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 변수에서 삶의 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강진료기관 이용경험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p=.011), 장애관련 특성에 장애정도와 장애기간에서 삶의 질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특성 변수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치과진료기과 이용실태와 장애관련 특성 변수에서는 치과진료기관 이용경험이 삶의 질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선택되었다.

  • PDF

일부지역 노인종합복지관 노인들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와의 관련성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Status in the Elderly)

  • 김은희;박민경;구인영;문선정;김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349-4358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상태와 구강건강영향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 및 구강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 연구대상은 65세이상 노인 231명으로 하였다. OHIP-14의 중위값을 산출하여 중위값(2.08) 보다 높은 그룹을 상위그룹으로, 평균보다 낮은 그룹을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구강상태를 교차분석으로 측정하였고,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주관적 구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는 현재 구강상태, 저작지장, 치통, 잇몸질환, 구강건조증, 구취 항목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저작지장, 치통, 구강건조증, 잇몸질환 경험이 높을수록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강건강 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강건강증진 예방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구강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행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f for the Elderly on Oral Health-Related of life Quality)

  • 박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71-28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 검증을 통해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구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365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1개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신체적 기능, 사회적 기능, 심리적 기능의 3개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신체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기능에는 성별,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구강건강 관심도, 저작능력, 정기적 구강검진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기능에는 흡연, 음주, 주관적 구강건강, 저작능력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만족스럽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측면 모두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기능저하 문제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준비가 필요하지만, 정책적 제도가 체계화 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노인전문 구강보건 준비대책의 필요성과 그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수립이 다각적으로 접근되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