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8초

비만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oral health)

  • 송애희;정은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9-157
    • /
    • 2018
  • 본 연구는 19세 이상 비만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상태와 행태를 분석하여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5,632명을 체질량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비만도에 따른 음주, 흡연, 구강건강상태와 행태에 대한 관련성을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남자, 60대, 저소득층, 교육수준이 낮고, 기혼에서 비만도가 높았으며, 비만자일수록 치주질환 유병이 높았고, 주관적 구강건상 상태가 더 나쁘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고려한 연구는 비만성인의 구강건강 향상에 도움이 될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만 성인에 맞는 맞춤형 구강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정기적인 교육으로 구강건강상태와 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동기유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강행태 기여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Socioeconomic Status in Perceived Oral Health and Contribution of Oral Health Behavioral Factors on Convergence)

  • 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37-343
    • /
    • 2018
  • 본 연구는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행태 요인들의 기여도에 대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자료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관성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구강건강행태를 보정했을 때 연관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구강 건강 행태요인들을 보정했을 때, 흡연, 칫솔질횟수, 구강위생용품사용, 그리고 구강검진은 사회경제적 구강건강상태의 많은 부분을 설명하였다. 주관적 구강불건강은 사회경제적 상태에서 비롯되지만 이런 차이는 구강건강행태 요인들에 따라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은 구강건강증진 행태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Cognition Using 6th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송애희;김화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49-57
    • /
    • 2017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 치주질환 및 영구치 우식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의 격차를 확인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상태에 응답한 7,639명으로 하였고, 분석방법은 복합 표본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행하였다. 결과는 연령이 높고, 가구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쁘고, 구강검사를 한 대상자는 구강건강을 좋게, 치주질환이나 영구치우식경험자는 구강건강을 나쁘게 인식하였다.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치주질환 경험자, 영구치우식경험자 등이 구강건강에 부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건강의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대전 일부 노인의 치매와 구강건강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in Some Elderly in Daejeon)

  • 고혜빈;김민경;김진영;김현수;박영서;서승현;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81-487
    • /
    • 2016
  • 본 연구는 단면조사로 노인의 구강건강과 치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편의추출된 65세 이상 노인 197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 주관적 구강건강 및 관리, 핵심음식 저작능력, OHIP-14, KDSQ를 설문조사하고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의치장착여부, 총 잔존치아수, 임플란트와 고정식보철물을 포함한 총 기능치아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KDSQ-C가 6점 이상인 치매검사 요구군에서 전신질환 유병률이 높았고,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 응답 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가 많았고, KDSQ-V와 KDSQ-D도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군과 치매검사 요구군 간의 틀니장착자율, 총 잔존치아수, 총 기능치아수, 1일 칫솔질 횟수, 치아 통증 정도, 치주질환에 대한 주관적 증상정도,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염려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치매검사 요구군이 주관적 치과치료 필요도가 높고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제한정도가 높고 핵심음식 저작능력은 낮았으며 특히 딱딱한 음식군을 저작하기 어렵하고 하였다. KDSQ-C는 OHIP-14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핵심음식 저작능력, 총 잔존치아수와는 약한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는 KDSQ-D, KDSQ-V, OHIP-14 순으로 KDSQ-C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지능력에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에 비해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는 않지만 구강건강 또한 인지능력과 일부 관계할 수 있으며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더 정교한 역학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제안한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관적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for perceived oral health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 오한나;김지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91-498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perceived oral health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9 elderly over 65 years old from the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The dependent variable wa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The perceived oral health of the unemployed elderly and those having chewing problems were 1.65-fold(95% CI=1.12=2.44) and 3.45-fold(95% CI=2.37-5.02), respectively than employed and chewable elderly. The perceived oral health of the former was 2.49-fold worse(95% CI=1.73-3.60) than the latter. Conclusions: The influencing factors of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included occupa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hewing problems. To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continuous education and hands-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he elderly in the long term care.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Correlation about Oral Health Belief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Perception Factor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 임선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01-209
    • /
    • 2019
  •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융합연구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동의한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은 유익성이 3.87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 11.9점, 5점척도인 구강건강중요성 1.50점, 구강건강관심 2.36점, 구강건강상태는 2.67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는 구강건강신념은 구강건강지식(r=0.294, p<0.01)과 구강건강상태(r=0.406, p<0.01)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의 변화와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하며, 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Awareness of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of Elders: Oral Health Items

  • Choi, Yong-Keum;Kim, Eu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7-75
    • /
    • 2019
  • Background: Dementia is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who has been living a normal life suffers from various cognitive impairments in memory, words, and judgment that considerably disrupt daily life. The oral care ability and subjective oral status of elderly individuals with dementia are lower than those of a healthy person. The oral health care of individuals admitted to nursing homes inevitably falls to nursing assistants and nursing care staff.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for oral health management items of and to provide basic direction for the future of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Methods: Elders aged 65 years and over were selected from a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A total of 15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5 items about general status, 9 items about recognition of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5 items of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oral health, and 6 ite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dementia. Results: Among our subjects, 71.0%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78.7% answered that they think they need the system, and 81.9% think that they should add dental health items to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The response to the need for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oral health items in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and oral specialists all showed scores of >4 points. The need for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oral health items, and specialists were found.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oral health care items in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so that elderly individuals with dementia can receive the needed oral health care.

청소년의 구강건강 특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융합 요인: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Convergence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of Oral health characteristics in adolescents: The 16th(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이성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27-13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건강 특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청소년건강행태조사(제16차, 2020년)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다(54,948명). 주관적 행복은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학업성적, 경제수준, 거주형태, 자살생각, 음주경험, 흡연경험, 어머니 학력)의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구강건강 특성(칫솔질 횟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외상, 통증, 잇몸출혈 경험)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융합 요인은 칫솔질 횟수(2회(OR=1.45), 3회(OR=1.53)), 점심식사 후 칫솔질(OR=1.19), 실란트경험(OR=1.08), 통증(OR=0.73), 잇몸출혈 경험(OR=0.74)이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65세 이상 노인들의 순환기계 질환 의사 진단 여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관리 행태 (Subjective Oral Health and Oral Care Behavior of Elderly People Over 65 According to the Diagnosis of Circulatory Diseases)

  • 박충무;윤현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47
    • /
    • 2022
  • Purpose : 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is increasing in the old, the relevance of oral health is gaining particular research interest.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dental servic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octors' diagnoses of circulatory diseases and patients'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oral care behaviors. Methods : SPSS 26.0 was used to assess various variables, including doctor's diagnosis of circulatory diseases, gender, age, household income quintil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marital status, subjective level of oral health awareness, mastication discomfort, speaking and chewing discomfort, dental inspection, use of oral care goods, teeth brushing during the previous day, and untreated oral conditions. Results : The circulatory diseases suffered by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56 % high blood pressure, 36 % dyslipidemia, 6 % stroke, and 8 % myocardial infarction or angina. A higher age meant a higher diagnosis rate of high blood pressure (p<.001) and stroke (p<.001). Those with dyslipidemia showed a higher rate of receiving oral inspection (p=.040), and an untreated oral condition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among those not diagnosed with the disease (p=.035). The subjects who were not diagnosed with stroke showed a higher rate of oral inspection (p<.001), while those who had a prior experience of stroke suffered a higher rate of mastication discomfort (p=.020). People who had high blood pressure showed a lower rate of using oral care goods (p<.001), and those diagnosed with stroke showed a lower rate of brushing teeth the previous day.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a correlation between the diagnosis of circulatory diseases and the awareness of oral health and oral care behavior. Consequently,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mental health-related education, and customized training to teach teeth brushing and the use of oral care goods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with circulatory diseases during dentist visits.

중학생들의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분석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ubjective oral health)

  • 이은경;조미숙;임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811-5818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주관적인 구강건강상태에 따라 구강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향후 청소년의 구강건강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2011년 3월 7일부터 2주간 중학생 1,100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학생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학년에 따라서는 2학년이 36.2%로 자신의 치아가 건강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이를 닦는 정도가 높을 수록 자신의 치아가 건강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p<0.05), 자신의 치아가 건강하다고 응답한 집단은 치과에 가는 시기는 정기적으로 1년에 1~2번 간다가 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치과 방문 목적 또한 구강검사를 위해 방문이 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따라서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질 동기부여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 또한 구강건강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가지게 함으로써 구강건강에 대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높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