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le preference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5초

의과대학생의 VARK 학습양식과 성별, 학년, 학업성취도간의 차이분석 (Assessment of VARK Learning Styles in Medical School and the Influence of Gender Status, Academic Achievement)

  • 유효현;김영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44-152
    • /
    • 2019
  • 학습양식은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하며 해석하고 조직화하는 도구를 의미한다. VARK(Visual Auditory Read Kinesthetic, VARK) 학습양식은 사용하는 감각양식에 따라 시각, 청각, 읽기/쓰기, 운동감각으로 구분된다. 국내 의과대학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강조되지만 학습자의 VARK 학습양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의과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VARK 학습양식을 조사하여 각 학습유형과 성별, 학업성취 수준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 C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394명의 학생이다. 학습양식검사는 VARK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Fleming이 개발한 VARK 검사지© 7.0 한국어버전, 총 16문항이다. 학업성취도는 표준화점수(t점수)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학습유형에 대한 빈도분석과 집단별 비교를 위한 교차분석 및 분산분석(t-test,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선호 양식은 단일형이 87명(22.1%), 다중형이 307명(77.9%)이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4개 연합형인 VARK를 가장 선호하였다. 성별에 따른 전체 학습양식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의학과 1학년은 단일형이 가장 낮고(8.8%), VARK 유형이 가장 높은 반면(47.8%), 의학과 4학년은 단일형이 가장 높고(30.7%), VARK 4개 연합유형(19.8%)과 3개 연합유형(19.8%)이 가장 낮았다. 모든 학습유형에서 학업성취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F=1.09, p=0.37). 의과대학 학생의 학습양식의 선호 결과는 추후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적용하는 기초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중국 동북 3성 스트리트 패션 분석(제1보) -2006년 봄 대련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reet Fashion in Northeast 3-Sung, China(Part I) -Focusing on 2006 Spring in Dalian-)

  • 배수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554-1564
    • /
    • 2007
  • In apparel industry, the production of clothing for the global market, has it#s origin in i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hands on working style,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of a fashion industry. These days, however, the globalized production is unable to keep pace with the short cycle of production due to the unpredictable change of the taste or demands in the local area, as a result, the industry has come to take a focus o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circumscribed region. In this stream, the northeastern area, specially, Dalian which is renowned for a center of fashion was designated as a city of this study as a representative. The cultural, racial and geographical uniqueness, asks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individual local area on the part of Korean fashion company desiring to launch into China fashion marke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style, color, and items of street fashion in Dalian. I would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e preference of fashion in northeastern area, thereby, affording a fundamental resources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in China. The period of investigation is about 5 weeks from 14 May 2006 until 18 June 2006, with combined use of camcorder and digital camera. The site was Victory Shopping Plaza, in center of city, also with Mycal, Ansung, Dasang department store situat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referred clothing styles are casual styles(68%) rather than formal styles(32%). In the casual styles, sports casual(36.0%), character casual(29.5%), jean casual(2.6%) were listed. All kinds of clothes are tightly fitted due to the stretched fabric and knit fabric. 2. Preferred colors are white(31.1%), red(16.6%), black(15.8%) khaki(7.8%) and blue(7.6%) for tops, and black(34.6%), blue(27.2%), white(15.4%), brown(14.6%) for bottoms. 3. Preferred clothing items are T-shirt(36.5%), jumper(33.6%), jacket(20.0%), blouse(8.7%), etc.(1.2%) for tops, pants(91.4%), skirts(8.6%) for bottoms. In the pants, cigarette pants(34.6%), bell bottom pants(21.0%), cargo pants(19.9%), straight pants(15.9%) were listed respectively. In the skirts, flare skirt(3.9%), tight skirt(2.2%), semi tight skirt(1.7%), pleats skirt(0.8%) were listed.

생활한복 이미지를 활용한 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A Study on the Casual Wear Design based on the Imag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 박영선
    • 복식
    • /
    • 제55권1호
    • /
    • pp.25-42
    • /
    • 2005
  • Costume is a formative art expressed by active human unlike the field of other living formativeness, and an expression of social actions based on a style of culture in a period. Therefore, costume has a deep connection with a mode of living and is recognized as a 'culture for living', and is more characteristic culture than all metaphysical cultures including architecture, craft, painting, and sculpture. Therefore, it expresses wearer's status or social standing, and furthermore, ideas and values of the times with aesthetic features in their form, color, materials, and pattern, so it is expressed as a mirror reflecting the phases of the times as. Korean costume had been dressed until th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ithout a great change and started to be simplified in a simple style on the grounds of inconvenience in behaviors with the opening of an interchange of Western culture in the civilized period. And, this movement had been continued and Korean costume had been applied as an everyday dress under the name of 'Reformed Korean Costume'. Since the middle phase of 1980s, it aroused many people's interests with the introduction of designs focused on activity and convenience. In 1990's, many people had taken a growing interest in Korean costume with development of various designs keeping pace with the internationalization period and Korean Costume had been revitalized under the nam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And, since the 21st century, the advanced communication and full-scaled import of Western fashion have made the introduction of many fashion information in the world into Korea, affected greatly the fashion market, led consumers' sensitivity on a trend to be increased. Therefore, a design accepting a trend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with fashions has risen. Secon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uggest a revitalization method of domestic casual Korean costume brands by developing and suggesting competitive and highly value-added products with connection of practicality, variety, and highly sensitive fashion styles. For theoretical study,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academic journals, professional monthly magazines, and newspapers were examined. And, a process of change and features of the Korean fashion since the civilization period, and concept, features and images of casual Korean costume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analyzing image, features, and consumers' preference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a design development plan was established and 10 suits of costume were designed and made.

한식에 대한 하와이 현지 소비자들의 평가 (Consumer Test of Korean Food in Hawaii)

  • 홍상필;이민아;김영호;신동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07-612
    • /
    • 2009
  •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현지인을 대상으로 돼지갈비, 순두부찌게, 돼지불고기, 닭볶음, 삼계탕 등 전통 한식 10개 품목에 대하여 소비자 기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총 436명이었으며 인종별로는 일본인 32.8%, 전형적 미국인(코카시언(백인)+아프리카계 미국인(흑인)) 25.3%로 주를 이루었으며 나이별로 거의 고른 분포를 보였고 성별에서는 남성이 여성 보다 20% 많았다. 기호도 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향 7.2~8.2점, 색상 7.0~8.2점, 맛 7.2~8.2점, 종합적 기호도 7.0~8.1점으로 우수하였고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돼지갈비 8.2점, 돼지불고기와 감자조림이 8.1점, 닭볶음 8.0점, 김치제육볶음 7.9, 순두부 7.6점, 잡채와 두부조림 7.5점, 오징어볶음 7.2점, 삼계탕은 7.0점의 순으로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한편, 한식 시험운영 2달 후 전체적 기호도, 음식의 양, 음식의 품질, 가격, 조화도, 추천의사, 재구매의사, 민족음식으로서의 유일성, 타민족 음식과의 차별성, take-out의 편리성에 대하여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한 바 4.1~4.6의 범위로 매우 우수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평가된 10종의 한식 품목들은 미국 하와이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한식볶음밥 소스 3종의 살균조건에 따른 일반 품질분석 및 관능평가 (Effect of Sterilization Conditions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ree Korean Fried Rice Sauces)

  • 황혜성;임수진;신광선;한재윤;이상봉;신영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60-86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볶음밥 용 해물소스, 된장버터소스, 김치토마토소스 등 3종을 살균처리 방법에 따라 이화학적 품질 분석과 일반 세균 수와 B. cereus의 검출 여부를 확인하여 미생물 안전성검사를 실시하고, 개발품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살균조건에 따른 변화를 검토하였다. 살균처리 조건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제품의 pH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도나 염도, 산도 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색상은 온도에 따라 크게 변화는 없었지만, L 값에서 된장버터가 온도가 높을수록 값이 높게 나왔고, a와 b값은 된장버터소스와 해물소스가 높게 측정되었다. 미생물검사에서는 모든 살균조건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관능평가에서는 $110^{\circ}C$에서 50분간 살균한 제품보다는 $121^{\circ}C$에서 20분간 살균한 제품이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며, 전체적인 세 가지 제품의 선호도를 순위법으로 평가한 결과, 해물소스 > 된장버터 소스 > 김치토마토소스 순으로 평가되었다.

서울시내 대학생의 외식행동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Ou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정진은;김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7
    • /
    • 200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ating ou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questionaires for 710 students(369 male, 341 female) from 11 universities in Seoul. It was revealed that 39.4% of the subjects spent $60,000{\sim}100,000$ won for monthly eating out cost and 57.8% of them ate out more than once a day. Most of them expended less than 3,500 won for lunch, while 36.5% of them spent $4,000 {\sim}5,000$ won for dinner. Dinner was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lunch. Korean foods were the most preferred menu for eating out with friends and fast foods were the second. But Boonsik(snack bar foods), Chinese foods and Japanease foods were rarely selected. Frequency of selecting fast foods was 8 times greater than that of Boonsik. This indicates that the preference of western flavor and the pursuit of convenience is getting more obvious. While dating, western foods were preferred, followed by Korean foods, fast foods. The 80 kinds of foods were reported as favored eating out foods. Although 50 among 80 were Korean foods, the rest of them were Koreanized foreign foods most of those were western style. This may suggest that when the students become adults, they will be much fond of western dish for their dinning out. This tendency of preferring western flavor were much apparent in foods for dinner compared with lunch. In both sexes, the standard of food choice was in the order of taste, price, mood, hygiene, service and brand name. But male students were more conscious of price and service while female stud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taste and hygiene. Most unsatisfying feature in restaurant was unstable atmosphere for both sexes. Taste was the most important sensory factor in selecting the foods, followed by appearance, smell and texture. Major source of restaurant information was recommendation by friends or relatives. But the use of internet or magazine was negligible. Fe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ttitude, compared with male students, in using restaurant information and pursuing eating out for gourmet. The dining out menu of which price ranges about $3,000{\sim}5,000$ won could be preferable foods for most people. Therefore, instead of blaming them for eating too much fast foods, new menus which fit the food preference and affordability of the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 PDF

중등학교 기술 수업과 기술 교사에 대한 대학 신입생의 인식 (First-year College Students' Perception toward Their Secondary School Technology Classrooms and Teachers)

  • 권혁수;모주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7-57
    • /
    • 2014
  • 이 연구는 중 고등학교 기술교육 현장의 모습을 그리기 위해 최근 중 고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직접 받았던 대학생들의 기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사용하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설문지 참가자는 2013년 입학한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범대학생 10개 학과의 224명과 비 사범대학 9개 학과의 203명을 포함한 427명으로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중 고등학교에서의 기술수업과 교사에 대한 선호도, 기술수업에서의 학습경험, 기술교사에 대한 생각, 그리고 기술교육의 개선방향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 척도와 개방형 질문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를 마친 후 개인 면담 연구 참가 중 희망자 22명 전원을 개별 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술통계와 주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결과 최근 기술교육을 받은 대학 신입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경험은 수업 내용 또는 실습 내용으로 표현되고(54.4%), 부정적인 인식(29.1%)이 긍정적인 인식(16.5%)보다 높게 나타났다.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주로 수업 내용 외 수업방법과 그들의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기술교사에 관한 인식은 보통 수준의 선호도를 보였고 교사의 수업 방법, 교사의 태도 또는 성격, 과목에 대한 흥미의 주제로 표현되었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한 기술수업에서의 수업방법은 강의식 수업(60.48%)이고 문제해결 또는 협동학습은 19.31%였다. 기술교육의 인식 향상과 발전을 위해서 가장 먼저 기술수업방법의 변화를 지적하였고, 학습 환경과 교육과정의 개선, 학습내용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술과 기술교육에 대한 다양한 대중의 인식에 관한 체계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글 로고타입의 시각적인 형태에 따른 선호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reference according to visual shape of Hangeul logotype)

  • 신윤진
    • 감성과학
    • /
    • 제12권2호
    • /
    • pp.193-204
    • /
    • 2009
  • 최근 마케팅 분야에서 기업 이미지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런데 기업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마크 중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로고마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로고타입은 심볼마크와 함께 기업의 개성과 특성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것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형태에 의한 이미지 표현이 중요시되며, 따라서 시각디자인의 조형적인 측면이 중요하게 고찰되어야 한다. 그런데 로고타입과 로고마크에 관한 조형적 측면에서의 연구, 특히 글꼴의 형태와 이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글 로고타입의 시각적인 형태와, 기업에 따라 선호되는 로고타입의 형태에 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업의 업종에 따라 선호되는 로고타입의 형태요소에 차이가 있었는데, 건설회사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줄기 굵음, 돌기 없음, 사선형 맺음, 직선곡선형 맺음이 선호되고, 은행의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돌기 없음, 사선형 맺음, 한쪽곡선형 돌기, 줄기는 중간이 선호되며, 연구소의 로고타입에서는 돋음체 계열의 몸통에 사선형 맺음, 줄기 굵음, 직선형 돌기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회사, 은행, 연구소의 로고타입 형태에 공통적으로 적용해야 할 요소는 사선형 맺음으로 나타났고, 곡선형 맺음과 줄기 얇음은 피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돌기, 맺음, 굴림은 기업의 업종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북지역 일부 청소년의 아침식사대용 쌀 기반 가정간편식 인식 및 선호도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rice-based home meal replacement for breakfast among adolescents in the Jeonbuk area)

  • 오해림;김현숙;정수진;차연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3호
    • /
    • pp.262-276
    • /
    • 202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일부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아침식사대용 쌀 기반 HMR 인식과 그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결식 여부 행태는 아침식사군 (주 4회 이상 섭취군)이 272명 (54.6%), 아침결식군 (주 3회 이하 섭취군)이 226명(45.4%)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HMR 섭취 만족도는 고등학생 (48.2%)이 중학생(39.1%)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HMR 만족도가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HMR 만족도가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 대용식의 필요성조사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p < 0.01). 아침식사 대용식으로써 쌀 기반의 한식 식사 패턴의 선호도는 아침식사자가 58.9%로 아침결식자보다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 < 0.01). 또한 조사대상자의 아침식사대용으로 쌀 기반 HMR 선호 식품은 '삼각김밥', '주먹밥', '김밥'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아침결식의 큰 이유인 '시간이 없어서'와 '입맛이 없어서'를 고려하여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아침식사대용 간편식 메뉴 개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해당 메뉴의 조리교육 및 레시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자체가 선정한 현대팔경에 나타난 경관 선호 양상 (A Local Governments' Preferences in Selecting Modern Eight Scenic Landscapes)

  • 소현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2-102
    • /
    • 2020
  • 우리나라 78개 지자체가 홈페이지에 제시한 현대팔경 78개와 팔경을 구성하는 816개 경(景)을 통해 본 경관 선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으로 선정된 자연환경 요소는 지형경관인 산, 대(臺), 암, 바위와 같은 산경요소와 하천, 해양, 호소(湖沼)경관으로 구분되는 수경요소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소나무, 은행나무, 산수유, 이팝나무 등 노거수, 가로수 길과 숲, 그리고 계절 경관을 제공하는 철쭉, 진달래, 연꽃, 갈대, 억새와 같은 식물요소가 포함된다. 둘째, 인문환경 요소로 선정된 경의 과반수가 묘역, 산성과 읍성, 전통마을, 별서누정, 사찰 등 역사문화유산이다. 다음으로 재래시장, 전시관, 테마파크, 해수욕장, 음식 거리 등 여가관광시설과 산책로, 광장, 공원, 식물원 등 녹색기반시설, 마지막으로 목장, 폐탄광, 철도역, 항구, 다리 등의 산업유산이 경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현대팔경에는 지역 대표시설, 특산물, 축제처럼 조망과 관련 없는 대상이 포함되었다. 넷째, 현대팔경의 과반수가 8개 경으로 구성되었지만, 홍보대상을 늘리기 위하여 20개, 38개, 100개로 구성된 것도 있다. 다섯째, 전래팔경과 현대팔경을 함께 소개하고, 주제를 달리한 두 개의 현대팔경을 만든 경우,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여 현대팔경을 선정하는 등 여러 개의 현대팔경을 제시한 지자체가 있다. 또한 한 개의 경에 다수의 장소명을 넣은 경우도 많다. 여섯째, 경의 명칭에 '낙안(落雁)'을 사용한 소상전형과 '효종(曉鐘)', '낙조', '일몰', '야경', '여명', '일출'을 명칭에 넣고 경관과 구름, 노을, 달, 눈을 표현한 소상유사형 현대팔경, 관광 행태를 드러내는 명소체험형 현대팔경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은 장소의 명칭만으로 인지도를 높인 명승형 현대팔경이다. 일곱째, 현대팔경의 명명 방식은 경물과 경색을 명시한 한자를 조합한 소상팔경식 명명 대신 글자 숫자만 네 개로 맞춘 경우, 장소를 특화하는 수식어를 넣은 경우 등으로 다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