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yela clava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5초

미더덕 양식보험 상품화 방안 연구 (A Study on Commercialization of Styela clava HERDMAN aquaculture Insurance)

  • 송정헌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2호
    • /
    • pp.607-6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cept of merchandising Styela clava HERDMAN developed in 2016.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nalyzing the general condition of Styela clava HERDMAN, We intend to promote stabl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aquaculture by activating the aquaculture insurance system by expanding coverage items and coverage, and increasing insurance coverage.

조리에 따른 미더덕의 생리기능성 효과 변화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es of Two Ascidians,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by Cooking)

  • 차용준;이희영;정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13
    • /
    • 2008
  • 본 연구는 미더덕류의 새로운 가공제품 개발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미더덕과 흰멍게 생시료 및 가열조리 후의 생리기능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DPPH소거능으로서의 항산화능($EDA_{50}$)은 생시료에서는 미더덕(8.46 mg/ml)이 흰멍게(12.05 mg/ml) 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나, 가열조리 후에는 흰멍게는 생시료보다 오히려 1.3배 활성이 증가하였고, 미더덕에서는 70%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생 미더덕은 B. subtilis, B. cereus 및 E. coli에서 항균활성 이 나타났으며, 가열조리 후에는 E. coli를 제외하고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흰멍게는 가열 후에도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S. typhimurium 균을 제외한 모든 균에 활성이 있었으며, 농도 (1,000-1,500 ppm)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ACE저해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전용해능은 항산화능과 마찬가지로 생시료는 미더덕이 활성이 높았고, 가열 조리후에는 흰멍게의 경우 1.4배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미더덕(Styela clava)으로부터 분리.정제한 carotenoprotein의 특성에 과한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arotenoprotein from Style clava)

  • 이안종;김용태;김세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50-263
    • /
    • 1996
  • In this study Carotenoprotein from Styela clava were extracted, and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fraction, Sephadex G- 200 gel chromatography and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rography. The purified carotenoprotein from styela clava had absorption maxima of 487nm, 463nm and 280nm, and the carotenoid liberated from carotenoprotein had 478nm and 452nm with inflexion. One miligram of caroteno-protein contained 0.35 $\mu$g of carotenoid. The carotenoprotein had an approximate molecular weight of 398 kDa (gel filtration). SDS-PAGE showed only a single polypeptide chain with a molecular weight of 62.4 kDa.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carotenoprotein were mainly glutamic acid(11.48%), valine(10.75%), leucine (10.45%), aspartic acid(9.94%), while cysteine and tryptophan were not found. The carotenoprotein contained lipid as structure units. In the carotenoprotein, the major fatty acids were oleic acid, plamitoleic acid and palmiunsaturated fatty acids 33.6%, saturated fatty acids 18.6%. In addition, the levels of higher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 as much as 30.8% of the total fatty acids. Carotenoid was extracted from the carotenoprotein by acetone. Thin layer chromatography showed only carotenoid to be present. Its chemical reactivities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were studied and elucidated as astaxanthin.

  • PDF

미더덕 함유 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clava)

  • 박선민;이보배;황영만;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7호
    • /
    • pp.908-911
    • /
    • 2006
  • 고품질의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성, 항균성 및 항산화작용이 있는 미더덕 (Styela clava)을 각각 0, 5, 10, 15 및 20%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더덕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미더덕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강도, 경도, 점착성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20%를 제외한 전 군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맛과 조직감, 색깔 면에 있어서 다른 것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더덕은 어묵에 첨가하는 것은 관능적으로 5% 정도의 적당한 양만 첨가한다면 물성적, 영양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진동만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어장적지평가 (Suitable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in Jindong Bay)

  • 조윤식;홍석진;이원찬;김형철;김정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97-60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더덕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의 진동만 10개 정점에 대하여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양식순기에 맞추어 계절별(7월, 10월, 1월, 4월)로 실시하였으며, 어장 서식지 적합지수를 위한 어장평가인자로 수온, 클로로필 a, 부유입자물질, 해수유동, 염분, 용존산소 포화도를 이용하였다.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성장과 어장환경 상관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각 인자들에 대한 그래프가 작성되었으며, 서식지 적합지수 산정결과 진동만의 서쪽해역(HSI 0.32~0.41)이 동쪽해역(HSI 0.19~0.27)보다 높은 적합지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더덕과 주름미더덕의 단위생산량과 유의한 상관성($R^2$=0.834, P<0.01)이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어장적지평가를 통하여 지속적인 생산성을 위한 어장관리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ibacterial Sulfated Alkene from a Tunicate, Styela clava

  • Yun, So-Mi;Jang, Jun-Ho;Ryu, Ji-Eun;Choi, Byeong-Dae;Lee, Jong-S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32-134
    • /
    • 2007
  • An analog of antibacterial sulfated alkene against Bacillus subtilis was isolated from a species of tunicate (Mideoduck), Styela clava, cultured at Jindong Bay, Korea. The structure was determined as 4,8-dimethyl-3-nonenyl sulfate by MS and spectral analysis such as UV IR and NMR.

수산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미더덕껍질 용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Styela clava Tunic for Fishery Waste Recycling)

  • 이상미;강은진;고태훈;정성윤;박근태;이희섭;황대연;정영진;손홍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14
  • Styela clava tunic is generated in large amounts as a waste from S. clava processing plants and causes environmental problem. Although biological activities of S. clava were reported by many investigators, study on S. clava tunic was little. In this study, therefore, tyrosinase inhib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 clava tunic using different solvent were investigated for recycling of the fishery waste. Among extraction methods tested, autoclaved extraction (25.7%) and hot water extraction (18.2%) appeared to be effective for extraction.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was 46.6 mg/g in autoclaved extract while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was 23.0 mg/g in chloroform extract. All extracts possesse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nd the inhibition activity was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concentration ($IC_{50}$) against tyrosinase activity was $0.36{\times}10^4$ mg/ml in ethanol extract, $0.11{\times}10^3$ mg/ml in acetone extract and 0.27 mg/ml in n-butanol extract. Among extracts tested, hot water and autoclaved extracts displaye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organic solvent extracts. Therefore, our data suggest that extract from S. clava tunic may potential candidate for cosmetic product with whitening effect and medicine for diseases caused by various oxidative stresses.

Anti-inflammatory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Styela clava flesh tissu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and in vivo zebrafish model

  • Ko, Seok-Chun;Jeon, You-J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19-226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In this study, potenti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Styela clava flesh tissue was assessed via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ahride (LPS) induced RAW 264.7 macrophages and in vivo zebrafish model. MATERIALS/METHODS: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Styela clava flesh tissue to inhibit LPS-induce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macrophages, and the molecular mechanism through which this inhibition occurred. In addition, we evaluate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s against a LPS-exposed in in vivo zebrafish model. RESULTS: Among the enzymatic hydrolysates, Protamex-proteolytic hydrolysate exhibited the highest NO inhibitory effect and was fractionated into three ranges of molecular weight by using ultrafiltration (UF) membranes (MWCO 5 kDa and 10 kDa). The above 10 kDa fraction down-regulated LPS-induced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thereby reducing production of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in LPS-activated RAW 264.7 macrophages. The above 10 kDa fraction suppressed LPS-induce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 $(IL)-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 addition, the above 10 kDa fraction inhibited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c-Jun N-terminal kinase (JNK), and p38. Furthermore, NO production in live zebrafish induced by LPS was reduced by addition of the above 10 kDa fraction from S. clava enzymatic hydrolysat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hydrolysates derived from S. clava flesh tissue would be new anti-inflammation materials in functional resources.

GIS 기반의 미더덕 SFG(Scope for Growth)를 이용한 양식장의 적지선정 (GIS-Based Suitable Site Selection for Aquaculture Using Scope for Growth of Styela Clava)

  • 박정현;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81-90
    • /
    • 2013
  • 본 연구는 GIS를 기반으로 한 미더덕 SFG를 이용하여 미더덕 양식장의 적지를 선정하는데 있다. 미더덕 양식은 2001년 15,084M/T의 생산량을 기록하였으나 2005년 1,412M/T로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후 연간생산량은 조금씩 증가하여 2012년 2,484M/T를 나타냈으나 여전히 초기 생산물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SFG는 환경과 생물간의 상호연관성을 나타내고 양식생물의 성장도를 나타낸다. SFG 개념을 이용하여 GIS 기반의 적지선정이 가능하며, 양식장의 지속적인 생산성확보를 위한 어장관리시스템 구축에 활용할 수가 있다. 진동만 미더덕 양식장에 대한 GIS 기반의 미더덕 SFG를 이용한 적지 선정을 하여본 결과 해역 전체의 SFG는 0.054~0.57J/day의 범위를 보였으며, 대상해역과 중첩시킨 미더덕 양식장의 SFG 역시 0.054~0.57J/day로 분포하고 있다. 또한 미더덕 양식장의 SFG와 실제 생산량의 상관성 r=0.786, p<0.05 로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GIS 기반 양식장의 서식지적합도 산정을 통한 어장관리시스템 구축은 양식장의 적지선정과 양식장의 지속가능한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경의 변동과 양식생물성장의 인과관계를 객관화 할 수 있는 체계를 도입함으로서, 지속적인 어장관리를 위한 의사결정방안을 도출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