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geology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8초

Micro/macro properties of geomaterials: a homogenization method for viscoelastic problem

  • Ichikawa, Yasuaki;Wang, Jianguo;Jeong, Gyo-Cheo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권6호
    • /
    • pp.631-644
    • /
    • 1996
  • Geomaterials such as soil and rock are composed of discrete elements of microstructures with different grains and microcracks. The studies of these microstructures are of increasing interest in geophys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relating to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We first show experimental results undertaken for direct observation of micro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by using a newly developed experimental system, and next a homogenization method for treating a viscoelastic behavior of a polycrystalline rock.

구조모델을 이용한 암석의 유효열전도도 분석 (Analyzing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Rocks Using Structural Models)

  • 차장환;구민호;김영석;이영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2호
    • /
    • pp.171-180
    • /
    • 2011
  • 화강암, 사암, 편마암으로 구성된 21개 암석시료를 대상으로 열전도도를 측정하고, XRD 정량분석을 통해 구성광물의 조성을 파악하였으며, 구조모델 이용하여 석영 함량 및 광물입자의 크기가 암석의 유효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측정된 열전도도는 석영 함량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 ($R^2=0.75$), 석영 함량으로부터 열전도도를 추정할 수 있는 선형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화강암 및 변성암 일부 시료의 경우 유사한 석영 함량에도 불구하고 열전도도가 크게 다른 값을 보였는데, 이는 주로 광물업자의 크기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델을 통한 분석 결과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경우 열전도도는 scries와 EMT모델의 중간 영역에 해당하는 값을 보이며, 입자가 커지면서 EMT모델, ME모델을 거쳐 Parallel모델에 근접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열전달 구조모델의 변화는 입자의 크기에 따른 열전도도 변화가 3 mm 두께의 원반시편을 이용하는 실험 규모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즉, 얇은 원반 시료를 이용하여 암석의 열전도도를 측정할 경우 규모효과에 의하여 실제 지반의 값보다 과대평가될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광물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이러한 오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지열과 관련된 다양한 해석 모델에서 실험실 측정값을 실제 현장규모에서의 대표값으로 사용할 경우 모델의 예측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의 내진설계법 및 내진성능 평가법의 소개 (Introduction of the Building Standard Law of Japan and the Performance-Based Seismic Design Methodology)

  • 전대한;노필성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1-348
    • /
    • 2002
  • This manuscript introduces the Building Standard Law of Japan revised at 2000, June. Recently, The Building Standard Law of Japan was revised into the performance-based design format following the trend of international. The structural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two limiting states; serviceability and soundness limit state, and safety limit state. The design earthquake force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ismic activities of the construction site, taking into consideration (a)characteristics of focal mechanism, (b)amplification by local surfaces geology, and (c)soil-structure interaction, in addition to the properties of the planned building including scale, configuration, foundation system,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 PDF

Bathymetry and Morphotectonic Ele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of Korea

  • Suk, Bong-Chool;Anosov, G.I.;Semakin, V.P.;Svarichevsky, A.S.
    •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10
    • /
    • 1996
  • A detailed bathymetric map is used to construct a morphotectonic map of the Ulleung Basin. The definition of "morphotectonics" and the procedure of the morphotectonic mapping are described in detail. The morphotectonic structural elements of various orders and ranks are also determined using echo-sounding and other geophysical data. Preliminary analysis shows that the newly determined morpho-structural elements coincide with the locations of deeper tectonic features established by the geophysical evidences of the inner sedimentary and/or crustal sections. Therefore, the tectonic zone of the Ulleung Basin has imprinted the patterns of the inherited evolution since Neogene.e Neogene.

  • PDF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지역 평창-정선일대 지질구조의 기하학적 형태 해석 (Sturctural Geometry of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Okcheon Belt)

  • 장이랑;정희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541-554
    • /
    • 2019
  • 옥천대 태백산지역은 한반도의 지각 진화 과정 동안 중첩된 다변형 조산운동의 증거를 보존하고 있는 주요 습곡-단층대 가운데 하나로, 북서부의 평창-정선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의 주천지역 및 남쪽의 영월지역이 각각 단층 경계로 구분되며, 층서 및 지질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지층들의 이러한 지역적 차이와 지구조 운동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구조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 발간된 평창지역 지질도들에서 지질연대가 상이하게 제안된 시대미상 퇴적암체에 대한 연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해당 암체가 후기 고생대 평안누층군에 대비되는 지층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대 결과와 야외조사를 통해 획득한 구조요소 자료를 종합하여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보존되어 있는 지질구조들의 기하학적 형태를 해석하였다. 이 지역의 가장 주된 지질구조는 북동-남서 방향의 힌지를 가지는 광역 규모의 정선대향사로, 지동리배사, 남병산향사 및 임하리배사 등과 같은 이차습곡구조들을 수반한다. 하반구 투영 및 하향 투영 단면 해석 결과, 정선대향사는 힌지가 남부에서는 남쪽으로, 북부에서는 북쪽으로 완만하게 침강하는 향사형 극융 형태의 이중 침강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지질도 상에서 연구지역 남부와 북부의 지질구조의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나 복잡하게 보이는 것은 침강하는 힌지로 인해 지질도 상에 노출되는 이차습곡들의 구조적 높이가 달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평창지역과 정선지역 고생대 지층의 분포를 규제하는 지질구조가 광역 규모의 정선대향사이고, 동익부인 정선지역에서만 보고된 행매층 및 회동리층이 서익부인 평창지역에서도 확인됨을 고려할 때, 향후 평창지역의 행매층 및 회동리층에 대한 상세 연구를 통해 습곡 등과 같은 구조 운동에 의한 이들의 대칭 반복 가능성에 대해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소위(所謂)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의 층서(層序)에 관(關)한 고찰(考察) (A Discussion on the Stratigraphy of the so-called Great Limestone Series)

  • 손치무
    • 자원환경지질
    • /
    • 제6권4호
    • /
    • pp.219-230
    • /
    • 1973
  • This paper reviews Professor O.J. Kim's work on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in South Korea". Although he stated in his paper such as "very few geologists in Korea argue without confident evidences against the age and stratigraphy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which have been rather well established previously in most parts of the regions", he disregarded the Jeongseon type of the Joseon (Chosen) System and modified the Yeongweol and the Pyeongchang types. According to his description, the Jeongseon type is not a different type and it is only due to structural repetition of the Hwajeol and Dumudong Formations of the Duwibong type and its Maggol Limestone. Also, he devided the Sambangsan Formation of the Yeongweol type into the east and west parts along the so-called Jeolgaesan fault, and they are correlated to the Hongjeom Series and Sesong Slate (Seison Slate) of Kobayashi, respectively. Furthermore he established newly Yeongweol type which includes the original Kobayashi's Yeongweol type and the Upper Limestone of the Pyeongchang type. Also, he pointed out that his newly established Yeongweol type is quite correlatable to the Duwibong type. The writer's opinion can be concluded that the Jeongseon type is not simply of structural repetition and structurely the Sambangsan Formation can not be devided into two parts. Also structurely there is no evidence of its correlation to the Sesong Slate as well as his conodont study in his Yeongweol type shows no indication of the correlation. The writer thinks that as to the stratigraphy of the Yeongweol and Jeongseon types of the Joseon System, it should be agreed with the Kobayashi's opinion or should be followed the idea of the very few geologists, he mentioned.

  • PDF

장군광산(將軍鑛山)의 연(鉛)·아연(亞鉛)·은(銀) 및 철(鐵) 광상(鑛床)의 성인(成因)과 지질구조(地質構造)와의 관계(關係) - 광상(鑛床) 생성(生成)의 지질구조(地質構造) 규제(規制)와 모암(母岩)의 변질(變質) - (Genesis of the Lead-Zinc-Silver and Iron Deposits of the Janggun Mine, as Related to Their Structural Features Structural Control and Wall Rock Alteration of Ore-Formation)

  • 이현구;고석주;나오야 이마이
    • 자원환경지질
    • /
    • 제23권2호
    • /
    • pp.161-181
    • /
    • 1990
  • The lead-zinc-silver-iron deposits from the Janggun mine are of hydrothermal-metasomatic origin, characterized by the marked hydrothermal alteration of the wallrocks, such as hydrothermal manganese enrichment of carbonate rocks, silicification, chloritization, sericitization, montmorillonitization and argillic alteration. The ore deposits have been emplaced within the Janggun Limestone of Cambro-Ordovician age at the immediate contacts with apophyses injected from the Chunyang Granite plutons of Late Jurrasic age. They have been structurally controlled by fractures in the carbonate rocks and the irregular intrusive contacts of granitic rocks, and are closely associated with hypogene manganese carbonate deposits. In the mine nine seperate orebodies are being mined. On the basis of the petrological study,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of this mine may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zones from wallrock to orebody. (I) Primary calcite and dolomite zone${\rightarrow}$(II) dolomitic limestone zone${\rightarrow}$(III) dolomitic zone${\rightarrow}$(IV) rhodochrosite zone${\rightarrow}$ orebody. There was not recongnized Mn and Fe elements in the primary calcite and dolomite zone. But, in the dolomitic limestone and dolomite zone, calcite and dolomite were subjected to weak hydrothermal manganese enrichment and the grade of the manganese enrichment increase oreward. By means of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it was found that manganoan dolomite occured between primary dolomite grains, cross the cleavage of the primary dolomite and around the dolomite grains. Above these result supports that the Janggun manganese carbonate deposits are of hydrothermal metasomatic origin.

  • PDF

암반의 구조적 및 공학적 특성을 고려한 가용절취량 산정 (Estimation of Usable Cut-out Volume Considering the Structural and Engineering Properties of Rock Mass)

  • 이창섭;홍관석;조태진
    • 지질공학
    • /
    • 제11권1호
    • /
    • pp.101-113
    • /
    • 2001
  • 절취암의 물량산정과 사석의 절취 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욕망산 인근지역의 지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경상분지 동남부의 지질구조를 지배하는 양산단층대의 말단에 위치하여 안산암질암, 유문암질암 등의 화산암류와 이를 관입하고 있는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단층들은 분포된 절리의 간격과 빈도수 그리고 절리면 압축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절리빈도는 단층면 인접지역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고 단층에서 멀어짐에 따라 감소된다. 지질조사를 기초로하여 구조도를 작성하고 이를 활용한 채취물량의 산정 결과 현장의 공사에 필요한 암편의 최소 크기를 고려할 때 채취 물량은 암반(기반암)체적의 61%인 4,018,000m$^3$이며, 표토와 풍화암이 포함된 욕망산 체적의 48%에 해당된다.

  • PDF

소규모수도시설의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 구축 및 가뭄 대응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ater Supply and Demand Monitoring System and Drought Response Plan of Small-scale Water Facilities)

  • 최정렬;정일문;조현재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469-481
    • /
    • 2019
  • 가뭄으로 인한 제한급수나 단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물 복지 소외지역의 불편과 경제적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Sand Dam 건설과 같은 구조적 안정화 방안과 더불어 합리적 수요/공급량 관리 등을 통한 비구조적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수도시설이 생활용수의 주 공급원인 춘천시 서상리 유역의 가뭄대응을 위해 공급량-수요량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였다. 공급량 모니터링을 위해 상류부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의 매개변수 보정에 사용하여 일별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수요량 모니터링을 위하여 하천-저수조-가정으로 이어지는 용수 공급 네트워크를 작성하였으며, 저수조의 수위 변화를 측정하여 일별 사용량을 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일별 공급량과 수요량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용수 부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가뭄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에너지 손실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정량적 철산화수 측정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e-oxidation State by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EELS))

  • 양기호;김진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2호
    • /
    • pp.189-194
    • /
    • 2012
  • 생지화학적 반응으로 생성된 광물은 화학적 혹은 구조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광물형성의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서는 고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나노스케일 분석이 불가피 하다. 투과전자현미경에 장착되어있는 전자에너지 손실분광 분석법 (EELS)을 이용하여 미생물-광물반응 시 일어나는 현상을 두 가지의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자 한다. 1) 철 환원 박테리아에 의한 논트로나이트 의 일라이트 로의 전이; 2) 자철석의 환원으로 인한 능철석의 형성. 특히 철산화/환원의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시간적 변화에 따른 철 산화도 측정은 생지화학적 광물변화에 대한연구를 용이하게 해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EELS의 분석방법 및 장점을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