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cture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5초

가정내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과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 (The actual type of domestic safety accident of children and the safety knowledge according to variables of parents)

  • 김지영;김나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54-461
    • /
    • 2017
  • 본 연구목적은 가정에서 발생한 유아의 안전사고 유형을 조사하고, 부모의 변인에 따른 안전지식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 I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3-5세 자녀를 둔 부모 총 22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 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및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거의 대다수의 가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고, 6개월 동안 평균 1.78회 정도 안전사고가 일어났다. 유아의 안전사고는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 충돌 및 충격에 의한 사고, 협착이나 끼임 사고, 추락사고, 찔림과 베임 사고, 화상, 이물질 삼킴과 흡입사고 순으로 발생되었다. 둘째, 부모 모두 '평균 정도 수준'의 안전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추락'과 '응급처치' 영역에서 안전지식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업주부인 어머니가 취업한 어머니보다 전반적인 안전지식과 '화상'에 대한 안전지식이 높았다. 아버지의 연령에 따라 '화재' 영역에서 안전지식의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안전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안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일개 대학병원에서의 소아 위장관 내시경 시술의 최근 경험 (Changes in Pediatric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view of a Recent Hospital Experience)

  • 박경희;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1호
    • /
    • pp.20-27
    • /
    • 2007
  • 목 적: 소아에서 위장관 내시경 시술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고 내시경 기술과 적응증이 확대되고 있으나 이러한 변화를 분석한 보고가 매우 드물어 한 병원에서 최근 시행된 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소아에서 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4년 6개월 동안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받았던 1,0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력지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총 1,040예의 내시경 검사가 시행되었고 상부 위장관 검사가 840예, 하부 위장관 검사가 200예였다. 결 과: 환자의 남녀비는 1.25:1이었다. 환자의 평균 연령이 $8.5{\pm}2.1$세였고 신생아와 영아가 6.0%를 차지하였으며 5세 이하가 절반을 차지하였다. 상부 위장관(UGI) 및 하부 위장관(LGI)의 진단적 내시경 검사는 각각 634명과 163명에서 시행되었다. UGI 검사의 주된 적응증은 복통(38.8%), 구토(19.4%), 이물(17.7%), 토혈(10.3%) 등이었고, LGI 검사의 주된 적응증은 혈변(56.0%), 복통(27.5%), 설사(3.0%) 등이었다. UGI 치료적 내시경술의 종류로는 이물 제거(148예), 식도 협착에 대한 풍선 확장술(27예), 경피 내시경하 위루술(15예), 내시경적 식도 정맥류 결찰술(3예)이 있었다. LGI 치료적 내시경술은 37명에서 시행되었으며 용종절제술이 34예,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술이 3예였다. 내시경술의 합병증으로 식도, 위, 대장의 천공이 각각 1예씩 있었고, 호흡 곤란이 4예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위장관 내시경 검사는 소아의 위장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전 연령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었다. 나이 어린 환자에서의 검사 빈도와 하부 위장관 검사, 다양한 종류의 치료적 내시경 시술이 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소아 신질환에서 치료후 신기능회복에 대한 $^{99m}Tc$-DMSA 신티그램의 임상적 고찰 ($^{99m}Tc$-DMSA Scintigram for Renal Function Recovery after Therapy in Infants and Children)

  • 문태용;손현주;김인주;윤종병;이석홍;김병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9-74
    • /
    • 1994
  • 유소아 신질환에서 치료후 신기능회복을 관찰하기 위하여 $^{99m}Tc$-DMSA 신스캔을 추적 검사하였다. 치료전과 치료후에 $^{99m}Tc$-DMSA 신스캔을 시행한 9세 이하의 유소아환자는 15명 20예였다. 이들중 10명이 방광요관역류증으로 코헨식요관방광조구술을, 2명의 수신증은 신우성형술을, 1명은 좌요관신우연결부협착증으로 항생제로 치료하였다. $^{99m}Tc$-DMSA 신스캔상 정량적 신섭취율은 y=0.591x-2.105의 회귀 방정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질병에 이환되어 치료를 받은 환신은 모두 29개였으며, 치료후 $^{99m}Tc$-DMSA 신스캔상 섭취증가를 나타내어 신기능 회복으로 나타내었던 신장은 20개 (69%)였다. 신기능회복소견을 보였던 예들은 연령에 따른 회복의 차이도 없고 치료후 시간경과에 따른 회복의 차이도 없었다. 유소아 신질환에서 $^{99m}Tc$-DMSA 신스캔은 측정상의 큰 오차로 치료후 미세한 신기능회복을 평가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만삭아에 발생한 괴사성 장염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Term Infants)

  • 김대연;김성철;김경모;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9권1호
    • /
    • pp.19-23
    • /
    • 2003
  •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is usually a disease of premature infants, but occasionally it affects the term neonate. Twenty-five infants with NEC were treated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2, and 13 of them were term infants. In each case, the diagnosis of NEC was established by a clinical illness fulfilling the Bell's stage II or III NEC as modified by Walsh or by surgical findings. There were six males and seven females. The birth weight was from 1,960 to 3,700 g. The age at diagnosis was from 1 to 40 days. Four patients had congenital heart disease: one of who had hypothyroidism and cleft palate. Abdominal distension was present in all, and bloody stools in four. One patient had history of hypoglycemia, three had Rota viral infection. Eight patients had leucopoenia (<$5.0{\times}10^9/L$), seven had thrombocytopenia (<$100{\times}10^9/L$), and three severe thrombocytopenia (<$50{\times}10^9/L$). Laparotomy was required in 10 of the 13 patients. Indications for operation in the acute phase were failure to respond to aggressive medical therapy in five, and perforation in three patients. There were two late phase operations for intestinal stricture and fistula. There were no operative complications. Ten of thirteen patients survived (76.9%). Two patients died of septic complication. There was a delayed death due to heart failu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according to platelet count ($50{\times}10^9/L$) (p<0.05).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Rota viral infection are associated with NEC in term infants and thrombocytopenia and leucopoenia may be surgical indications.

  • PDF

하부 요관결석 환자에서 Dormia Stone Dislodger를 이용한 경뇨도적 요관배석술의 의의 (Transurethral Dormia Dislodging in Patients with Lower Ureteral Stone)

  • 김은길;서준규;김영수;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81-85
    • /
    • 1985
  • 저자들은 하부 요관결석에서 경뇨도적배석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1983년 9월부터 1985년 8월까지 만 2 년동안 영남대학병원 비뇨기과에 입원한 하부 요관결석 환자중 결석의 크기가 1.0cm 이하이며 방광경 조작의 적응이 되는 37명에서 Dormia stone dislodger를 이용한 경뇨도적 배석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7명의 환자중 16명에서 결석이 조작 즉시 배출되었고, 5명에서는 유치한 catheter 제거시 동시에 배출되었으며, 4명에서는 조작후 l 주이내에 자연배출되어 68%의 성공률을 얻었다. 2. 결석의 크기에 따른 성공률은 결석의 장경이 0.4cm 이하인 경우 77%, 0.4~0.6cm인 경우 58%, 0.6cm 이상에서 33%로서 결석의 크기가 작을수록 성공율이 높았다. 3. 합병증으로는 배석기의 파손으로 요관 절석술을 시행한 1례, 요관협착으로 중등도의 수신증이 병발한 1례, 지속적인 혈뇨가 생긴 1례로서 8.1%의 합병증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1.0cm 이하의 하부 요관결석에서 경뇨도적 요관배석술을 시행하여 비교적 높은 성공률과 낮은 합병증률을 보였다. 이에 저자들은 하부 요관결석 환자에서, 특히 결석의 크기가 작고 반복적인 동통이 동반된 경우에는 일차적으로 경뇨도적 요관배석술을 시행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 PDF

Type II Mirizzi 증후군 1례 (A CASE OF TYPE II7 MIRIZZI SYNDROME)

  • 김홍진;이주형;신명준;권굉보;장재천;정문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97-202
    • /
    • 1990
  • 저자들은 최근 4일간의 우측 상복부 동통 및 경미한 황달을 주소로 내원한 71세 남자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경피적 간담관조영술, 복부 초음파검사, 간기능 검사, 복강 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Type II Mirizzi 증후군으로 진단된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Nd-YAG laser를 이용한 기관협착 동물모델의 개발 (A Canine Model of Tracheal Stenosis Using Nd-YAG Laser)

  • 김진국;서지영;정만표;권오정;서수원;김호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54-61
    • /
    • 2002
  • 배 경 :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일정한 수준의 상기도 협착을 일으킬 수 있다면 이에 대한 임상교육에도 도움이 되며 새로운 진단법이나 치료법의 개발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한국산 잡견을 이용하여 Nd-YAG Laser 소작술로 기관 협착을 일정하게 유도하는데 성공하여, 이에 대해 기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체중 22kg 정도의 한국산 잡견 6마리를 전신마취 시킨 후,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4개의 기관 연골환의 전방부 180도를 $8946{\pm}2484$ Joule로 소작 하였다. 실험 동물은 매 1주마다 4주 동안 기관지내시경으로 기관 협착 정도를 관찰하였고, 병리학적 검사를 같이 시행하였다. 결 과 : 시판 협착은 레이저 소작 2주 후부터 시작되어 3주후까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소작 4주 후에 가장 심한 양상을 보였다, 모든 실험 동물은 제 3주가 지나 심한 호흡곤란과 천명음, 식욕부진 및 체중 감소를 보였고, 이중 2마리는 호흡부전으로 4주가 되기 전에 사망하였다. 병리 육안소견상 소작 부위의 기관 연골이 소설되고 섬유조직으로 치환되어 외경도 감소되어 있었고, 현미경 소견에서 연골이 소실되고 섬유화 조직이 협착을 일으켜 내경이 감소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 론 : 이러한 기도 협착 동물 모델은 향후 기도 협착의 이해, 교육, 새로운 진단 및 치료법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위장관문합 및 봉합 시 인공 흡수성 단사인 Glycoside-$\varepsilon$- 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혼성중합체의 안정성 및 유용성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 Glycoside-$\varepsilon$-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Interpolymer, in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and Closure)

  • 이혁준;김윤호;양한광;이건욱;최국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2호
    • /
    • pp.93-96
    • /
    • 2003
  • Purpose: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s offer excellent glide characteristics and cause minimal tissue trauma as a result of their smooth monofilament structure and gradual absorption within the healing tissues. For these reasons, these suture materials are commonly used in various surgical fields such as gastroenterology, urology, gynecology, and plastic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afety and usefulness of a new synthetic absorbable monofilament, Glycoside-..-caprolactone-trimethylene carbonate interpolymer (GCT), in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and closur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55 gastrointestinal anastomoses and closures using GCT $MONOSYN^{R}$, B. Braun, Germany) in 4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surgery between December 2001 and May 2002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characteristics, operative procedure, surgeon's opinion of handling properties of GCT, and sut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ere 34 males and 13 females (M:F= 2.6:1) with an average age of 54.2 years old. Forty-five cases of gastrointestinal anastomosis (20 gastrojejunostomies and 25 jejunojejunostomies) and 10 cases of intestinal closure (7 gastrostomy closures and 3 duodenal stump closures) were performed in 41 cases of stomach cancer, three of peptic ulcer disease, two of GIST, and one MALToma. The handling properties of GC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knot breaking load, knot security, and placing property were always scored with 7 to 9 points (10=excellent, 1=very poor). Two cases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6\%$) were noted. One was a leak of the gastrojejunostomy site which was successfully managed conservatively, and the other was a stricture of the gastrojejunostomy site which was managed by reoperation (side-to-side jejunojejunostomy). Conclusion: GCT seems to be an applicable suture material for various gastrointestinal anastomoses and closures.

  • PDF

원전 화학제염을 위한 모의크러드 제조방법 연구 (Study on the Synthesis Method of Simulated CRUD for Chemical Decontamination in NPPs)

  • 강덕원;김진길;김경숙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1-97
    • /
    • 2010
  •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가동년수 경과에 따른 방사능 오염증가로 제염공정에 대한 관심은 점차 점증되어 가고 있다. 화학제염은 방사성폐기물의 생성과 방사선량율을 낮추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앞서, 원전 주요 계통 및 부품 등의 화학제염을 위해서는 대상 재질에 적합한 산화제 및 제염제를 우선 선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염대상물 혹은 제염대상 계통에서 채취한 크러드에 대한 각종 분석을 실시하여 크러드의 화학조성 및 결정구조에 대한 정보를 확보해야 하나 실제적으로 방사능을 띤 계통으로부터 시료를 직접 채취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한 극히 제한된 방사능을 띠고 있는 부식산화물의 자료만을 얻을 수 있다. 크러드의 조성은 모재의 성분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재장전 주기에 따라서도 차이가 많다. 따라서 가능한 한 제염대상을 선정한 다음 제염대상으로 채취한 크러드에 대한 각종 분석자료를 확보하거나 분석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미확보 시료에 대한 대안으로 모의크러드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 언급하였다. 금속 산화물과 금속 수화물이 12가지의 각기 다른 방법으로 실제 시료와 유사한 화학조성과 결정구조를 지닌 모의크러드의 합성에 사용되어졌다. CRUD#4(압력용기속의 금속산화물)와 CRUD#10(하이드라진 전 처리후 도가니속의 금속산화물)시료가 Type 1, 2에 대해 가장 양호하게 합성되어졌다. 이들 크러드 시료들은 특별한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짧은 시간 내에 반응이 이루어지고 많은 량의 시료를 쉽게 합성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제염제와 제염공정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추 신경공 골성 협착에서 CT 재구성 각도 연구 (Study of Computed Tomography Reconstruction Angle of Bony Stenosis of the Cervical Foramen)

  • 김연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919-925
    • /
    • 2022
  • 본 연구는 경추 CT 검사 후에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사위 관상면(oblique coronal) 재구성 각도에 따라서 신경공 골성 협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재구성 각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추의 정중시상면과 구추관절에서 척수 중심을 지나는 선을 그어 만들어지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신경공에서 척수 중심을 지나는 선을 그어, 정중시상면과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경추 4-5 레벨에서는 평균 9.2°, 경추 5-6 레벨에서는 평균 9.9°, 경추 6-7 레벨에서는 평균 8.4° 로 구추관절각보다 돌기사이관절각이 크게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으로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하부 경추로 갈수록 각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하부 경추(C5-6, C6-7)의 신경공과 척수 중심이 이루는 각은 55~60° 사이이며, 여기에 90°가 되도록 사위 관상면 영상을 재구성하면 신경공협착 정도가 잘 관찰된다. 기존 CT 스캔 영상을 이용한 재구성 영상이므로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을 받지 않으면서, 경추 신경공 골성 협착을 진단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