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ngthening repair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2초

강판, 탄소섬유쉬트, 탄소섬유판으로 휨보강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조적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R/C Slabs Strengthened with Steel Plate, Carbon fiber sheets, and Carbon Fiber Laminate.)

  • 이영재;문희중;이경언;정란;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논문집(II)
    • /
    • pp.601-606
    • /
    • 1998
  • In recent years, strengthening by steel plate, carbon fiber sheets, and carbon fiber laminate in spotlighted in order to repair and rehabilitation of R/C slabs. In this study, 3 method of rehabilitation are analyzed from the tests. Test parameters are the width of cracks, the method of repair and rehabilitation, the magnitude of pre-load. Deflection, failure load, strains of reinforcing bar, strains of sheet and plates are measured during tests. The failure mode and separption load analyzed from these measured data.

  • PDF

철근, 강판 및 CFRP를 적용한 R/C보의 보강효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ngthening Effect of R/C Beams with Rebar, Steel Plate of CFRP)

  • 심종성;황의승;최완철;배인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6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3-327
    • /
    • 1996
  • Reinforced concrete(R/C) structures need repair and rehabilitation due to the deterioration such as a crack, spalling and disintergration. Numerous repair material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construction fields without any regulation are examined in terms of their serviceabilities and effectiveness. In this paper section of existing R/C beams are enlarged with repair materials, that is, epoxy, latex or premix. And then they are strengthened with rebar, steel poate of CFRP on the tension face. Structural behaviors of strengthened beams are investigated both statically and dynamically and they are compared with each. This paper summarizes the overall research plan.

  • PDF

접착 패칭된 박-후판 결합형 보강판의 피로균열성장 거동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of the Thin-to-Thick Type Stiffened Panels with Bonded Patch)

  • 이환우;김승현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9-95
    • /
    • 2008
  • Fatigue cracked components often needs to be repaired during service. Standard repair schemes involve strengthening the component by connecting reinforcing members by means of rivets or welding by reducing the crack-tip stress intensity factors.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and adhesive bonding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repair scheme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various shape parameters on fatigue crack growth in the CCT type uniform thickness plates and the thin-ta-thick type stiffened panels repaired with woven fabric type Kevlar-Epoxy composite patch are studied experimentally.

폴리머계로 보수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성능 평가 (An Evaluation on the Flexural Strength of Concrete Beams Repaired by Polymer Resin)

  • 김병국;신영수;홍기섭;홍영균;최완철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07-112
    • /
    • 1997
  • A series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was tested to evaluate the flexural performance of the repaired RC beams. The key parameters for this study wer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patch, and the repair materials, including polymer, polymer-cementitious and cementitious materials. The repaired specimens failed by a typical flexural mode with minor interfacial bond failure. Beams repaired with polymer, polymer-cementitious and cementitious materials recover 100%, 91%, and 97% of the flexural strength respectively, while beams with cement mortar lose approximately 30% of the strength. Compared with the pressure injection techniques the specimens repaired with patching techniques show low flexural strength, with significant interfacial bond failure. Location and size of the repaired part do not affect the recovering performance. Interfacial behavior between repair and strengthening materials is the major influencing factor for the composite structures.

  • PDF

폴리아크릴 레진 누수보수재의 선정평가 후 현장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Effect of Evaluation before Site Application of Poly-acrylic Resin Leakage Repair Materials)

  • 조일규;안기원;송제영;오상근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5-61
    • /
    • 2018
  • This study improved the water repair materials of the polyacrylic system applied to concrete structures by controlling expansion, strengthening water resistance, and improving cohesiveness. The improved polyacrylate repair materials were evaluated against the existing products to verify their performance and level of improvement, and applied on-site to the concrete structures that are leaking the improved water. The verification method measured the presence of water leak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concrete inside. Moisture levels were measured for two months before and after material installation, and at least 0.8 - 1.7% of humidity was reduced after installing polyacrylic resin, and no leakage was found.

RC보에 대한 FRP-Aluminum 유공복합보의 보강성능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FRP-Aluminum Composite Hollow Beam Under the Fire)

  • 이재익;최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53-160
    • /
    • 2010
  •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성능이 저하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보수 보강 공법이 요구된다. 현재 다양한 공법과 신소재를 이용한 보강법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최근에 섬유보강 복합체(FRP)를 이용한 보강공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FRP-알루미늄 유공복합보로 보강된 RC보의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전가력으로 손상시킨 RC보에 FRP-알루미늄 유공복합보로 보강후 화재노출시킨 결과, 손상율이 높아질수록 화재노출에 더욱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보강효과가 떨어짐을 실험결과 나타났다.

4각형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 단면 변형을 통한 CFS Jacketing 보강방법 개발 (Development of CFS Jacketing Retrofit Method for Rectangular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by Cross Sectional Shape Modification)

  • 이종길;김장호;박석균;김진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53-161
    • /
    • 2010
  • 1970년대에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지어진 많은 구조물과 빌딩은 안전성과 사용성을 고려하여 무수히 많은 연구를 현재까지 진행해 왔으나, 설계강도 보다 낮은 최대강도를 보이고 있다. 현재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들에 대한 다양한 보수 보강 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구조물의 특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단지 기존 부재와 보수 재료의 부착에 관한 연구와 기존 부재를 효과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수 보강 재료를 이용한 효율적인 강도증진 방법에 대한 연구, 보강 재료와 기존 부재 사이의 거동에 대해 부족했던 연구를 보완하고자 한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기 때문에 부재의 단면을 축소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자중 또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거대한 구조물 건설에 사용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 보강에 대한 방법 연구 역시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보수 보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각단명 형상을 가진 기둥을 팔각단면으로 형상 변형을 통해 CFS로 보수 보강하여 단면 형상이 변함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 CFS로 보강된 고강도 콘크리트(HSC) 기둥의 강도 증대 효과와 파괴 거동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Sprayed FRP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강성능에 관한 연구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Sprayed Fiber Reinforced Polymers)

  • 이강석;손영선;이문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421-431
    • /
    • 2007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유리 및 탄소단섬유 (chopped fiber)와 에폭시 및 비닐에스터수지 (resin)를 외기에서 혼합하여 요철이 많은 콘크리트 표면에 고속의 압찰 공기로 랜덤하게 분사하여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새로운 공법, 즉 sprayed FRP 보수보강 공법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sprayed FRP 보강을 위한 치적의 재료 물성치를 제시하고자 유리 및 탄소단섬유의 길이, 단섬유와 에폭시 및 비닐에스터수지의 배합 비율 등을 주요변수로 설정하여 재료 인장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재료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sprayed FRP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휨 보, 전단 보 및 손상 보의 보강 성능을 실험적 연구를 토대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유리 및 탄소단섬유의 길이 38 mm, 섬유와 수지의 배합 비율 1 : 2가 최적 물성치로 제안되었으며, sprayed FRP의 휨 및 전단 보의 보강 효과는 기존 FRP sheet와 유사한 보강 효과를 나타냈으며, 손상 보의 경우 최대 강도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보강 보와 동등한 보강 효과가 나타났다. 기존 FRP 설계식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해본 결과, sprayed FRP 휨실험체의 경우 기존설계식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전단실험체의 경우는 전단강도 저감계수 ${\alpha}=0.18$이 실험값과 근접한 범위 내에서 안전 측으로 설계가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수중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한 수중 접착제, 에폭시와 섬유복합재의 개발 (Development of Underwater Adhesive, Epoxy, and FRP Composite for Repair and Strengthening of Underwater Structure)

  • 김성배;이나현;남진원;변근주;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49-158
    • /
    • 2010
  • 현재 육상 노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에는 많은 신기술이 개발되었고 연구도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수중에 존치되어 있는 구조물, 즉 교각, 부두 잔교 및 강관파일과 같이 해수 및 수중에 잠겨 있으며, 지속적인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및 강재의 보수보강 기술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해수나 수중에 있는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중 에폭시를 개발하였고, 이 에폭시 재료와 보강섬유을 이용하여 수중용 FRP 복합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재료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초물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개발된 에폭시는 수중에서도 풀림이 거의 없고 부유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수중이라는 제약 조건 속에서도 30,000 cps 이상의 높은 점성을 갖기 때문에 우수한 작업성을 보이며, 수중에서도 육상에서와 거의 유사한 2 MPa 이상의 부착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화학성 시험 결과에서도 중량변화율은 약 0.5~1.0% 이내로 측정되어 우수한 내염 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롤빔에 카본플레이트를 보강한 강재의 일체적거동 및 강성보강효과 (Test on the strengthening effects and behavior of Roll beam with Stiffened carbon-plate)

  • Sung, IkHy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392-3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구조물에 대한 보수와 복구에 보강을 위하여 복합재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재의 개념에도 부합하는 탄소섬유보강재를 이용하여 기존금속재와 접합(접착방식)을 통한 강도증진효과를 연구하였다. 특히 실험을 통하여 강-탄소섬유보강재로 이루어진 복합재 거동을 파악하였으며 여기에 적절한 시험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접합재로 레진을 도포하는 방법을 달리하고 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면처리가 다른 시험편을 각각 고려하여 시험한 결과 강성보강효과는 물론 일체거동의 특성이 잘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