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wberrie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7초

딸기 전조재배 온실의 인공광 설치실태 및 조도분포 조사분석 (Current Status of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 김태한;장익주;이경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1호
    • /
    • pp.19-24
    • /
    • 1999
  • Motivated by the need for developing the more efficient lighting system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in the greenhouse, this paper aims at acquiring and suggesting more concrete and scientific foundation of illuminating position, numbers of light source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lighting system and illumination distribution in the greenhouse for light culture of strawberries.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ing below: 1. The types of lighting system used in the greenhouse producing strawberries were classified as 1 line and 2 lines lighting system. 2. As for the arranging types of artificial light, 2 lines lighting system, were classified as Z-type, N-type and W-type. (Refer Fig. 3) 3. The results of illumination distribution for Z-type, N-type and W-type of 2 lines illuminating system in the greenhouse with a small size tunnel measured at the height of 1.5m from the ground with 220V, 100W lamp in 6m light gap showed that maximum illuminance are 961x, 1211x, 1251x, minimum illuminance are 4.41x, 4.71x, average illuminance are 33.71x, 43.11x, 44.51x and standard deviations are 28.31x, 35.41x, 38.31x at each types. 4. Proportion of the area below optimal illuminance to floor area at the two lines illuminating system of Z-, N-, and W-type in greenhouse were appeared as 39.4%, 26.0% and 26.3%, respectively. Also proportion of the area over optimal illuminance to floor area at the two lines illuminating system of Z-, N-, W-type in greenhouse were appeared as 16.8%, 14% and 14.7%, respectively. Thus N-type was superior to the others from the view points of optimal illumination distribution and energy saving.

  • PDF

과일류의 염소 소독 농도 및 세척 횟수에 따른 미생물 제거 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Washing and Chlorine Treatments on Fresh Fruits)

  • 박종숙;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6-18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microbiological effects of chlorin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fresh fruits, in order to improve microbiological safety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Non-peeled fruit(strawberries) and peeled fruit(banana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inated water and rinsing numbers, followed by microbiological testing. The fruits were immers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hlorinated water(0 ppm, 50 ppm, and 100 ppm) and durations(3 min and 5 min), and were then rinsed with tap water(one time, two times, or three times). The total viable cell counts of both the strawberries and bananas ranged from $10^3$ CFU/g to $10^4$ CFU/g, and coliform levels ranged from $10^2$ CFU/g to $10^3$ CFU/g. As the chlorine concentration, immersion time, and rinsing number increased, anti-microbiological activity increased. The largest microbial reduction was shown with immersion for 5 min in 100 ppm chlorinated water and three rinsings. In the strawberries, this treatment reduced the initial population of total viable cells and coliforms by 3.29 log CFU/g and to an undetectable level, respectively, no total viable cells or coliforms were detected on the banana surface following this treatment. However, after a sterilization treatment with immersion for 5 min in 50 ppm chlorinated water and three rinsings, the total viable cell counts and coliform counts of the strawberries and bananas decreased to acceptable levels, based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for ready-to-eat foods. Overall, it was shown tha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of 50 ppm chlorinated water, soaking for 5 min, and three rinsings provided an effective reduction in surface microbes, and enhanced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fruit.

딸기의 수확 후 CO2처리와 모의 수출과정 중 상품성 변화 (A Potential of Postharvest CO2 Treatment on the Market Quality of Strawberries during Simulated Export)

  • 이학재;김기철;박일용;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24-31
    • /
    • 2002
  • 본 연구는 수출용 딸기에 대한 실용적 $CO_2$ 처리방안을 도입하여 수출단계에서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CO_2$ 처리에 따른 경도 증진 효과는 과숙한 과실에서 더욱 컸으나 과실의 실제적인 경도는 미숙한 과실에서 높아 미숙과에 대한 처리 효과가 실용적인 가치가 있었다. 처리조건은 수확한 과실을 예냉실에 넣어 냉각시키고 15% 이상의 $CO_2$에 4시간 이상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였으며 $CO_2$ 처리의 잔류효과는 모의 선적 및 소매과정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과숙한 과실에서는 소매과정을 부여할 때 과피면이 검붉게 변하여 상품가치를 상실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농가 소유의 소형 저온실을 활용하여 간편하게 $CO_2$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수출은 물론 국내 유통에서 품질 증진을 위한 수확 후 처리기술로 활용 가능성이 있었다.

  • PDF

시설재배 딸기와 오이 중 농약잔류에 관한 조사 연구 (A Monitoring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Strawberries and Cucumbers from plastic Film Houses)

  • 이해근;김영구;박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88
  • 농작물중 농약 잔류량조사 계획의 일환으로 전국주요시설 재배지에서 채취한 딸기와 오이 각 50점과 서울시 소재 5개 슈퍼마켓에서 시판되는 딸기를 수집, 농약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딸기에서는 일부 시료에서 procymidone, chlorothalonil. captan, diazinon, ${\alpha}-endosulfan$ 등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조사최대치의 경우에도 잔류허용기준의 1/79~1/2 에 불과하였다. Malathion, Fenitrothion, parthion 등 유기인계 살충제는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시판 딸기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오이에서는 유기인계 살충제가 전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기타 살균제의 검출빈도는 딸기와 비슷하였으나 잔류수준은 다소 낮은 경향이었다. 딸기와 오이 중 검출 빈도와 잔류수준이 비교적 높았던 농약은 procymidone과 chlorothalonil로서 이들의 조사최대치도 잔류허용기준에 크게 미달되고 있어 현재로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수일에 의한 딸기중 잔류농약의 경감효과는 38~95%로서 상당부분이 제거 되었다. 딸기 잿빛 곰팡이병 방제약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procymidone이나 dichloflanid에 대한 농약잔류향조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었으며, 아울러 본 조사연구는 금후 이들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PDF

Strawberry Harvesting Robot for Bench-type Cultivation

  • Han, Kil-Su;Kim, Si-Chan;Lee, Young-Bum;Kim, Sang-Chul;Im, Dong-Hyuk;Choi, Hong-Ki;Hwang, Heo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1호
    • /
    • pp.65-74
    • /
    • 2012
  • Purpose: An autonomous robot was developed for harvesting strawberries cultivated in bench-type systems. Methods: The harvest robot consisted of four main components: an autonomous vehicle, a manipulator with four degrees of freedom (DOF), an end effector with two DOFs, and a color computer vision system. Strawberry detection was performed based on 3D image and distanc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tereo CCD color camera and a laser device, respectively. Results: In this work, a Cartesian type manipulator system was designed, including an intermediate revolute axis and a double driven arm-based joint axis, so that it could generate collision-free motions during harvesting. A DC servomotor-driven end-effector, consisting of a gripper and a cutter, was designed for gripping and cutting the strawberry stem without damaging the strawberry itself. Real-time position tracking algorithms were developed to detect, recognize, trace, and approach strawberries under natural light conditions. Conclusion: The developed robot system could harvest a strawberry within 7 seconds without damag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at Domestic Farms of South Korea

  • Kim, Won-Il;Jo, A-Ra;Kim, Se-Ri;Ryu, Song Hee;Nam, Ki-Woong;Yoon, Yohan;Yoon, Deok-Hoon;Oh, So-Yong;Nam, Myeong Hyeon;Ryu, Jae-Gee;Kim, Hwang-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37-442
    • /
    • 2014
  • Foodborne illness due to the consumption of contaminated raw strawberries is a continuing food safety concer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evaluated contamination levels of bacteria on strawberries at farms stage to evaluate potential hazards associated with fresh strawberries. A total of 315 samples, 105 samples from 5 sampling sites (A to E) of 21 farms and 210 samples from 1 sampling site of 6 farms, was collected every month for four months and analyzed to enumerate aerobic bacterial counts, Coliforms/E. coli,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ddition, the prevalence study of five pathogens (S. aureus,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performed on each sample. Aerobic bacterial counts ranged from 0.48 to 6.36 Log CFU/g, with the highest bacterial cell counts recorded for D and E sites. Coliforms were detected in 71 samples (22.5%) with a minimum of 0.48 cfu/g and a maximum of more than 4 Log CFU/g. B. cereus was detected in 98 samples (31.1%) among total samples analyzed. S. aureus was detected in 2 samples with a minimum of 0.48 Log CFU/g and a maximum of 1.38 Log CFU/g.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isolated from any of the samples.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determined in this study may be used as the fundamental data for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고산소 환경기체조절 포장조건에 따른 설향 딸기의 저장 중 품질변화 (Storage Quality of Sulhyang Strawberries as Affected by High O2 Atmosphere Packaging)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1-198
    • /
    • 2013
  • 신선한 딸기 상품의 유통, 판매 중 부패억제 및 품질유지를 위한 고산소 환경기체조절 포장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국내산 설향 품종의 딸기를 대상으로 다양한 산소농도 조건을 적용하여 플라스틱 포장용기에 밀봉한 후 $5^{\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와 미생물 생균수를 살펴보았다. 고산소 조건에서 딸기의 호흡률은 $O_2$ 함량이 높을수록 $O_2$ 소비율은 증가하지만 $CO_2$ 생성율은 크게 다르지 않은 비정상적인 호기호흡이 일어났다. 저온저장 중 포장 내부의 기체조성은 $O_2$의 경우 초기 $O_2$ 농도가 높을수록 저장 중 높게 유지되었으나 $CO_2$$O_2$ 농도에 상관없이 고농도로 축적되었다. 딸기의 품질인자 가운데 생체중량은 대조구인 통기 포장구에서만 3.0% 이상 감소하였고 기체조성에 상관없이 밀폐 포장구에서는 1% 이하로 유지되었다. 과육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경도, 과피 표면색 변화에서도 산소농도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한편, 통기 포장구에서는 곰팡이 발생률이 높았던 반면 병원성 미생물의 생균수가 가장 낮았고, 짓무름 현상이 많았던 밀폐 포장구에서는 통기 포장구와 상반된 미생물 동태 양상을 나타내었다. 딸기의 외관 변화는 저장 6일까지 40%, 60% $O_2$의 고산소 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이후에는 오히려 PE 밀봉포장구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고, 전반적으로는 저장 중 6-15% 저산소와 7-9% 고이산화탄소의 MA 조건이 형성된 PE 필름포장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어 고산소 조건의 차단성포장보다는 딸기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육성 주요 딸기 품종에서 발생하는 붕소 과잉 증상 및 영양진단을 위한 식물체 내 한계농도 (Characterization of Toxicity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Threshold Levels of Bor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Domestically Bred Strawberries)

  • 최종명;남민호;김대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44-151
    • /
    • 2012
  • 미량원소인 붕소(B)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한 관비용액으로 '금향', '매향' 및 '설향' 딸기를 재배하면서 시비수준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의 한계농도, 그리고 B 과잉시비로 유발되는 생리장해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0.25mM B 시비구에서 세 종류 딸기 품종의 생체중 및 건물 중이 가장 무거웠고 관부직경도 가장 굵었지만 B 시비농도가 높아짐에 지상부 생장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B가 과다하게 시비되면 신생엽에서는 황화현상, 중간에 위치한 잎들에서는 잎 가장자리의 갈변 및 괴사현상, 그리고 하위엽들이 괴사하면서 안쪽으로 말리는 증상이 나타났다. 하위엽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금향'의 경우 2mM 이상의 처리구, '매향'과 '설향'은 0.5mM 이상의 시비구에서 잎 선단부의 갈변 및 괴사, 그리고 잎 내부에 갈변 및 괴사현상이 나타났다. B 시비농도가 증가하여도 다량원소중 양이온인 K, Ca 및 Mg 함량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음이온인 인산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B 시비농도가 증가할 때 '금향'과 '설향' 딸기에서 Fe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Z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건물중에 기초한 지상부 생장량의 90%와 이 때의 B 함량을 정상생육을 위한 최대한계점으로 간주할 때 '금향', '매향' 및 '설향' 딸기에서 식물체내 B 함량이 각각 25.1, 44.2 및 $62.5mg{\cdot}kg^{-1}$ 이하를 유지하도록 B 시비농도를 조절하여야 과잉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경엽 및 관주 처리에 따른 딸기 중 침투성 농약 잔류패턴 비교 (Comparison of residue patterns between foliar application and drenching in export strawberry)

  • 이효섭;홍수명;권혜영;김단비;문병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13-319
    • /
    • 2017
  • 딸기는 한국의 주요 농산물 중 하나로 매년 3,000만 달러 이상이 수출된다. 그러나 농산물 안전은 최근 농업 무역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려면 적절하게 농약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딸기는 고설재배를 이용해 경작하는 곳이 많아지고 있는데 점적관수를 이용해 수분, 양분 및 농약을 관주 처리하여 투여하고 있다. 농약을 살포 할 때 관주 처리는 경엽처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잔류농약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딸기 중 농약을 관주처리 및 경엽처리 하였을 때, 농약의 잔류량을 경시적으로 비교 하였다. 농약을 농약안전사용기준량 및 두배량으로 처리 한 후 0, 3, 6, 9, 13, 16 및 21 일에 수집한 후 $-18^{\circ}C$에서 보관 하였다. 샘플을 LLE(액체-액체 추출) 및 QuEChERS의 전처리 후 LC 및 LC-MS/MS로 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주 처리 한 딸기는 모든 처리구에서 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농약을 경엽 처리와 관주 처리 하였을 때 딸기의 잔류량 차이는 carbendazim의 경우 5-27배 정도 경엽처리가 높았고, azoxystrobin은 관주처리 시 불검출 되어 비교할 수 없었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동결건조과일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Freeze-dried Fruits)

  • 최수정;윤영민;한인준;김재경;박종흠;이주운;류은순;육홍선;김재훈;송범석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4
    • /
    • 2012
  • The quality properties of freeze-dried apples, pears, strawberries and pineapples gamma-irradiated at 0, 1, 2, 3, 4, and 5 kGy were evaluated to develop germ-free products for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e initial count of total aerobic bacteria in non-irradiated apples, pears, strawberries and pineapple was 2.5, 3.1, 2.6, and $3.2{\log}\;CFU{\cdot}g^{-1}$, respectively. Microorganisms were not observed in apples after 1 kGy, in pears and strawberries after 4 kGy, and in pineapples at 5 kGy within a detection limit of $10{\log}\;CFU{\cdot}g^{-1}$.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of each sample was confirmed at the same dose. The score for the overall acceptance of freeze-dried fruit irradiated at a sterilization dose was 5.5 for apples, 4.1 for pineapples, and 4.0 for the other fruits, whereas that of non-irradiated control sample was 5.6 for apples, 5.2 for pears, and 5.8 for strawberries and pineapples with a 7-point scale. As a result, gamma irradiation of 1 kGy for apples, 4 kGy for strawberries and pears, and 5 kGy for pineapples is sufficient to sterilize each freeze-dried fruit with acceptable sensory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