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disorder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1초

The Potassium to Magnesium Ratio Enables the Prediction of Internal Browning Disorder during Cold Storage of Asian Pears

  • Seo, Ho-Jin;Chen, Po-An;Lin, Shu-Yen;Choi, Jin-Ho;Kim, Wol-Soo;Haung, Tzu-Bin;Roan, Su-Feng;Chen, Iou-Ze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4호
    • /
    • pp.535-541
    • /
    • 2015
  • 'Taichung No. 2' is a new Asian pear cultivar developed in Taiwan with low chilling requirement; however, is likely to develop internal browning disorder under low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s.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torage time on flesh browning disorder in pears harvested from 22 orchards in 2010 and 2011, and analyzed the levels of nutrients in different fruit parts such as the peel, flesh, and core.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s were higher in the flesh and peel, respectively, of more severely browned fruits, whereas a lower magnesium content was recorded in the peel and core of these fruits. Nitrogen and potassium contents in the peel, and calcium content in the fles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rowning disorder severity. By contrast, the magnesium content in the 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rowning disorder severity. However, the nutrient contents in fruits varied between the two sampling years considered. Only the K/Mg ratio was an effective predictor of the browning disorder severity and showed a positive linear correlation in the two years. We recommend that the K/Mg ratio should be lower than 10 to avoid severe browning disorder in p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Stem Disorder and the Accumulation of Vegetative Storage Protein in Soybean

  • Zhang, Jiuning;Katsube-Tanaka, Tomoyuki;Shiraiwa, Tats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22
    • /
    • 2019
  • Green stem disorder (GSD)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characterized by delayed senescence of stems with normal pod ripening and seed maturation (Hobbs, 2006). GSD complicates harvesting of soybeans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difficulty in cutting the affected plants. There is also the potential for moisture in the stems to be scattered on the seed, reducing the grade and storability of the seed. Not only the cause of GSD is yet unknown, but also GSD cannot be evaluated until maturity, therefore the method to evaluate GSD in early growth stage with high sensitivity is necessary.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vegetative storage protein (VSP) accumulates and the syndrome of GSD appears in soybean after depod treatment (Fischer, 1999). Soybean VSP is a storage protein which is abundant in young sink leaves and degraded during seed fill (Wittenbach, 1982). Hence, we have established a system to quantify VSP of high sensitivity by using standard protein made by genetically transformed E. coli and specific antibody against VSP,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SP and GSD, by depod experiment and drought/excess wet experiments. The result of depod experiment with the cultivar 'Yukihomare' was the same with the previous studies, VSP accumulated much more than control and the syndrome of GSD appeared in soybean in depod treatment. Drought and excess wet had different impact on GSD. Excess wet caused GSD of the cultivar 'Tachinagaha (GSD susceptible)', while drought caused a little syndrome of GSD in the cultivar 'Touhoku 129 (GSD resistant)'. The accumulation of VSP differed between the two cultivars over time. In conclusion, the accumulation of VSP came along with the emergence of GSD. Different cultivars showed different response to drought and excess we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dynamics of VSP will be elucidated in detail,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technology for green stem disorder and the elucidation of mechanism of soybean GSD.

  • PDF

신고' 배 저온 저장중 발생하는 얼룩과 원인 및 방지 (Causal Factors of Black Stain during Cold Storage of Pear(Pyrus pyrifolia cv.Niitaka) and Its Postharvest Control)

  • 홍윤표;정대성;이승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47-453
    • /
    • 2003
  • 얼룩과는 배 재배중에 사용하는 봉지 종류에 따라 수확시발생률이 다른데 흡습성과 투기성이 불량한 이중 봉지인 신문 봉지를 사용한 경우 수확시 발생률이 75%로 가장 높았으며 저온 저장중에는 습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생하여 저장 180일까지 폴리에틸렌 필름 밀봉구에서 54~100% 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얼룩과 발생이 많아져 관행 수확기보다 일주일 빠른 9월 하순에 수확한 배보다 10월 초순이나 10월 중순에 수확한 배는 저장중에 각각 1.5, 2.4배나 높은 발생률을 보였고 저장중 폴리에틸렌 필름두께에 따라서는 얼룩과 발생률이 차이가 없었다. 얼룩과의 발현 원인이 미생물로 추정되어 과피에서 분리균을 채취, 배양하여 형태적으로 관찰한 결과, 원인균은 Gloeodes pomigena와 유사한 균으로 추정되었다. 저온 저장고 내에서 0.1~0.5ppm의 오존 가스를 처리하면 저장 180일까지 얼룩과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얼룩과 발생 이후에 오존 가스를 처리해도 얼룩과의 진전을 막을 수 있었다.

Controlled atmosphere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기체조성 변화가 조생 '후지' 사과의 저장 중 품질 및 내부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atmosphere conditions on the quality and internal disorder of early season 'Fuji' apples during storage)

  • 천호현;박석호;최동수;최승렬;김진세;이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1-138
    • /
    • 2016
  • 본 연구는 CA 저장시스템 및 기체치환 기밀 챔버를 개발하여 조생 '후지' 사과의 저온저장 중 기체 환경 조성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변화 및 내부갈변 장해 발생률 구명에 따른 국산 사과의 CA 저장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70일 저장 후 경도는 CA 조건 챔버에 저장된 사과 시료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중량감소율은 1~5% $CO_2+0.5{\sim}2%$ $O_2$ CA 조건 및 95% RH 습도로 설정된 챔버의 시료가 0.49~0.53%을 나타내어 대조구의 1.02%보다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한편, 적정산도와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챔버 1~8에 저장된 사과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내부장해 발생은 일반 저온저장한 대조구(챔버 8)가 2%를 나타냈으며 1% $CO_2+2%$ $O_2$ CA 조건(챔버 1)에서는 약 4%의 내부 갈변장해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3~5% $CO_2+2%$ $O_2$ CA 조건(챔버 4~6)에서는 20~26%의 높은 내부갈변 장해발생률을 보였기 때문에 조생 '후지' 사과의 경우 CA 저장 시 $CO_2$ 농도를 2% 미만으로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1% $CO_2+2%$ $O_2$ CA 조건 및 95% $RH+0^{\circ}C$ 저장환경에서 사과의 호흡억제 및 숙성 노화지연 등으로 계획된 기간 동안 품질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품종의 국산 사과의 CA 저장기술 실용화를 위해 재배지역 및 수확시기 등에 따른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분석과 소비자 기호도 조사의 데이터베이스화하여 CA 저장 장해극복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Panic Disorder Intelligent Health System based on IoT and Context-aware

  • Huan, Meng;Kang, Yun-Jeong;Lee, Sang-won;Choi, Dong-O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21-30
    • /
    • 2021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a lot of medical data is effectively used, and the diagnosis and analysis of diseases has entered the era of intelligence. With the increasing public health awareness, ordinary citizens have also put forward new demands for panic disorder health services. Specifically, people hope to predict the risk of panic disorder as soon as possible and grasp their own condition without leaving home. Against this backdrop, the smart health industry comes into being. In the Internet age, a lot of panic disorder health data has been accumulated, such as diagnostic records, medical record information and electronic files. At the same time, various health monitoring devices emerge one after another, enabling the collection and storage of personal daily health information at any time. How to use the above data to provide people with convenient panic disorder self-assessment services and reduce the incidence of panic disorder in China has become an urgent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applies the context awareness to the automatic diagnosis of human diseases. While helping patients find diseases early and get treatment timely, it can effectively assist doctors in making correct diagnosis of diseases and reduce the probability of misdiagnosis and missed diagnosis.

피막제(被膜劑)가 사과 '쓰가루' 과실(果實)의 저장(貯藏)과 유통중(流通中)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ruit Coatings on the Marketable Quality in 'Tsugaru' Apples during Storage and Simulated Marketing)

  • 황용수;이재창;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36-144
    • /
    • 1992
  • 본 연구는 과실피막제(果實被膜劑)가 조생종 '쓰가루' 사과의 저장(貯藏)과 유통(流通) 중의 신선도(新鮮度)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므로 '쓰가루' 사과의 유통기간(流通期間) 연장방안(延長方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쓰가루' 사과에 대한 수확후(收穫後) 피막제(被膜劑) 처리(處理)는 저장 및 저장 후 유통과정에서의 상품성(商品性) 유지(維持)에 효과적이었다. 저장전(貯藏前) 처리(處理)에서는 wax피막제(被膜劑)의 무게 감량(減量) 방지 효과가 탁월하였는데 처리농도가 높은 것이 (2배(倍) 희석(稀釋)) 감량방지(減量防止) 효과가 높았으며 wax 종류간에는 수용성(水溶性) wax가 같은 농도에서 용매용해성(溶媒溶解性)보다 다소 우수하였다. 저장 전 Prolong처리는 무게감량방지 및 경도 유지면에서 wax보다 낮았으나 저장후(貯藏後) 처리시 wax보다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피막제 종류에 따라 처리시기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쓰가루' 저장 중 탄산(炭酸)가스 유사장해(類似障害)가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장해의 직접적인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쓰가루' 사과의 저장을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추후 장해 발생 원인과 대책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 PDF

신품종 배 '감천'과 '추황'의 수확시기에 따른 저장반응 (Storage Response of 'Kamchun' and 'Chuhwang' Pears by Harvest Dates)

  • 황용수;천종필;이재창;서정학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1호
    • /
    • pp.48-53
    • /
    • 2001
  • 본 연구는 신품종 '감천'과 '추황' 배 과실에 있어 수확시기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하여 이들 품종의 수확 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감천'은 대과로서 당도는 13.2% 이상으로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높았고 산도는 0.082% 이하로 낮아 전반적인 품질이 우수하였고 저장 중 과피 흑변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지만 과심 갈변이 10월 중순 이후 수확한 과실에서 40% 정도로 높게 발생하였다. '추황'은 경도가 높고 산함량이 높으며 저장 중 과피 흑변이 수확시기에 관계없이 80% 이상 높게 발생하였고 과육갈변도 조기 수확한 과실에서 심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수확 후 생리적 장해를 회피할 수 있는 적절한 수확시기와 이들 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수확 후 관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스마트센서를 활용한 근골격계 질환 위험 평가 플랫폼 (A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Assessment Platform using Smart Sensor)

  • 노병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93-99
    • /
    • 2015
  • Economic burde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WMDs) is increasing. Known causes of WMDs include improper posture, repetition, load, and temperature of workplace. Among them, improper postures play an important role. A smart sensor called SensorTag is employed to estimate the trunk postures including flexion-extension, lateral bend, and the trunk rotational speeds. Measuring gravitational acceleration vector in the smart sensor along the tri-orthogonal axes offers an orientation of the object with the smart sensor attached to. The smart sensor is light in weight and has small form factor, making it an ideal wearable sensor for body posture measurement. Measured data from the smart senor is wirelessly transferred for analysis to a smartphone which has enough computing power, data storage and internet-connectivity, removing need for additional hardware for data post-processing. Based on the estimated body postures, WMDs risks can be conviently gauged by using existing WMDs risk assesment methods such as OWAS, RULA, REBA, etc.

수확후 Ethyelene Scrubber 및 과실피막제 Prolong 처리가 저장과 모형유통 과정에서 '신고'과실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 (Postharvest Application of Ethylene Scrubber and Prolong on the Fruit Quality of 'Niitaka' Pears during Storage and Simulated Marketing)

  • 이재창;황용수;서정학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8
    • /
    • 1993
  • 동양배 과실의 수확후 처리 중 polyethylene film 포장은 저장중 수분상실에 의한 감량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과피흑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저장시에는 오히려 상품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Ethylene 제거제는 장기저장시 과피면의 생리적 장해의 발생을 다소간 억제시킨 결과를 나타내였으나 심부현상에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ethylene 제거제의 활용은 polyethylene film 포장내에 삽입하여 적용하는 것보다는 저장고내의 ethylene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막제 Prolong 처리는 과피변을 과습하게 하여 저장중 심한 흑변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감량방지 효과가 인정되지 않아 저장전 처리방법으로는 부적합하였다.

  • PDF

'부유' 단감 과실에서 저장 후 생리적 장해 발생과 호흡 및 에틸렌 생성의 상호 관계 (The Association of Post-Storage Physiological Disorder Incidence with Respiration and Ethylene Production in 'Fuyu' Persimmon Fruits)

  • 안광환;송원두;최성진;이동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83-287
    • /
    • 2004
  • 단감 과실은 저온 저장 후 유통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될 경우 과육의 연화, 과피 흑변, 과육 갈변 등의 생리적 장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과실의 호흡과 에틸렌 생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장해 발생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저온 장해 증상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는 과육의 젤리화를 동반하는 연화 현상은 저온 저장한 과실을 MA 포장하지 않은 채 상온에 노출하였을 때 3일 이내에 심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30^{\circ}C$ 조건에서는 $20^{\circ}C$에서 보다 장해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장해 발생 차이의 양상은 에틸렌 생성의 차이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에틸렌의 작용이 억제되는 것으로 알려진 MA 포장 과실에서도 이러한 연화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과육의 젤리화 현상이 에틸렌의 생성 또는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한편, 과피 흑변 현상은 저온 저장한 과실을 대기에 직접 노출하였을 때 심하게 발생하나 PE-film으로 포장한 과실에서는 발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발생 양상은 에틸렌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과육의 젤리화 현상의 발생 양상과도 유사하지만, 에틸렌 생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10^{\circ}C$ 조건에서 오히려 과피 흑변 발생이 증가한 점에 비추어 볼 때 과피 흑변 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은 높은 산소 농도와 관련이 있고, 과육의 갈변은 무기 호흡이 유발되는 조건, 즉 두꺼운 PE-film으로 MA 포장하여 고온에 노출시킨 조건에서만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유효 산소 농도의 갑작스런 저하가 과육의 갈변 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