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mach-Yeu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임증지남의안(臨證指南醫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ulcorner}$Medical Recoreds as a Guide to Diagnosis${\lrcorner}$)

  • 신순식;홍원식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47-68
    • /
    • 1995
  • A proper understanding of 'diagnosis and treatment based on over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gns' can result in efficient clinical effect. Studies on the ${\lceil}$Medical Recoreds as a Guide to Diagnosis${\rfloor}$ can be expected to achieve a part of this purpose. In this study, the period, author, xylographica, contents and influence of next generation of ${\lceil}$Medical Records as a Guide to Diagnosis${\rfloor}$were investigated. Tian shi and his 12 followers completed thsis Medical recoreds with clinical experiences and data obtained throughout their lives. These books were first published in 1764. Since then these books have been published twenty times based on the first edition. These books are comprised of 10 volumes, from ${\lceil}$volume 1${\rfloor}$to ${\lceil}$volum 8${\rfloor}$are internal medicine, ${\lceil}$volum 9${\rfloor}$ is gynecology, ${\lceil}$volum 10${\rfloor}$ is pediatric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method of regluating astenia-syndrome' , 'diagnosis and treatment based on over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gns on eight extra meridians', 'theory of Yang forms endogenous wind-syndrome', 'theory of spleen-energy rise up and stomach-energy descend', 'theory of stmach-Yeum', 'diagnosis and treatment based on overall analysis of symptoms and signs on collaterals'. Tian shi completed his work by compling the previous medical theories and through clinical studies. It is expected that his theories are effectively applied to improve clinical medicine.

  • PDF

위증(?證)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병인병기(病因病氣), 치법(治法) 및 치방(治方) 중심(中心)으로 - (A literatural study on the atrophy syndrome(?證))

  • 김성수;금동호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81-95
    • /
    • 1999
  • 위증(?證)과 이완성 마비는 각각 한의학과 서양의학에서 쓰여지는 증상의 개념이지만 두개의 개념간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즉, 용어가 조금 다를 뿐이지 지체(肢體)가 위약(委弱)하여 잘 쓰지 못하여 수의적인 운동이 잘 되지 않는 것을 가리키는 개념임을 알 수가 있다. 이 위증(?證) 이완성 마비는 양측성(兩側性), 상행성(上行性)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편측성(片側性) 및 상하지(上下肢) 동시에 증상이 종종 발현하는 중풍의 후유증과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는 같은 것으로 오인(誤認)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다. 이 고찰(考察)에서는 역대의 중요 문헌을 통하여 위증의 병인병기(病因病機) 및 치법치방(治法治方)과 치방(治方)의 빈도(頻度)를 각 시대별 대표적인 의가(醫家)의 순(順)으로 정리함으로써 위증의 이해를 넓히는데 도움이 되도륵 하였다. 따라서 위증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임상활용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고찰(考察)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