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ichiometric

검색결과 907건 처리시간 0.039초

무산소-산소 공정에서 양론적 질소제거 연구 (Stoichiometric Study for Nitrogen Removal in Anoxic-oxic Process)

  • 이병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22-1227
    • /
    • 2005
  • 대표적인 질소제거 시스템인 무산소-산소공정을 대상으로 주어진 유입수 수질 조건에서 최대의 질소제거를 위한 최적의 슬러지 반송비를 질화/탈질 반응식을 이용하여 양론적으로 계산하였다. 양론적 계산에 고려된 수질 항목은 질화/탈질에 영향을 미치는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질소, 알칼리도, COD, 용존산소로 설정하였다. 최대의 질소제거를 위한 최적의 슬러지 반송비를 앞의 5가지 유입수 항목으로 나타내었다. 양론적 계산에 의한 각 공정의 유출수와 최종 유출수 중의 TN농도가 실제 보고된 하 폐수 처리장의 TN농도와 잘 일치 하였다. 또한 양론적 계산에 의해 실제 처리장 최종 유출수 중의 TN농도를 ${\pm}5.0\;mg/L$ 내에서 예측 가능하였다.

연소열 및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한 유기산류의 폭발한계의 예측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Organic Acids Using Combustion Chemical Stoichiometric Coefficients and Heats of Combustion)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47-51
    • /
    • 2013
  • 폭발한계는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주요한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많은 유기산류는 연소열과 폭발한계, 화학양론계수와 폭발한계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유기산류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에 대해 연소열과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제시된 예측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적은 오차범위에서 일치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다른 유기산류의 폭발한계 예측이 가능해졌다.

Conversion Process of Amorphous Si-Al-C-O Fiber into Nearly Stoichiometric SiC Polycrystalline Fiber

  • Usukawa, Ryutaro;Oda, Hiroshi;Ishikawa, Toshihir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610-614
    • /
    • 2016
  • Tyranno SA (SiC-polycrystalline fiber, Ube Industries Ltd.) shows excellent heat-resistance up to $2000^{\circ}C$ with relatively high mechanical strength. This fiber is produced by the conversion process from a raw material (amorphous Si-Al-C-O fiber) into SiC-polycrystalline fiber at very high temperatures over $1500^{\circ}C$ in argon. In this conversion process, the degradation reaction of the amorphous Si-Al-C-O fiber accompanied by a release of CO gas for obtaining a stoichiometric composition and the subsequent sintering of the degraded fiber proceed. Furthermore, vaporization of gaseous SiO, phase transformation and active diffus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i-Al-C-O fiber competitively occur. Of these changes, vaporization of the gaseous SiO during the conversion process results in an abnormal SiC-grain growth and also leads to the non-stoichiometric composition. However, using a modified Si-Al-C-O fiber with an oxygen-rich surface, vaporization of the gaseous SiO was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n consequently a nearly stoichiometric SiC composition could be obtained.

Mullite 합성에 있어서 조성에 따른 Mullite-seed 첨가효과 (Influence of mullite-seed on the mullite synthesis from various compositions)

  • 김인섭;강상원;박주석;이명웅;이병하;이경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4
    • /
    • 2000
  • kaolin과 수산화알루미늄을 이용하여 mullite를 합성하는데 있어서 출발원료의 조성을 silica rich, stoichiometric, alumina rich 조성으로 준비하여 각각의 원료로부터 mullite를 합성할 때 mullite-seed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silica rich 조성과 stoichiometric 조성에서는 mullite-see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꺾임강도값이 증가하며, alumina rich 조성에서는 mullite-seed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꺾임강도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양의 mullite-seed를 첨가했을 때 미세구조는 alumina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치밀도가 감소하고, aspect ratio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순도면에서는 mullite정량결과 모든 조성에서 mullite-seed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합성된 mullite 결정상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연소열 및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한 알데히드류의 폭발한계의 예측 (Prediction of Explosion Limits of Aldehydes Using Chemical Stoichiometric Coefficients and Heats of Combustion)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11
    • /
    • 2015
  • 폭발한계는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주요한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많은 알데히드류는 연소열과 폭발한계, 화학양론계수와 폭발한계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알데히드류의 폭발하한계와 상한계에 대해 연소열과 화학양론계수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제시된 예측식에 의한 예측값은 문헌값과 적은 오차범위에서 일치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다른 알데히드류의 폭발한계 예측이 가능해졌다.

금속티타늄분말의 질화반응과 산화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itridation and Oxidation Reaction of Titanium Powder)

  • 이영기;손용운;조영수;김용석;김석윤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7-148
    • /
    • 1995
  • The nitridation kinetics of titanium powder were studied by isothermal and non-isothermal (dynamic) methods in high purity nitrogen under I atm pressure. For the comparison with nitridation, the oxidation kinetics of titanium powder were also studied in dry oxygen at I atm pressure. An automatic recording electrobalance was used to measure the weight gain as a function of time and temperature. For the reaction with nitrogen, the nitride was formed at over $700^{\circ}C$. The reaction with nitrogen followed the parabolic rate law, and the activation energy was calculated to be 31 kcal/mol in the isothermal method (above $900^{\circ}C$). The non-stoichiometric TiNx has been synthesized by the nitridation at a proper temperature and time, followed by the homogenizing treatment above $1100^{\circ}C$. In comparison with the stoichiometric $TiN_{1.0}$ and the non-stoichiometric TiNx ($TiN_{0.5}$ and $TiN_{0.65}$), the hot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is superior to that of the latter. However, both non-stoichiometric nitrides make little difference in the hot oxidation characteristics.

  • PDF

${\mu}-PD$ 법으로 성장시킨 near-stoichiometric 조성 $Zn:LiNbO_3$ fiber 단결정 성장 및 광손상 특성 (Crystal growth and optical properties of near-stoichiometric $Zn:LiNbO_3$ fiber single crystal by ${\mu}-PD$ method)

  • 이호준;서중원;신동익;송원영;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235-239
    • /
    • 2006
  • Micro-pulling down$({\mu}-PD)$법을 이용하여 직경 $0.8{\sim}1.0mm$, 길이 $30{\sim}35mm$의 ZnO가 첨가된 near-stoichiometric $LiNbO_3$, 단결정을 성장하였다. 성장된 결정의 결정구조를 powder x-tay diffraction(XRD) patterns으로 확인하였고, electron probe micro analysis(EPMA)를 이용하여 결정내 Zn 이온들이 균일하게 분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 mol% 이상의 ZnO 첨가시 $OH^-$ 흡수밴드의 특성이 크게 변화함을 관찰함으로써 ZnO 첨가량에 일치한 역치(threshold)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양론계수를 이용한 가연성가스와 증기의 폭굉한계 예측 (Prediction of the Detonation Limit of the Flammable Gases and Vapors Using the Stoichiometric Coefficient)

  • 하동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28-233
    • /
    • 2008
  • 폭굉한계는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연소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혼합물의 구성하는 각 순수성분의 연소열과 기상 조성을 이용하여 폭발한계를 예측하였다. 제시된 방법론에 의한 계산값은 적은 오차범위에서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이 다른 가연성물질의 폭굉한계 예측에 폭넓게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Stoichiometric Effects. Correlation of the Rates of Solvolysis of Isopropenyl Chloroformate

  • Ryu, Zoon-Ha;Lee, Young-Ho;Oh, Yung-H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1호
    • /
    • pp.1761-1766
    • /
    • 2005
  • Solvolysis rates of isopropenyl chloroformate (3) in water, $D_2O$, $CH_3OD$ and in aqueous methanol, ethanol, 2,2,2-trifluoroethanol (TFE), acetone, 1,4-dioxane as well as TFE-ethanol at 10 ${^{\circ}C}$ are reported. Additional kinetic data for pure water, pure ethanol and 80%(w/w) 2,2,2-trifuoroethanol (T)-water (W) at various temperatures are also reported. These rates show the phenomena of maximum rates in specific solvents (30% (v/v) methanol-water and 20% (v/v) ethanol-water) and, variations in relative rates are small in aqueous alcohols. The kinetic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GW correlations, steric effect, kinetic solvent isotope effects (KSIE), and a third order model based on general base catalysis (GBC). Solvolyses based on predominately stoichiometric solvation effect relative to medium solvation are proceeding in 3 and the results are remarkably similar to those for p-nitrobenzoyl chloride (4) in mechanism and re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