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rring numb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狀移動重合. Tetrabutylammonium Bromide 존재하에서 Diphenoxides와 1,6-Dibromohexane의 二狀重縮合反應 (Phase Transfer Polymerization. Two Phase Polycondensation of Diphenoxides and 1,6-Dibromohexane in the Presence of Tetrabutylammonium Bromide)

  • 진정일;정용운;이광섭;정근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9-266
    • /
    • 1979
  •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황화비스(4-히드록시페닐) 및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의 음이온과 니트로벤젠속에 존재하는 1,6-디브르모헥산을 브롬화테트라부틸 암모늄을 상이동 촉매로 사용하여 반응시켜 새로운 폴리에테르를 합성하였다. 중합속도는 교반속도와 촉매량에 의존하였으나 어느정도 이상에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분배실험으로 부터 친수성 음이온이 촉매에 의하여 니트로벤젠 층으로 상이동함을 확증하였으며 일부 중합체의 본성점성도 (0.09∼0.16), 수평균분자량 (2400∼4800) 및 열안정성등을 조사하였다. 이와같은 중합 메카니즘은 소위 interfacial polymerization의 메카니즘과 다르며,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이동 중합''(phase transfer polymerization) 이란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 PDF

Effect of Soaking Time and Steeping Temperature on Biochemical Properties and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Germinated Wheat and Barley

  • Singkhornart, Sasathorn;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7-7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aking time (6, 12 and 24 hr) and steeping temperature (25, 30 and $35^{\circ}C$) on germination time, germination percentage and weight loss of wheat and barley.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rotein, fat, and ash), reducing sugar content, enzyme activity and pasting profile and GABA ($\gamma$-animobutyric acid) content of germinated wheat and barley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clearly suggest that the short soaking time and lower steep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decreased germination time and weight loss, while germination percentage increased. Regarding the chemical composition, the protein content of wheat and barley was slightly increased after germin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of crude fat and ash of both germinated cereals.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both germinated cereals decreased as the steep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25^{\circ}C$ to $35^{\circ}C$. Increasing soaking time and steeping temperature led to increased amylase activity, and also corresponded to reduced paste viscosity. The highest GABA content that occurred with soaking times of 6 and 12 hr and a steeping temperature of $35^{\circ}C$ was 1,467.74 and 1,474.70 ${\mu}g/g$ for germinated wheat and 2,108.13 and 1,691.85 ${\mu}g/g$ for germinated barley.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ptimum germination process for wheat and barley is a low steeping temperature and a short soaking time.

교반조에서 경사 및 2단 Impeller의 교반소요동력에 관한 연구 (Power Input of Pitched and Double-Stage Paddle Impeller in a Agitated Vessel)

  • 이영세;김문갑;김종식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8-25
    • /
    • 1996
  • 교반소요동력은 장치의 설계상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교반 프로세스를 평가, 검토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실험실 레벨에서 플랜트로의 스케일업은 주로 동력기준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장치형상의 선택과 동력의 설정이 교반효과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류역 완전방해판 조건하에서 경사 임펠러 및 2단 패들 임펠러의 적절한 동력상관식을 제시한다. $$Np_{(pitch)}=({\theta}/90^{\circ})Np_{(90^{\circ})}$$ 또한 임펠러 사이의 거리에 따른 동력수의 추산식을 제시한다. $$Np=7.09(n_p)^{0.7}(\frac{b_(double)}{d})(\frac{H}{D})^{0.18}$$, $${n_p}^{0.7}(\frac{b_{(double)}}d)$$<2 $$Np=8.73\{(n_p)^{0.7}(\frac{b_{(double)}}{d})\}^{0.7}(\frac{H}{D})^{0.18}$$, $${n_p}^{0.7}(\frac{b_{(double)}}d)$$>2.

  • PDF

도시락 보관중 온도변화와 신선도 유지를 위한 단열재 사용효과 (Changes in Temperature during Storage of Lunch-Box and Effects of the Heat Insulator Use on the Lunch-Box Freshness)

  • 김중만;전종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3-349
    • /
    • 1987
  • 신선한 도시락의 취식과 식중독 위험을 덜 수 있는 도시락 보관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도시락 보관 중 밥의 온도변화를 조사하고 밥통과 찬통사이에 단열재를 끼워 보관하면서 찬의 온도변화, 김치의 pH값 변화와 밥의 호기성 세균수 및 응축수 생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더운 밥을 도시락 밥통에 담았을 때 밥의 온도는 $70^{\circ}C$로 이 온도는 도시학내의 생활세포의 살균효과가 있으나 더운 도시락 위에 놓인 찬통의 온도가 $53^{\circ}C$까지 상승되어 밥의 신선도 유지에 큰 영향을 준다. 도시락밥통과 찬통 사이에 단열재를 놓은 경우 찬의 온도는 보관온도보다 $2{\sim}3^{\circ}C$ 상승하는 정도로 단열효과가 있어서 찬통 중 김치의 pH값이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밥을 퍼담고 바로 뚜껑을 닫은 경우는 10분 통안 식힌 후 뚜껑을 닿은 경우보다 호기성 세균수가 훨씬 적었고, 밥을 솥안에서 휘저어 식힌 후 퍼담으면 응축수의 생성량이 적었다. 도시락밥통 상하에 단열재를 놓아 보자기에 싸서 보관하면 겨울철에도 차가운 느낌이 없이 도시락밥을 먹을 수 있었다.

  • PDF

저점도 액 통기 교반용 글라스라이닝 홈베이스 임펠러의 최적 형상 (Optimum Geometry of Glass Lined HOMEBASE Impeller for Gas-Liquid System of Low Viscosity Liquid)

  • 고승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4호
    • /
    • pp.542-547
    • /
    • 2021
  • 글라스 라이닝 임펠러는 강산을 포함한 대부분의 화학물질들에 대해 내부식성이 있고, 또한 평활하고 눌어붙지 않는 표면을 가지며 세정이 용이하고 프로세스에 불순물들을 유입하지 않는 강점을 갖고 있다. 글라스 라이닝 HOMEBASE 임펠러는 저점도 유체에서 고점도 유체까지 폭넓은 점도 범위의 액체를 교반할 수 있도록 개발된 다목적형 대형 교반 임펠러이나, 그중에서도 세포 배양이나 효모의 배양, 맥주 발효 솥 등은 저점도 액의 통기 교반에 많이 사용하며, 특히 공기-수계의 통기성 교반에 많이 적용한다.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성능 면에서 경쟁력을 갖는 HOMEBASE 임펠러에 대한 글라스 라이닝은 제작상 임펠러와 샤프트의 접합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도록 상하 분할이 필수적이다. 임펠러의 상하 분할은 혼합 성능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통기 성능을 저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lass Lined HOMEBASE 임펠러 형상의 최적화를 위해, 상·하부로 분할된 임펠러 사이의 장착각도차와 임펠러 사이의 간격 및 방해판의 개수가 통기 동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하부로 분할된 임펠러 사이의 장착각도차와 간격이 통기를 할 때의 동력 Pg와 통기가 없을 때의 동력 P0의 비인 Pg/P0를 저하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통해 Glass Lined HOMEBASE 임펠러 최적 형상과 방해판 조건을 도출하였다.

인체 상피 세포암의 일차 배양을 이용한 방사선 민감도 측정 (In Vitro Intrinsic Radiosensitivity Of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in Primary Culture)

  • 최은경;양광모;이병용;장혜숙;김상윤;남주현;유은실;이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27-31
    • /
    • 1994
  •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라 또 같은 조직의 종양에서도 각 환자에 따라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관찰된다. 이러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는 한 방법으로 각 환자에서 떼어낸 종양조직을 일차 배양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 생존 곡선을 구한뒤 2Gy에서의 생존(SF2)을 얻었다.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두경부 종양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 조직을 얻어 기계적인 방법으로 미세절편으로 만든 후 collagenase type IV와 2시간 배양하여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을 얻었다. Cell adhesive matix로 전처리된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일정수의 세포를 넣어 24시간 배양한뒤 각 열에 0, 1, 2, 3, 4. 6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13일간 배양후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뒤 image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각 well의 광학밀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을 구한다. Linear quadratic model에 의한 생존 곡선을 얻은 뒤 2Gy에서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배양된 세포가 편평상 피암세포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cytokeratin과 epithelial monoclonal 항체를 이용한 Immunocytochemical 염색을 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5명의 두경부종양 환자와 2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조직을 얻어 실험하여 15명(60$ \% $) 종양의 2Gy 생존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10명의 일차 배양 실패의 원인은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에 종양세포가 너무 적었거나 세포 이식후 배양이 잘 자라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15편평 상피암 세포의 SF2의 평균은 0.55$\pm$0.17이었으며 범위는 0.20에서 0.79까지로 같은 편평상피암이라도 각 환자에 따라 SF2 간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같은 부위에 생긴 같은 조직 유형의 종양이라도 각 환자마다 SF2 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보아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한 인자로 SF2 값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