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pul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딸기의 잎과 탁엽 절편체로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from Leaf and Stipule Segments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 최준영;김현정;형남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47-351
    • /
    • 1998
  • 딸기 '수홍'의 기내배양된 잎과 탁엽 절편체로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방법을 확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엽절편체 배양에서는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라 NAA 첨가시에는 뿌리 재생, BA 첨가시에는 신초 재생이 이루어졌으며, BA 1.0㎎/L + NAA 0.2 ㎎/L 처리구에서 재생률 31.1%, 절편체당 신초수 1.7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탁엽절편체 배양에서는 생장조절제와 광조건의 처리를 실시하였는데, 명조건에서는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암조건에서는 고농도 BA와 저농도 NAA의 혼용처리가 신초 재생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탁엽절편체는 BA 2.0 ㎎/L + NAA 0.1㎎/L 처리구에서 재생률 44.4%, 절편체당 신초수 4.0개로 가장 양호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재생된 신초는 NAA 0.1㎎/L 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발근되었으며, 이어서 인공토양(vermiculite : perlite = 1 : 1)에서 성공적으로 활착을 유도할 수 있었다.

  • PDF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한 한국산(韓國産) 녹나무과(科) 식물(植物)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 (Taxonomical Studies of Lauraceae in Kore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ipules (I))

  • 박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2권1호
    • /
    • pp.9-15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녹나무과(科) 식물(植物) 중 상록활엽수(常錄闊葉樹) (4속(屬) 5종(種))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관한 것으로는 조사(調査)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녹나무과(科) 식물(植物)의 탁엽(托葉)은 5~31매(枚)로 호생(互生)하며, 단엽(單葉)의 형태(形態)로 되어 있고, 엽맥(葉脈)은 기저망(基底網) 상맥(狀脈)과 우상맥(羽狀脈)을 가지며, 탁엽형(托葉形)은 장(長) 광수원형(廣隋圓形), 도피침형(倒披針形), 능형(菱形)으로서 둔두(鈍頭), 예두(銳頭)이고, 유저(流底)로서 전연(全緣)이었으며, 털은 견모(絹毛), 밀면모(密綿毛)와 장연모(長軟毛) 등(等)이었다. 이상(以上)의 제(諸) 특징(特徵)으로 각(各) 수종(樹種)을 식별(識別)할 수 있었다. 2) 탁엽맥(托葉脈)의 형태적(形態的)인 변화형(變化型)은 A, B, C 형(型)의 세가지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즉, A형(型)-주맥(主脈)이 뚜렷한 우상맥(羽狀脈)인 것(육박나무), B형(型)-삼출맥(三出脈)이 발달(發達)한 기서망상맥(基序網狀脈)인 것(참식나무, 생달나무, 녹나무)과 C형(型)-평행맥(平行脈)으로 발달(發達)한 기저망상맥(基底網狀脈)인 것(후박나무)이었다. 3) 탁엽폭(托葉幅)의 변화형(變化型)은 세가지 형태(形態)이었는데, (1) a>d>g>j 형(型)은 생달나무, 녹나무와 육박나무이었고, (2) a>cj, (aj, (a>j) 형(型)은 후박나무이었다.

  • PDF

황색자생균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Yellow Chrysanthemun in Korea)

  • 이종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95
  • 12 populatiDns of Ch indicum L. and it's variation antogenous in Tforea were selec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plant height is 97.3cm. Ch. indicunl is 76.5cm and Ch. boreale is 116. 6cm in height. The number of nodes is 58 on the average. The color of the stem is generally black-red in the case of Ch. indicum and is green for Ch. boreale. 2) The leaves of Ch. inficum are smaller In size and thicker than chose of Ch. boreale, and it has a stipule. This fact enables us to distinguish one species from the other, however, the Gyukpo-population of Ch. indicum has a large leaf, and Byunsan-population of Ch. boreale has a stipule so that the above fact is not an exact criterion on which to base one classification. 3) The size of the capitulum is 24.9mm for Ch. indicum and 15.6mm in the case of Ch. boreaj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is admitted. It was confirmed hat the size of the capitulum has positive correlation to that of the pedicel and has egative correlation to the number of flowers, so that of inflorescence, Ch. indicumhas corymb, and Ch. boreale has crowed corymb or umbel-type.The number of ligulates is 19 on the average, which no the difference being founnd between species and populations.4) The cluster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Ch. indicum was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was shown thought to be due to the difference of speciesbetween Ch. indicum and Ch. boreale. However, it could not be shown that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explain a geographical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 PDF

A comparative study of early leaf development in the Viola albida complex

  • CHOI, Yong Kuk;WHANG, Sung So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
    • /
    • 2019
  • Early leaves within the Viola albida complex were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order to determine the morphological segments during morphogenesis. The early leaf development of V. albida var. albida could be morphologically divided into the eight stages in the following order: I, the initiation of shoot germination; II, the conical growth directionally of the leaf; III, the adaxial and abaxial formation of the leaf; IV, the initiation of the stipule; V, the formation of a transitional zone between the leaf blade and petiole; VI, the expansion of the upper part of the leaf blade; VII, the formation of almost all parts of the early leaf; VIII, the early simple leaf. Viola albida var. takahashii differs from V. albida var. albida by additional stages, i.e., V-1, the initiation of the first lateral lobe at the both lateral parts of the leaf after the stage V and an early lobed leaf.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is also distinguished from two taxa by two developmental features, V-2, the initiation of a second lateral lobe below of the first lateral lobe, and an early palmately compound leaf.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Viola albida complex would be in the process of peramorphosis, showing developmental changes in a chain of events, leading to a different leaf shape. These data would also be useful for isolating genes that give rise to different leaf morphogenesis outcomes among the taxa in the Viola albida complex.

쥐손이풀속(쥐손이풀과)의 외부영양형질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Geranium (Geraniaceae) on the vegetative characters)

  • 박선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01-1009
    • /
    • 2002
  • 쥐손이풀속(subgenus Geranium) 35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인 생육지, 뿌리, 줄기의 습성과 분지 형태, 엽서, 엽형, 엽연의 모양, 잎열편과 소열편의 형태, 열편의 갯수, 잎의 두께와 엽질 및 탁엽의 형태 통의 영양형질을 조사하고, 이들의 분류형질로서의 타당성 및 진화경향성을 논의하였다. 잎이 3열편으로 갈라지는 특징에 의해 Wilfordii군이, 생육지가 고산지역인 Farreri군이 나누어지며, 일년생인 특징에 의해 Maculatum군이 구분되어진다. 잎의 배열상태가 호생인 G, tripartitum, G. eriostemon, 및 G. erianthum이 나머지 분류군보다. 원시적이고, 열편이 깊게 갈라진 Sibiricum군과 Pseudosibiricurn군이 보다 분화한 분류춘이라고 생각된다. 본 분류군에서는 잎의 엽형과 소열편의 분 지정도 및 엽연의 모양과 열편의 갯수 등은 개체군 사이에서도 변이의 폭이 일정해 종을 구분하는 좋은 식별형질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