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nts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초

하지동맥 질환의 인터벤션: 전반적 치료 계획 수립 (General Treatment Strategy for Intervention in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

  • 원제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00-511
    • /
    • 2021
  • 하지동맥 질환의 유병률은 고연령 군에서 증가한다. 최근의 기술적 진보로 혈관 내 치료가 점점 더 많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다. 간헐적 파행의 치료 목표는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부학적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며 개통률이 치료 평가 기준이 된다. 임계 하지허혈을 가진 환자에서는 병변이 광범위하고 특히 무릎아래동맥을 심하게 침범한다. 임계 하지허혈의 치료 목적은 상처 회복을 촉진하고 주요 절단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사지 보존율이 평가의 기준이 된다. 장골동맥 협착의 치료에는 피복 혹은 비피복 스텐트 삽입술이 일차적 치료로 인정된다. 대퇴슬와동맥 질환은 죽종제거술과 함께 약물방출풍선 및 스텐트가 자주 사용되는 반면 무릎아래동맥 질환에서는 풍선확장술이 주요 치료 방법이다. 컴퓨터단층 혈관조영술은 절대적 금기증이 없는 환자에서 혈관 내 치료계획 수립을 하는데 로드맵을 제공한다.

대퇴슬와동맥의 인터벤션과 최신 지견 (Interventional Treatments for Femoropopliteal Arterial Disease and Recent Updates)

  • 김민욱;조수범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27-540
    • /
    • 2021
  • 대퇴슬와동맥의 말초동맥폐쇄질환은 일반적으로 죽상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며, 질병의 정도에 따라 간헐적 파행에서부터 심각한 사지 허혈 또는 조직 손상에 이르는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을 개선하고 사지를 형태적, 기능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대퇴슬와동맥 질환에서 시행되는 대표적인 인터벤션 치료로는 혈관 성형술, 스텐트 삽입술, 죽종절제술 등이 있다. 수년에 걸쳐, 혈관 내 재개통술은 최소 침습적이라는 이점과 더불어 시술 방법 및 사용 기기의 지속적인 발전을 토대로 말초동맥폐쇄질환의 치료에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번 종설에서는 대퇴슬와동맥 질환의 다양한 혈관 내 치료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문헌 고찰을 통해 현재까지 나온 임상 연구의 결과들을 논의하며, 대퇴슬와동맥질환의 치료에 적용되는 시술 방법에 대한 영상을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말초동맥질환에서의 죽종절제술: 현재와 미래 (Atherectomy in Peripheral Artery Disease: Current and Future)

  • 권요한;김진우;원제환;김성호;김정은;박성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51-561
    • /
    • 2021
  • 죽종절제술은 당뇨병과 만성콩팥병증 등에 의해 발생하는 말초동맥질환에서 유망한 치료법이다. 죽종절제술은 기계적 방법을 통해 죽종 조직을 제거하여 혈관의 내경을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방법의 특성상 주로 경피적 미세 침습 접근 방식에 국한하여 통용되는 용어이며, 현재 한국에서 사용 가능한 죽종절제술 장치는 두 가지가 있다. 죽종절제술이 성행하면서 "혈관 준비"라는 개념과 "아무것도 남기지 않기"라는 새로운 치료 개념이 대두되었다. 다양한 연구들이 죽종제거술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증명하고 있지만 그 한계도 존재하므로, 환자 선택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고 후속적인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취약한 죽상경화반의 원위 필터형 색전예방장치를 이용한 내경동맥의 스텐트 시술 후 발생한 다량의 뇌 미세혈전: 증례 보고 (Massive Cerebral Microemboli after Protected Carotid Artery Angioplasty and Stenting Using a Distal Filter Embolic Protection Device for a Vulnerable Plaque with a Lipid Rich Necrotic Core and Intraplaque Hemorrhage: A Case Report)

  • 김혜정;노명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739-745
    • /
    • 2020
  • 경동맥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삽입술과 관련된 주요 합병증은 시술 도중 발생하는 원위부 뇌색전증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색전예방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취약한 죽상경화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색전예방장치를 사용한 경동맥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삽입술 후 뇌 색전증의 위험은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색전예방장치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무증상 또는 증상이 있는 뇌졸중이 발생한다. 저자들은 지방이 풍부한 괴사성 핵과 경화반 내 출혈이 있는 취약한 죽상경화반의 원위 필터형 색전예방장치를 이용한 내경동맥의 스텐트 시술 후 발생한 다량의 뇌 미세혈전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복부 대동맥에 발생한 동맥-요관 누공의 혈관 내 치료: 증례 보고와 문헌고찰 (Endovascular Treatment for Arterioureteral Fistula of the Abdominal Aort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이형남;이웅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953-957
    • /
    • 2020
  • 저자들은 복부 대동맥에 발생한 동맥-요관루를 혈관 내 접근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던 드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동맥-요관루는 극히 드물지만, 사망률이 7~23%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저혈량쇼크와 같은 치명적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함께 즉각적인 치료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질환 자체가 희귀하고 민감도가 높은 검사 방법이 없기 때문에, 진단을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임상적 의심이 반드시 필요하다. 복강 내 수술, 방사선 치료 및 요관 스텐트의 장기 설치 등의 특징적인 과거력을 가진 환자에서 외상적 사건이 동맥-요관루 발생의 촉발 요인이 될 수 있다. 복부 대동맥에 발생한 동맥-요관루 환자에서도 혈관 내 인조혈관 스텐트의 삽입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만성 담즙종 공동 내로 이동한 담도 스텐트의 경피경간적 제거 (Percutaneous Transhepatic Removal of Migrated Biliary Stent from a Chronic Biloma Cavity)

  • 이형남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442-447
    • /
    • 2020
  • 의인성 이물질은 인터벤션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심각한 합병증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악화시키고 경제적 부담을 준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복강 내 이물질을 경피경간적 경로로 성공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던 드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72세 남자 환자는 좌간절제술 후에 발생한 난치성 담즙 유출을 치료하기 위해 피막 담도 스텐트 설치를 받았다. 설치 3일 후에, 스텐트에 접힘 변형이 발생하면서, 담즙 유출 부위를 통해 스텐트가 만성 담즙종 공동 내부로 이동하였다. 풍선 카테터 기법을 이용하여 접힌 스텐트를 곧게 펴고 담도 내로 위치를 재조정하여, 제거하는 동안 스텐트-스트럿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중재적 시술은 혈관 내 이물질뿐만 아니라 복강 내 이물질에도 유효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시술 장비들과 술기들에 대한 철저한 이해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보다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A Newly Designed Nitinol Stent: Early Clinical Experience in the Treatment of Iliac Artery Stenoses and Occlusions

  • Chang Jin Yoon;Jin Wook Chung;Jae Hyung Park;Soon Hyung Hong;Soon Young Song;Hyung Gehn Lim;Yoon Si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권3호
    • /
    • pp.145-150
    • /
    • 200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designed Niti-S stent in the management of iliac arterial stenoses and occlusions. Materials and Methods: Stenoses (n=25) or occlusions (n=5) in the iliac arteries of 25 patients (30 limbs) were treated. The site of the lesions was the common (n=15) or external (n=11) iliac artery, or both (n=4). Eight limbs were treated for diffuse disease, six for highly eccentric lesion, five for occlusive lesion, and 11 for failed angioplasty. Results: In all patients,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without major complications. One death, not procedure-related, occurred within 30 days. Ankle-brachial indexes improved from 0.63 0.30 to 0.99 0.21, and ischemic symptoms showed improvement in 22 patients (88%). Fontaine classifications before stenting, namely IIa(n=3), IIb(n=16), III(n=2), and IV(n=4) improved to I(n=17), IIa(n=5), and IV(n=3). Follow-up over a 27 (mean, 19.8 8)-month period showed that cumulative patency rates were 95.8% at 1 year and 86.2% at 2 and 3 years. No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ankle-brachial index was observed. Conclusion: The Niti-S stent appears to be a safe and effective device for the treatment of iliac stenoses and occlusions. These preliminary results require confirmation with a larger series.

  • PDF

Evalu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urrent biliary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s: axial and radial force, and axial force zero border

  • Wataru Yamagata;Toshio Fujisawa;Takashi Sasaki;Rei Ishibashi;Tomotaka Saito;Shuntaro Yoshida;Shizuka No;Kouta Inoue;Yousuke Nakai;Naoki Sasahira;Hiroyuki Isayama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5호
    • /
    • pp.633-649
    • /
    • 2023
  • Background/Aims: Mechanical properties (MPs) and axial and radial force (AF and RF) may influence the efficacy and complications of self-expandable metallic stent (SEMS) placement. We measured the MPs of various SEMSs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the SEMS clinical ability. Methods: We evaluated the MPs of 29 types of 10-mm SEMSs. RF was measured using a conventional measurement device. AF was measured using the conventional and new method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thods was evaluated. Results: A high correlation in AFs was observed, as measured by the new and conventional manual methods. AF and RF scatterplots divided the SEMSs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structure: hook-and-cross-type (low AF and RF), cross-type (high AF and low RF), and laser-cut-type (intermediate AF and high RF). The hook-and-cross-type had the largest axial force zero border (>20°), followed by the laser-cut and cross types. Conclusions: MPs were related to stent structure. Hook-and-cross-type SEMSs had a low AF and high axial force zero border and were considered safest because they caused minimal stress on the biliary wall. However, the increase in RF must be overcome.

Clinical outcomes of permanent stenting with endoscopic ultrasound gallbladder drainage

  • Eisuke Suzuki;Yuji Fujita;Kunihiro Hosono;Yuji Koyama;Seitaro Tsujino;Takuma Teratani;Atsushi Nakajima;Nobuyuki Matsuhashi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5호
    • /
    • pp.650-657
    • /
    • 2023
  • Background/Aims: Endoscopic ultrasound gallbladder drainage (EUS-GBD) is gaining attention as a treatment method for cholecystiti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assessed the outcomes of permanent stenting with EUS-GBD. Therefore, we evalu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permanent stenting using EUS-GBD.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cohort study. The criteria for EUS-GBD at our institution are a high risk for surgery, inability to perform surgery owing to poor performance status, and inability to obtain consent for emergency surgery. EUS-GBD was performed using a 7-Fr double-pigtail plastic stent with a dilating device. The primary outcomes were the recurrence-free rate of cholecystitis and the late-stage complication-avoidance rate. Secondary outcomes were technical success, clinical success, and procedural adverse events. Results: A total of 41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168 (range, 10-1,238) days. The recurrence-free and late-stage complication-avoidance rates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95% (38 cases) and 90% (36 cases), respectively. There were only two cases of cholecystitis recurrence during the study period. Conclusions: EUS-GBD using double-pigtail plastic stent was safe and effective with few complications, even in the long term, in patients with acute cholecystitis.

Silent Embolic Infarction after Neuroform Atlas Stent-Assisted Coiling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 Seungho Shin;Lee Hwangbo;Tae-Hong Lee;Jun Kyeung K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1호
    • /
    • pp.42-49
    • /
    • 2024
  • Objective : There is still controversy regarding whether neck remodeling stent affects the occurrence of silent embolic infarction (SEI) after aneurysm coiling. Thu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SEI after stent-assisted coiling (SAC) using Neuroform Atlas Stent (NAS) and possible risk factors. This study also includes a comparison with simple coiling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o estimate the impact of NAS on the occurrence of SEI.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96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s in 96 patients treated with SAC using NAS. Correlations of demographic data, aneurysm characteristics, and angiographic parameters with properties of SEI were analyzed.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SEI were investigated in 28 patients who underwent simple coiling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AC group. Results : In the diffusion-weighted imaging obtained on the 1st day after SAC, a total of 106 SEI lesions were observed in 48 (50%) of 96 patients. Of these 48 patients, 38 (79.2%) had 1-3 lesions. Of 106 lesions, 74 (69.8%) had a diameter less than 3 mm. SEI occurred more frequently in older patients (≥60 years, p=0.013). The volume of SEI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lder age (≥60 years, p=0.032), hypertension (p=0.036), and aneurysm size ≥5 mm (p=0.047). The incidence and mean volume of SEI in the SAC group (n=96)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simple coiling group (n=28) during the same period. Conclusion : SEIs are common after NAS-assisted coiling. Their incidence in SAC was comparable to that in simple coiling. They occurred more frequently at an older age. Therefore, the use of NAS in the treatment of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does not seem to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hromboembolic events if antiplatelet premedication has been performed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