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l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순환골재를 사용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구조 성능 평가 (Struct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Recycled Coarse Aggregates)

  • 신재린;김우석;백승민;강현구;곽윤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215-2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를 사용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전단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순환골재 치환율은 30 %로 고정하고, 전단경간비(a/d = 2, 3, 4), 인장철근비(${\rho}=0.8$, 1.27 %) 및 강섬유 혼입율($V_f=0$, 0.5, 0.75, 1%)을 변수로 한 총 24개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또한 순환골재를 사용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전단강도를 여러 연구자들의 제안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즉, 순환골재를 사용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전단거동에 따른 전단내력을 분석하고, 강섬유보강 전단강도 제안식과 실험값을 비교하여 순환골재를 사용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실험값이 제안식에 의한 이론값보다 높게 나타나 순환골재를 사용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보를 구조부재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고 판단된다.

순환굵은골재 치환과 하이브리드섬유 혼입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평가 및 개선 (Improvement an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RC Exterior Beam-Column Joints Using Recycled Coarse Aggregate with Hybrid Fiber)

  • 하재훈;하기주;신종학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60-16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순환굵은골재와 고로슬래그미분말을 치환한 콘크리트를 철근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하이브리드 섬유 (PVA섬유+강섬유)를 적용한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7개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접합부 영역에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결과 초기 재하시 접합부 영역의 균열억제 효과와 재하 전 과정을 통하여 하이브리드섬유의 가교역할로 인하여 균열억제 효과가 커서 안정적인 파괴형태 및 내력향상 효과를 나타내었다.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영역에 하이브리드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CJGPSR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BCJS와 비교하여 최대내력은 1.01~1.04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에너지 소산능력은 1.06~1.29배 증가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섬유 (강섬유+PVA섬유)를 보강한 실험체 $BSJGPSR_1$은 최대강도를 확보한 변위연성 9에서 실험체 BCJS, BCJP, BCJGPR 시리즈 보다 에너지 소산능력이 1.33~1.6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flexural behavior of high strength concrete beams containing waste glass

  • Haido, James H.;Zainalabdeen, Marwa A.;Tayeh, Bassam A.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1권3호
    • /
    • pp.239-253
    • /
    • 2021
  • The behavior of concrete containing waste glass as a replacement of cement or aggregate was studied previously in the most of researches, but the present investigation focuses on the recycling of waste glass powder as a substitute for silica fume in high strength concrete (HSC). This endeavor deals with the efficiency of using waste glass powder, as an alternative for silica fume, in the flexural capacity of HSC beam. Thirteen members with dimensions of 0.3 m width, 0.15 m depth and 0.9 m span length were utilized in this work. A comparison study was performed considering HSC members and hybrid beams fabricated by HSC and conventional normal concrete (CC). In addition to the experiments on the influence of glass powder on flexural behavior, numer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nonlinear finite element approach to simul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eams. Same constitutive relationships were selected to model the behavior of HSC with waste glass powder or silica fume to show the matching between the modeling outputs for beams made with these powd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ading capacity and ductility index of the HSC beams with waste glass powder demonstrated enhancing ultimate load and ductility compared with those of HSC specimens with silica fume. The study deduced that the recycled waste glass powder is a good alternative to the pozzolanic powder of silica f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