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l making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31초

가상 현실 기반 철강 공정 조업 교육 시스템 (Virtual-reality-based Operation Training System for Steel Making Process)

  • 최자영;이진휘;김용수;김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709-712
    • /
    • 2015
  •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development case study about virtual-reality-based operation training system for steel making process. Steel making process consist iron making process to create liquid steel, pig iron, by reduction process, steel making process to make molten steel by refining, continuous casting process to make slab, and rolling process to make final product like coil, plate. This steel making process deals with liquid and solid products, so facilities of steel making process are very various and complicated. 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customer requirements, the recycle of facilities and recipes changing have been fast. So the training for skilled operators is very important point. In this paper, we develop steel making training system based virtual reality for training skilled operator. This system consists of virtual machine, virtual HMI, and virtual control panel. And for fit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cess and increasing the education effectiveness, we develop dynamic methods like the method of dynamic education system configuration, initial facilities setup operation education system, and etc.

Ladle내 잔류(殘留) 용융(熔融)슬래그의 LF 공정(工程)으로 재활용(再活用)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cycling of Molten Ladle Slag Residue into LF Process)

  • 김영환;유정민;김동식;임종훈;양성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1호
    • /
    • pp.36-41
    • /
    • 2013
  • 전기로 제강공정 중 LF 공정에서 슬래그는 전기로(EAF)에서 이월된 슬래그와 출강 중에 조재제인 생석회, 돌로마이트 등이 용강 중에 투입되어 생성된다. LF 조업이 끝나면 ladle은 연속주조 공정(CCM)으로 이송되며, ladle 하부의 노즐을 통해 tundish로 용강을 내보내어 연속 주조조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공정 후 ladle에 남는 슬래그와 잔강(殘鋼)은 슬래그 포트(Pot)에 받아 슬래그 야적장으로 이송되어 파쇄 후 처리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 주조공정 후 ladle에 잔류한 용융슬래그(잔강(殘鋼) 포함)를 전기로 출강 후에 ladle 상부에 직접 투입하여 LF 공정 초기의 슬래그를 형성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F 공정 중에 사용되는 생석회의 원단위는 2.2 ~ 3.2 kg/steel-ton 저감되었으며, 용강의 생산회수율은 0.3 ~ 0.5% 증가되었다.

제강슬래그 특성을 이용한 축산폐수 처리효과 (Swine Wastewater Treatment by using Steel-making Slag)

  • 김태희;박경봉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85-92
    • /
    • 2000
  • 제강슬래그의 재활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강슬래그를 여재로 이용하여 축산폐수 처리효과를 조사하였다. 제강슬래그를 접촉용 여재로 활용한 순환식 폐수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시설에서 처리된 축산폐수를 재처리한 결과 pH는 제강슬래그의 특성으로 인하여 상승하였으며 질소와 인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COD와 BOD도 감소하였다. 축산단지의 현장실험 결과 여재로 사용한 제강슬래그는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유입 농도의 갑작스런 변화를 완화하였다. COD와 BOD의 경우 재처리수에서 항상 유입 폐수보다 낮아졌으나 유입수의 농도에 영향을 받았다. 에이징된 제강슬래그를 열처리 한 경우 free-CaO 성분의 증가로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처리수의 pH 상승 정도가 커졌으며 인 제거 특성도 향상되었다.

  • PDF

해수에 의한 제강 슬래그의 납, 구리, 카드뮴 및 수은 화합물의 용출특성 평가 (Evaluation of Lead, Copper, Cadmium, and Mercury Species in the Leachate of Steel Making Slag by Seawater)

  • 이한국;이동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84
    • /
    • 2005
  • 본 연구는 해양구조물로 재활용되는 제강 슬래그의 납, 구리, 카드뮴과 수은의 용출특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형폐기물의 용출규제 시험, 액고비 변화시험, pH 고정시험과 같은 다양한 용출시험을 하였다. 용출용매로 증류수를 이용한 경우와 해수를 이용한 경우의 pH 고정시험 결과, 제강슬래그에서 용출된 납, 구리, 카드뮴은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용출용매로 증류수 사용시, pH 7-8 구간과 pH 11-12 구간에서 낮은 용출을 보였지만, 해수를 용출용매로 사용한 경우는, 증류수를 용매로 사용한 것 보다 높게 용출되었다. 수은 용출의 경우는 증류수를 용출용매로 이용한 것보다 해수를 이용한 경우에서 더 낮게 용출되었다. 한편,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의 용존 및 침전 상태의 파악과 중금속 화합물들의 파악을 위하여 지화학 평형 프로그램인 Visual minteq를 사용하였다. 해수와 반응한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된 납, 구리는 pH 11-12 구간에서 대부분 용존되지만 pH가 감소되는 pH 7-10에서는 90% 이상만이 침전하였고, 카드뮴의 경우는 100% 용존상태로 존재하였다. 증류수와 반응한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된 납은 해수의 경우도 유사하였고, 구리와 카드뮴은 100% 용존상태로 존재하였다. 해수 내의 $Cl^-,\;CO_3^{-2},\;SO_4^{-2}$와 결합한 납화합물은 $PbCl^+,\;PbSO_4$로 이루어졌으며, 구리화합물은 $CuSO_4,\;CuCO_3$, 카드뮴화합물은 $CdCl^+,\;CdSO_4$ 등이 형성되었다. 수은의 경우는 해수 및 증류수를 용출용매로 이용한 모든 경우에서 납, 구리, 카드뮴과는 달리 대부분 침전하였다. 더욱이 해수에 존재하는 고농도 염소($Cl^-$)와의 수착으로 인해 finite solid인 calomel($Hg_2Cl_2$)이 형성되어 대부분 침전(SI=0)되기 때문에 납, 구리, 카드뮴 보다 더 낮은 환경이동성을 갖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실험결과 용출용매로 증류수와 해수를 이용했을 때, 제강 슬래그에서 용출되는 납, 구리, 카드뮴, 수은의 용출 경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서, 납, 구리, 카드뮴의 용출 유해성은 낮기 때문에 해양구조물로의 제강슬래그 유효이용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속제강공정의 simulation model (Simulation model at continuous steel-making process)

  • 문일;송형근;심재동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8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과학기술대학, 충남; 17-18 Oct. 1986
    • /
    • pp.474-478
    • /
    • 1986
  • The phenomenon of a continuous Steel-making process was studied with a set of collected equilibrium data for the steel-oxidation reactions. Mass and Heat balances were also established. Mass transfer constants which are physically unmeasurable but escential for the simulation study in the steel-making process were calculated from the experimental data using an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se data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d process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 PDF

FASTMET$\circledR$ Process for Steel Mill Waste Recycling

  • Tanaka, Hidetoshi;Harada, Takao;Sugitatsu, Hirosh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387-392
    • /
    • 2001
  • Kobe Steel, LTD. and Midrex Technologies Inc. jointly developed the FASTMET$\circledR$ process as a steel mill waste recycle technology in which the DRI product meets BF feed material or BOF/EAF feed material requirements. FASTMET(R) process turns value-less wastes into valuable DRI and sellable zinc oxide, and gives the solution for the steel mill wastes recycling from both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viewpoint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Laboratory, Pilot Plant and Demonstration Plant tests were carried out from 1990 to 1998. The first FASTMET(R) commercial plant began operation in April, 2000 and the second commercial plant started in April, 2001 Both commercial plants have proceeded successfully preying that FASTMET$\circledR$ is a suitable process for recycling steel mill waste and for producing DRI as an iron source.

  • PDF

Modeling and stable startup strategy for strip-caster

  • Lee, Dukman;Lee, Jin S.;Kim, Y.H.;Lee, D.S.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of the Korea Automatic Control Conference, 11th (KACC); Pohang, Korea; 24-26 Oct. 1996
    • /
    • pp.319-323
    • /
    • 1996
  • A new steel-making process, strip-casting, is introduced. The strip-casting is a new technique making the thin steel strip from the molten steel directly without resorting to repetitive reheating and hot-rolling required in a conventional steel-making method. This paper derives the mathematical model of strip caster, proposes a control strategy for stable startup operation and a fuzzy decision making rule for automatic control mode change in strip-casting process.

  • PDF

벤토나이트 혼합율에 따른 제강 슬래그 및 슬러지의 투수 특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in Steel Making Slag and Sludge according to Mixing Rate of Bentonite)

  • 우원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61
    • /
    • 2000
  • Permeability is important factor in the geotechnical problems, such as seepage discharge and dissipation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The Kozeny-Carman equation works well for graded soils but serious discrepancies are found in clays. Major factor for these discrepancies is the tortuous flow path and unequal pore size. To estimate the permeability of fine grained soils, a permeability equation in which swelling potential is coupled with Kozeny-Carman equation is proposed in this study. To verify proposed equation, a series of variable head permeability test was carried out for steel making slag and sludge mixed with bentonite. The coefficients of permeability which is measured in the laboratory is compared with the values by the proposed equation. From the comparis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equation can predict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clays with satisfaction. As steel making slag and sludge is industry waste, it is reused as material of road foundation and cement but the rate of use is low. It mixed sodium-bentonite with high swelling property and permeability decrease effect. Then, Admixture investigates reuse possibility as liner of waste fill.

  • PDF

철강산업체 전기로(EAF) 설비에서 에너지절약 최신기술동향 (New Energy Saving Technology of Electric Arc Furnace in Steel Making Industry)

  • 오동환;박현규;박태준;임상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71-73
    • /
    • 2003
  • The paper discussed for energy saving technology of electric arc furnace (EAF) in steel making industry. The energy of EAF in steel making process is nearly 10% of total manufacturing cost. This paper is shown new trand of energy saving technology and future study analysis of technological evolution of the EAF by 2010 issued IISI.

  • PDF

국내 철골조 단독주택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Steel-framed House in Korea)

  • 박준웅;여준기;최무혁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5-129
    • /
    • 2002
  • Judging from recent aspects of lift, Housing of diverse types are emerzing as the interest of housing quality takes a growing with advanced life-cycle, varity of dweller needs and high-grade consuming patterns. This study is to explore more positive design method of steel-framed house through analysis about the decorative properties, choosing steel-framed house designed by domestic architects after 1990. In conclusion, as actively making use of merits of steel-framed house and making up its faults, it is suggested as a possibility of modern future-types hous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