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ed tea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밤잎차(茶)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 최옥범;유경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28-1131
    • /
    • 1999
  • 밤나무 잎을 이용해 제조한 불발효 처리한 증제차와 반발효차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를 탐색하였다. 각각의 밤잎차 물추출물을 동결건조한 시료를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두 종류의 차 모두 대조구로 사용한 BHT보다 동일농도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들의 $SC_{50}$은 증제차 53.3 ${\mu}g/mL$, 반발효차 49.9 ${\mu}g/mL$, BHT 101.0 ${\mu}g/mL$으로 나타났다. 또한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차 0.2 g, 0.5 g에 상당하는 동결건조물의 MeOH추출물 8 mg과 20 mg으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한 결과, gram양성 세균 중에서 S. aureus와 S. epidermidis gram음성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는 대조구로 사용한 0.65 mg의 benzoic acid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났고, M. luteus와 L. mesenteroides, B. subtilis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어 증제차와 반발효차 모두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a와 활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HPLC에 의한 증제와 볶음 녹차 중의 유리 아미노산과 유리당의 정량 (Quantitativ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by HPLC)

  • 고영수;이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1-304
    • /
    • 1985
  • 녹차의 맛을 내는데 주요 성분인 유리아미노산과 유리당을 HPL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6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즉,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lysine, arginine이 그것이었다. 2. 증제차가 볶음차보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많았고, 녹차중에는 특히 threonine과 aspartic acid, lysine의 함량이 많았다. 3. Fructose, glucose, sucrose, raffinose등 4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다. 4. 유리당은 가열시간 증가에 따라 각 성분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Steamed Liriopis Tuber Tea Affected by Steaming Frequency

  • Park, Jin-Yong;Park, So-Hae;Lee, Heeseob;Lee, Yang-B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4호
    • /
    • pp.314-320
    • /
    • 2014
  • Flavor quality of Liriopis tuber tea that was made using a steaming process was studied by measuring changes in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Headspace volatile compounds of the prepared samples were isolated, separated and identified by the combined system of purge & trap, automatic thermal desorber,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elective detector. As steaming frequencies were increased, the area percent of aldehydes decreased from 32.01% to 3.39% at 1 and 9 steaming frequency times, respectively. However, furans and ketones increased from 18.67% to 33.86% and from 9.60% to 17.40% at 1 and 9 times, respectively. The savory flavor of Liriopis tuber tea was due to a decrease in aldehydes contributing a fresh flavor at the 1st steaming process and newly generated furans from nonenzymatic browning with repeated steaming frequenci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quality control of the newly developed Liriopis tuber tea.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항산화 증진 효과 (Increased antioxidative effects of Seol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powders)

  • 조은주;박현영;김현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1호
    • /
    • pp.75-79
    • /
    • 2012
  • To increase antioxidative activity and minimize off-flavor of Chungkukjang, Seoliate as main ingredient and green tea as minor ingredient were selected. The protective efffect of green tea for Chungkukjang was evaluated under in vitro. Seol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SCG) was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from oxidative stress. Green tea showed the strong protective effect against nitric oxide (NO) and superoxide anion ($O_2{^-}$) radicals. The SCG perparation method was as follows. Seolitae was cleaned and washed, soaked in 1.5-fold water ($15^{\circ}C$) of Seolitae weight for 48 hr. Seolitae was steamed about 40 min by autoclave and then cooled about $40^{\circ}C$. Bacillus subtilis was inoculated and 5.0-fold green tea of weight was added, and then it was fermented for 60 hr at $40^{\circ}C$. According to the preparation method, Seolitae Chungkukjang (SC) and Seol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5.0% (SCG5.0) were prepared. Among the Chungkukjang groups SCG5.0 exerted more effective scavenging activity of NO than SC. In addition, SC added with green tea 5.0% showed high $O_2{^-}$ scavenging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he antioxidative potential against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damage of SCG.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특성변화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dera obtusiloba BL. Leaf Teas by Manufacturing Process)

  • 황경아;김광수;박찬성;신승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3
  • 본 연구는 독특한 맛과 향이 있는 생강나무 잎을 이용하여 제조 방법에 따른 잎차의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인공건조차가 6.71%로 가장 높았고 찐후덖음차가 5.18%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발효차가 15.33%로 가장 높았고 덖음차가 8.3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분 함량은 제차방법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탄닌 함량은 찐후 덖음차가 3.29%로 가장 높았으며 발효차가 2.26%로 가장 낮았다. 생강나무잎차의 비타민 C 함량은 덖음차에서 37.17mg/100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찐차가 16.70 mg/100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제조방법에 따른 무기질함량의 차이는 없었지만, K, Na, Mn, Ca, Fe, Mg, Zn 순의 함량으로 나타났다. 생강나무잎차의 냄새, 맛등 전체적 기호도는 찐후 덖음차가 다른제조방법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강나무의 잎차의 제조방법은 기호성과 영양성이 비교적 우수한 찐후 덖음하여 제조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한다.

녹차 추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Component of Green Tea Extracts)

  • 여생규;염동민;이동호;안철우;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7-292
    • /
    • 1994
  •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nitrite-scavenging action as one of biological actions of green tea extracts. Green tea extracts exhibited remarkable nitrite-scavenging action. Among the green tea extracts, steamed green tea showed higher nitrite-scavenging action than roasted green tea. Nitrite-savenging actions of gren tea extracts were hardly influenced until three times extraction with hot water. Furthermore , the nitirte-scavenging action of green tea extracts showed ph dependent ,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 6.0. The nitrite -scavenging rate in sample extracts /amine /nitrite systems exhibited faster than that in amine/nitrite systems. In order to screen the nitirte-scavenging factors, samples extracts were fractionated with methanol. in both samples, methanol-soluble fractions possessed greater nitrite-scavenging action than methanol-insoluble fractions .The nitrite-scavenging action of methanol-soluble fractions increased with proportion to absorbance at 420nm and at 280nm, while that of green tea extracts increased with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absorbance at 280nm.

  • PDF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둥굴레차의 증자 여부에 따른 향기성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lavor Compounds in Steamed- and Nonsteamed-Roasted Polygonatum odoratum Root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 박난영;서지형;김영회;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07-512
    • /
    • 2000
  • 고품질 둥굴레차의 제조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solid-phase microextraction(SPME)을 이용한 headspace 방법에 의해 볶음 전 중자(steaming) 여부에 따른 둥굴레차의 향기성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SPME fiber에 대한 향기성분의 흡착조건은 $60^{\circ}C$에서 30분이 적합하였고, 무중자 및 중자(120분)된 시료를 $130^{\circ}C$에서 15분간 볶음 처리하여 분석 GC chromatogram에서는 40여 종의 peak가 분리되었고, 전반적인 pattern은 유사하였으나 서로 상이한 peak특성이 관찰되었다. 분리된 성분들을 GC-MS와 retention time 비교에 의해 25종을 동정하였으며, 무중자 볶음처리 둥굴레는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 2,5-di-methyl-4-hydroxy-3(2H)-furanone, 2-acetyl-1-pyrroline 등의 pyrazine류 함량이 중자 후 볶음 둥굴레보다 높게 나타나 둥굴레의 고유한 향과 맛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중자 후 볶음 처리한 둥굴레의 경우에는 acetic acid(8.17%)와 hexanoic acid(5.43%)의 함량이 무중자 시료(2.40%와 2.00%)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감 (Diospyros kaki, Thumb) 잎차의 화학 성분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 성낙주;정선영;이수정;조종수;강신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20-726
    • /
    • 1995
  • 녹차와 더불어 시판되고 있는 감잎차의 제조방법을 기존 제차공정과 달리할 경우 차의 성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또 이들 성분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감잎차의 제조 방법을 달리하여 카페인, 탄닌, 비타민 C, 핵산관련 물질, 유리당 및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 비교하였다. 차엽의 수분은 6.9~7.0%, 회분은 8.3~9.0%, 조지방은 6.1~6.9%였다. 전질소의 함량은 3.4~4.8%, 차엽의 카페인 함량은 $178.4~209.8{\mu}mol/g$, 탄닌 함량은 29.1~38.5%, 비타민 C는 325.3~2084.7mg%로서 RHT가 2084.7mg%로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찻물의 경우 카페인의 함량이 $101.5~130.1{\mu}mol/g$, 탄닌의 함량이 15.4~25.9mg%였으며, 비타민 C는 111.0~1274.3mg%로 차엽과 마찬가지로 RHT에서 1274.3mg%으로 다른 차에 비해 아주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찻물의 용출율은 51.1%였다. 차엽의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및 phenylalanine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고, 이들 4종이 아미노산이 총 아미노산에 대하여 SHT는 39.8%, DHT는 38.8%, RHT는 39.1%였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함량이 높은 것은 glutamic acid(10.9~12.9 mg%)였다. 찻물의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은 차엽과 마찬가지로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proline, histidine 및 arginine 순이었다. 핵산관련 물질(CMP, IMP, AMP, UMP, GMP, hypox-anthine)의 함량은 생엽 $119.2{\mu}mol/100g$, 차엽 및 찻물 모두에서 CMP의 함량이 많았다. 차엽 중에서 CMP 다음으로 함량이 높은 것을 보면 SHT에서는 GMP, DHT는 AMP, RHT는 UMP였으며, 찻물의 경우도 역시 차엽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은 생엽의 경우 sucrose의 함량이 $85.2{\mu}mol/100g$으로 가장 높았고, SHT, DHT 및 RHT에서 모두 fruct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찻물 역시 차엽과 마찬가지로 sucros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

제조방법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 잎차의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 황경아;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8-7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차의 계승과 새로운 식품의 개발하고자 생강나무의 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재차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은 덖음차 81종, 찐후덖음차 78종, 자연건조차 88종, 발효차 86종, 찐차 72종 및 인공건조차 89종의 분리할 수 있었다. 생강나무 잎차의 향기성분은 $\beta-piepne$을 비롯한 hydrocarbone류가 45종이 동정되었으며, 가장 많은 종류의 성분이 분포되었다. Alcohol류는 L-linalool, n-octanoal, phenyl acetaldehyde, $(-)-\alpha-terpineol$, elemol, cholest-5-en-3-ol, 등 16종, 2-nitro-2(3-hydroxybuthyl) -clododexanone, 3-(3-butenyl)-2,3-epoxy-cyclohexanone, 2-ethyl-2-propyl- cyclo-hexanone 등 11종의 ketone류가, phenyl acetaldehyde, tetradecanal, 10-undecanal, 4-Bromo-2- methylbutanal 등 8종의 aldehyde류가 동정되었다. 또한 ester류는 methyl 9, 12, 15-octadecatrienate, didodecyl phthalate, 1,2-benzenediccar-baboxy acid-bis(2-ethylhexyl) ester 3종류가 동정되었고, 또한 phenol류는 2,6-bis(1,1-dimethylethyl)-4-methyl-phenol이 동정되었다.

침출 조건에 따른 녹차 추출물의 성분 조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under the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최혜자;이우승;황선주;이인중;신동현;김학윤;김길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2-209
    • /
    • 2000
  • The factors affecting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during extraction process were temperatures and times.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measured in relation to the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from water extra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under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50, 70, 9$0^{\circ}C$) and extraction times (1, 3, 5 minute). The change of color intensity during browning reaction, flavonoid components, contents of total phenols and hydrogen donating activity (reducing activity for $\alpha$, $\alpha$'-diphenyl-$\beta$ -picryhydrazyl) of water extracts form green tea increased as extraction temperatures increased from 50 to 9$0^{\circ}C$ and extraction times prolonged from 1 to 5 min. The contents of important free sugars such as sucrose and glucose slightly increased as the extraction time was prolonged, while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fructose with the prolonged extraction time. Catechins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ommercial steamed green tea were increased at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extraction time. Epigallocatechin (EGC) extracted from 9$0^{\circ}C$ (extraction time 5 min). presented 99.9 mg/g in highest composition of catechin followed by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epicatechin (EC), epicatechin gallate (ECg). The content of vitamin C extracted from green tea was increased about 2 times as the extraction temperature increased from 50 to 9$0^{\circ}C$ and as the extraction time increased from 1 to 5 min. with exception at 9$0^{\circ}C$(extraction time:5 min) which showed less vitamin C content than 7$0^{\circ}C$(extraction time : 3 min) probably due to possible destruction of vitamin C by high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