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amed tea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시판 녹차로부터 Theanine 함량의 분석 (Analysis of Theanine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 최성희;류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7-179
    • /
    • 1992
  • 아미노산 자동분석계를 이용하여 생체분석법으로 수확시기와 제조공정이 다른 6종류의 시판 녹차를 시료로 하여 아미노산 중 특히 theanine을 중점적으로 정량분석하였다. 찐 1번차에서 Theanine의 함량은 2235mg%였고, 수확시기가 늦은 2번차, 3번차로 내려갈수록 그 함량이 급격히 줄어들었다. 볶은 1번차에서는 2106mg%이었고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찐차에서와 같이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theanine의 함량은 찐 1번차와 볶은 1번차의 경우 전 아미노산 peak 면적의 약 55%를 차지했다. 제조공정이 다른 찐차와 볶은차에서 theanine의 함량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Optimized Conditions for Making Tea from Camellia(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and Sensory Evaluation

  • Kim, Ju-Hee;Im, Wha-Chun;Park, Min-Hee-;Lee, Jun-Ho;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34-35
    • /
    • 2003
  • Before making of tea, the number of leaf, plant height and node length in young shoot were 5.2, 14.9cm and 1,9cm respectively. These contents caused problems in leaf rolling and uniform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and comoposition of roasted and steamed were observed, external shape and internal quality, however, were good from 1st to 3rd leaf. Chemical nutrition consists of leaf position, Total nitrogen content of terminal leaf was 4.88%, total free amino acid 21.12%, and caffein 3%. Vitamin C cont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leaf age. Making of roasted tea was required long time because camellia leaf was very hard and smoothly. Products had lower water color, perfume and taste. Internal quality of steamed tea was good in water color and taste.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total free amino acid, catechin, caffeine and vitamin C were 4.24%, 1.01, 17.7%, 2.6% and 75.7mg/ml.(중략)

  • PDF

한국산시판녹차(韓國産市販綠茶)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of Commerical Korean Green Tea)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8-101
    • /
    • 1991
  • 한국산(韓國産) 시판녹차(市販綠茶)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제조공정별(製造工程別(찐차(茶), 볶은차(茶))과 차(茶) 잎을 딴 시기별(時期別)(1번차(番茶), 2번차(番茶))로 구분區分하여 분석(分析), 동정(同定)하였다. 그 결과(結果), 찐차(茶)와 볶은차(茶)에서 terpene alcohol류(類) 8종(種), 그 외의 alcoholel류(類) 9종(種), aldehyde류(類) 5종(種), ketone류(類) 8종(種), ester류(類) 4종(種) 및 기타 7종(種)을 포함(包含)하는 총(總)41종류(種類)의 향기성분(香氣成分)을 확인(確認)하였다. 찐차(茶)는 볶은차(茶)에 비(比)하여 nerolidol, indole등의 함량(含量)이 많았고, 볶은차(茶)에서는 linalool, geraniol, benzylalcohol, phenol 등(等)이 함량(含量)이 많았다. 차(茶) 잎을 딴 시기별(時期別)로보면 6월(月)에 딴 찐 2번차(番茶)의 경우 4월(月)에 딴 찐 1번차(番茶)에 비(比)하여 1-penten-3-ol, cis-2-penten-1-ol과 cis, trans-2,4-heptadienal과 trans, trans-2,4-heptadienal의 현저(顯著)한 증가(增加)가 보였다. 볶은차(茶)의 경우에서도 대체로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녹차 첨가 찐빵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teamed Bread Making with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오유경;김창순;장덕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1-459
    • /
    • 2002
  • 찐빵에 녹차가루를 첨가해서 기능성 찐빵의 최적 제조공정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였다. 찐빵제조에는 밀가루 단백질 함량이 12.5%인 강력분과 단백질 함량이 10.5%인 혼합분(50% 강력분+50% 박력분)을 사용하였다. 최적공정조건을 추적하기 위한 RSM의 반응표면모형에 녹차첨가량(X$_1$), 혼합시간(X$_2$), 발효시간(X$_3$)을 인자로 포함시켰다. 반응값은 녹차첨가 찐빵의 부피, 퍼짐율, 기계적 조직감 및 표면광택, 매끈함, 기공의 균일성을 측정치로 하였다. 그 결과 녹차첨가 찐빵제조의 최적조건은 강력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녹차첨가량 1.1%, 발효시간 51분 7초, 혼합시간 12분 46초로 나타났고, 혼합분을 사용한 경우에는 녹차 첨가량 3.2%, 발효시간 39분 55초, 혼합시간 11분 8초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합분으로 찐빵을 제조할 때 녹차가루의 첨가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관능검사에서도 강력분 녹차찐빵보다는 혼합분 녹차찐빵이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녹차의 기능성을 살린 찐빵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강력분보다는 단백질 함량이 낮은 혼합분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Major Compositions of Leaf Tea and Flower Tea Using Native Camellia(Camellia japonica) in Korea

  • Cha, Young-Ju;Lee, Jang-Won;Park, Min-Hee;Hwang, Eun-Ju;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33-33
    • /
    • 2003
  • Most of leaf teas, except flower tea, were considered as good materials with basic conditions for tea manufacture because water content was below 6 %, Crude protein was the greatest component in roasted young leaf tea, crude fats in roasted mature leaf tea and ashes in fermented young leaf tea. Caffein were present as the highest amount(5.18%) in steamed mature leaf tea, showing less amount than greenp teas. Catechin were contained as the highest amount in all kinds of teas, especially fermented young leaf tea. was the highest(9.57%). Tannin, which highly related with tea quality including astringent taste, color and perfume, were present as the highest amount in fermented young leaf tea.(중략)

  • PDF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 억제작용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 김선봉;여생규;김인수;안철우;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60-168
    • /
    • 1995
  • Desmutagenicities against 2-amino-1-methyl-6-phenylimidazo[4, 5-b] pyridine(PhIP) and 2-amino-3, 8-dimethylimidazo[4, 5-f]quinoxaline(MelQx) of tea extracts (steamed green tea, roasted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were investigated. All the fractions obtained from tea extracts showed strong desmutagenic activity against PhIP and MeIQx toward S. typhimurium TA 98 in the presence of the S-9 mix. The crude catechin fraction exhibited the strongest desmutagenic activity. Among these tea extracts, black tea especially exhibited the strongest desmutagenic activity and the activity was 70.9~91.0% against PhIP and 92.2~98.8% against MelQx at a concentration(0.5~1.0mg/plate) for drinking. The activity of authentic catechins of (-)-EGC, (-)-EGCg, (-)-ECg and (-)-EC were 79.5%, 60.2%, 46.1% and 43.5% against PhIP, and were 52.3%, 11.6%, 8.2% and 22.1% against MelQx by addition of 1.0mg/plate, respectively. The desmutagenic activity was supposedly due to the (-)-EGCg, (-)-EGC and (-)-EC in tea polyphenols, and the browning materials. The desmutagenicity was stronger when mutagens were preincubated with S-9 mix after reaciton with black tea extracts than when preincubated with them after reaction with S-9 mix. The desmutagenicity of tea extracts was rather expressed by reacting directly with mutagens than by deactivating the activated forms of mutagens.

  • PDF

감잎의 처리방법과 추출조건에 따른 감잎차의 Vitamin C와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의 변화 (Changes of Vitamin C an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of Persimmon Leaf Tea by Processing Method and Extraction Condition)

  • 박윤주;강명희;김종익;박옥진;이미숙;장해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1-285
    • /
    • 1995
  • 감잎차의 효과적인 제조법 및 음용방법을 조사하기 위해 세가지 방법(재래식, 증자법, 발효법)에 의해 감잎으로부터 감잎차를 제조하여 vitamin C와 SOD 유사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Vitamin C는 발효법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이 수치는(551.85 mg%) 생감잎에 들어 있는 vitamin C의 (1173.67 mg%) 47%에 해당하는 양이며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에 대해 각각 42배, 8배나 되는 많은 양임이 밝혀졌다. 반면 SOD 유사활성은 재래식(833.33 SOD unit/g)과 발효법(816.33 SOD unit/g)에 의해 제조된 감잎차가 증자법(754.72 SOD unit/g)에 비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절대 수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추출온도와 시간에 따라 증자법 감잎차의 vitamin C는 온도에 상관없이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는 $60^{\circ}C$$70^{\circ}C$에서는 추출량이 시간의 증가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80^{\circ}C$$90^{\circ}C$에서는 추출시간 5분까지는 증가하고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발효법 감잎차의 vitamin C의 최적 추출조건은 $80^{\circ}C$$90^{\circ}C$에서 3분과 5분이었고 $70^{\circ}C$에서는 5분과 10분 그리고, $60^{\circ}C$에서는 10분이었다. 재래식 감잎차의 vitamin C는 그 양이 적어 실험에 사용된 DNP법에 의해서는 측정할 수 없었다. SOD유사활성을 살펴볼 때 재래식 및 증자법 감잎차는 추출시간에 따라 $80^{\circ}C$$90^{\circ}C$에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법 감잎차는 $80^{\circ}C$$90^{\circ}C$에서 증가${\rightarrow}$감소${\rightarrow}$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재래식 및 증자법에 의한 감잎차보다 $80^{\circ}C$$90^{\circ}C$ 경우 추출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조건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 물질의 최적 추출조건은 3분과 10분이었다.

  • PDF

The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s of native camellia(Camellia japonica) and nutraceutical camellia teas

  • Hwang, Eun-Joo;Park, Min-Hee;Pyo, Byoung-Sik;Cha, Young-Ju;Lee, So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102-102
    • /
    • 2003
  •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characterize availability of camellia(Camellia japonica L.) as a medicinal plant with antineoplastic and chemosensitizing activities. The crude extracts from fresn camellia flower, young leaves and nutraceutical tea of camellia leaf and flower buds were evaluated on their potential activities against various human cancer cells and multidrug resistance to cancer cells in vitro. The range of cytotoxicity displayed from 120$\mu\textrm{g}$/mL to 200$\mu\textrm{g}$/mL. Catemix 1(CT-1) mixed with camellia and green tea showed high toxicity(respectively IC$\sub$50/=l16$\mu\textrm{g}$/mL, 129$\mu\textrm{g}$/mL) against AML-2/WT, acute myelogenous leukemia cell and MCF-7, brest adenocarcinoma pleual effusion cell. Generally camellia tea mixed with green tea showed higher cytotoxicity than the other camellia teas mixed with some herbs(CH). Methanol extract of steamed camellia tea and roasted camellia tea had a chemosensitizing effect to reverse Pgp-mediated MDR. In addition, camellia flower tea of insignificant cytotoxicity, chemosensitizing effect were increased remarkably chemosensitizing effect in mixed flower tea with some herbs.

  • PDF

가열처리시간이 Steaming 및 Roasting green tea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components in the steaming and roasting green tea after heat treatments according to time.)

  • 고영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9-36
    • /
    • 198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the component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after 10 min, 20 min and 30 min of heat treatment of heat treatment at $110^{\circ}C$. Vitamin C and tannin were determined by spetrophotometry. Total nitrogen, water-soluble nitrogen and water-soluble non protein nitrogen were determined by Kjeldahl analysis system. Aroma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After heat treatment, contents of most compounds decreased. Tannin and caffeine decreased a little bit, while vitamin C decreased considerably. There were both decreases and increases in aromas. Aromas which increased were geraniol, trans-2-hexenol, linalool, $\alpha$-ionone and $\beta$-ionone.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highest quality of green tea was one steam- treated for 10 min at $110^{\circ}C$.

  • PDF

한국산 녹차의 품종 및 가공방법에 따른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reen Teas by Varieties and Processing Methods)

  • 신애자;천석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7-52
    • /
    • 1988
  • 녹차의 품종, 채엽시기, 가공방법별에 따라 13종류의 한국산 녹차시료를 조제하고 이들 시료의 이화학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활, 회분, 가용성 고형분 및 조지방 함량은 대체적으로 품종, 차엽의 채취시기 및 가공방법의 상위에 따른 큰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조단백질의 경우에서는 삽목 Yabukida 품종 1번 차의 볶음과 찐 것에서 각각 30.8%, 31.3%이던 것이 2, 3번차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여 4번차의 경우에서는 각각 18.8%, 16.0% 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다른 품종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품종별에 따른 변화도 크게 나타났다. 조섬유에서는 채엽시기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표면색도는 볶음 차보다 찐 차가 보다 밝은 녹황색을 띄며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밝은 황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클로로필함량은 찐 차의 경우가 볶은 차보다 높았고, 채엽시기에 따라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나 삽목 Yabukida 4번 차의 경우에서는 증가하였다. 3. 탄닌의 함량은 볶음의 경우 채엽시기가 늦을수륵 증가하였지만 찐 차의 경우 그런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heaflavin과 thearubigin 함량은 평균하여 각각 0.07% 및 2.27%이었고 산화중합물비는 평균 0.22이었다. 4. Methylxanthine류에서는 caffeine이 주성분으로 94∼98%를 차지하였으며 볶음차의 caffeine 함량이 높았다. 베니호마래의 caffeine 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낮았다. 5. 녹차의 환원당은 0.1%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유리당의 경우 삽목 Yabukida가 다른 품종에 비해서 sucr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6. 녹차중의 유기산은 succinic, malic, shikimic, citric, quinic, gallic, oxalic 및 malonic acid의 8종류이었으며 이중 quin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삽목 Yabukida 품종에서는 채엽시기가 빠른 녹차에서는 malic acid 함량이 매우 낮은 반면 oxalic acid는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여 미량으로 검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