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nd-level densit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2초

Soil properties of cultivation sites for mountain-cultivated ginseng at local level

  • Kim, Choonsig;Choo, Gap Chul;Cho, Hyun Seo;Lim, Jong Tea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1호
    • /
    • pp.76-80
    • /
    • 2015
  • Background: Identifying suitable site for growing mountain-cultivated ginseng is a concern for ginseng produc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oil properties of cultivation sites for mountain-cultivated ginseng in Hamyang-gun, which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areas for mountain-cultivated ginseng in Korea. Methods: The sampling plots from 30 sites were randomly selected on or near the center of the ginseng growing sites in July and August 2009. Soil samples for the soil properties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the top 20 cm at five randomly selected points. Results: Mountain-cultivated ginseng was grown in soils that varied greatly in soil properties on coniferous, mixed, and deciduous broad-leaved stand sites of elevations between > 200mand < 1,000 m. The soil bulk density was higher in Pinus densiflora than in Larix leptolepis stand sites and higher in the < 700-m sites than in > 700-m sites. Soil pH was unaffected by the type of stand sites (pH 4.35-4.55), whereas the high-elevation sites of > 700mwere strongly acidified, with pH 4.19. The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lower in the P. densiflora stand sites than in the deciduous broad-leaved stand sites. Available phosphorus was low in all of the stand sites. The exchangeable cationwas generally higher in the mixed and low-elevation sites than in the P. densiflora and high-elevation sites,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untain-cultivated ginseng in Korea is able to grow in very acidic, nutrient-depleted forest soils.

경기도 태화산 V 영급 잣나무(Pinus koraiensis) 조림지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 (Development of Allometric Equations for V Age-class Pinus koraiensis in Mt. Taehwa Plantation, Gyeonggi-do)

  • 류다운;문민규;박주한;조성식;김태규;김현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9-38
    • /
    • 2014
  • 임분 밀도가 410tree $ha^{-1}$이며 평균 흉고직경이 $29.1{\pm}5.2cm$인 경기도 태화산의 V영급 잣나무 조림지에서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부위별 바이오매스를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을 만들었다. 잣나무 넓적 잎벌 피해로 인해 잎의 바이오매스가 낮게 나타났으나, 총 바이오매스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그간의 연구를 종합한 결과, 개체목 지상부 상대생장식(logY=a+blogX)의 모수 a는 평균 흉고직경과 임분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는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을 수 없었다. 임분 단위에서는 부위별로 잎은 6.68Mg $ha^{-1}$, 가지는 18.82Mg $ha^{-1}$, 줄기는 101.02Mg $ha^{-1}$로 나타났으며 이를 합한 지상부 총 바이오매스는 126.53Mg $ha^{-1}$로 나타났다. 국내 잣나무 임분의 지상부 바이오매스는 임령보다는 평균 흉고직경과 임분 밀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인자를 사용하여 국내 잣나무 임분 바이오매스를 98% 이상 설명하는 간단한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A Coupled Circuit and Field Analysis of a Stand-Alone Permanent-Magnet Synchronous Generator with Inset Rotor

  • Chan T. F.;Yan Lie-Tong;Lai L. L.
    • KIEE International Transaction on Electrical Machinery and Energy Conversion Systems
    • /
    • 제5B권3호
    • /
    • pp.253-257
    • /
    • 2005
  • By using a coupled circuit, time-stepping,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2-D FEM), the performance of a stand-alone permanent-magnet synchronous generator (PMSG) with inset rotor can be computed without involving the classical two-axis model. The effects of interpolar air gap length and armature resistance on the load characteristics are investigated. It is shown that the interpolar flux density, and hence the amount of voltage compensation, is affected by magnetic saturation. Validity of the coupled circuit and field analysis is confirmed by experiments on a prototype generator. The machine exhibits an approximately level load characteristic when it is supplying an isolated unity-power-factor load.

강원도적송림(江原道赤松林)에 대한 지위지수(地位指數) 및 입목밀도(立木密度) (Site-Index and density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ang-won Province)

  • 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2
    • /
    • 1970
  • 강원도산(江原道産) 적송림(赤松林)중 우량임분(優良林分)을 대상으로 해서 지위지수곡선(地位指數曲線)을 작성(作成)해 보았고 이에 대한 비평을 가했다. 시료관계(試料關係)로 기준연령(基準年令)을 25년(年)으로 잡았다. 작성방법(作成方法)으로서는 삼군분할법(三群分割法)을 적용했다. 다음에는 입목밀도(立木密度)를 검토(檢討)했는데 11개(個) plot의 입목도(立木度)는 기왕(旣往)의 수확표(收穫表)의 그것에 비해서 훌륭한 상태(狀態)에 있었다. 미국의 라이넥캐의 표준밀도에 비교한 이곳 적송임분(赤松林分)의 흉고직경(胸高直徑)대 단위면적(單位面積)당의 입목임수관계(立木林藪關係)를 제공했다. 이것을 보면 강원도적송림(江原道赤松林)의 밀도(密度)는 대단히 우량(優良)한 것으로 결론(結論)된다. 점밀도(點密度)로서 재적추정(材積推定)을 한다는 것은 신뢰성(信賴性)이 낮은 것이라는 토의(討議)를 가했고 조림학적(造林學的)인 또는 생태학적(生態學的)인 주요성으로 점밀도(點密度)의 개념을 선명했고 3가지 가설집단에 대해서 그 내용(內容)의 일단(一端)을 분석(分析)했다.

  • PDF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와 임상도를 이용한 경기지역 산림의 임분재적 공간분포 추정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Stand Volume in Gyeonggi Province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and Forest Type Map)

  • 김은숙;김경민;김종찬;이승호;김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27-835
    • /
    • 2010
  •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산림의 임목축적량과 변화량 탐지의 측면에서 국가산림자원조사는 신뢰성있는 산림통계량을 산출하기 위한 기반자료로서의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들이 아직 행정구역단위 통계로만 산출되고 있어 산림 통계량의 공간적 분포와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해 임상특성별 임분재적 추정모델을 개발하고, 임상도와 통합하여 임분재적의 공간분포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산림의 임분재적 추정모델 개발을 위해 연구대상지에 포함된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점별 임분재적과 흉고단면적합을 산출하고, 표본점의 임황정보(수종, 경급, 영급, 소밀도)를 모델개발에 활용했다. 결과적으로 수종, 영급, 소밀도 기준에 따른 임분재적 모델이 구축되었으며, 본 모델을 임상도에 적용해 임분재적 주제도와 불확실성 주제도를 제작했다. 임분재적 주제도에 의한 연구대상지의 평균 임분재적은 85.7 $m^3$/ha이며, 95% 신뢰구간을 고려했을 때 약 79.7~91.8 $m^3$/ha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act of Menopause on Bone Fusion after the Single-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 Park, Sung Bae;Chung, Chun Kee;Lee, Sang Hyung;Yang, Hee-Jin;Son, Young-Je;Chung, Young Seo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4권6호
    • /
    • pp.496-500
    • /
    • 2013
  • Objective : To evaluate the successful fusion rat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single-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successful fusion (ACDF) and identify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bone successful fusion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From July 2004 to December 2010, 108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single-level ACDF were prospectively selected as candidates. Among these, the charts and radiological data of 39 wome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se 39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a premenopausal group (n=11) and a postmenopausal group (n=28). To evaluat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ful fusion rate, the following were analyzed : the presence of successful fusion, successful fusion type, age, operated level, bone mineral density, graft materials, stand-alone cage or plating with autologous iliac bone, subsidence,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 smoking, diabetes mellitus, and renal disease. Results : The successful fusion rates of the pre- and postmenopausal groups were 90.9% and 89.2%,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ccessful fusion rate or successful fusion typ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ostmenopausal group, three patients (10.8%) had successful fusion failure. In the postmenopausal group, age and subside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ccessful fusion rate (p=0.016 and 0.011, respectively), and the incidence of subsidence in patients with a cage was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a plate (p=0.030). Conclusion : Menopausal statu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one successful fusion in patients with single-level ACDF. However, in older women with single-level ACDF, the combination of use of a cage and subsidence may unfavorably affect successful fusion.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임분구조 및 치수생육특성 (Stand Structure and Sap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Stands Regenerated by the Seed Tree Method)

  • 이대성;최정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678-688
    • /
    • 2021
  •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작업에 따른 천연갱신 조성방안 및 산림시업지침을 마련할 수 있도록 2001년 실시된 소나무 천연하종갱신 시업지를 대상으로 작업 후 18년이 경과한 시기에 표준지조사를 실시하고 임분현황 및 치수생육상태를 분석하여 생장특성 및 임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원창리 내 강원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하고 있으며, 설치된 모수시험림에서 2018년 11월 조사된 흉고직경, 수고, 수관급, 수간형질, 수령, 수고생장량 등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흉고단면적, 재적, 형상비와 더불어 임분상대밀도, 임목축적도 등의 추가인자를 산출하여 시업지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잔존모수는 58본/ha으로 임목축적도 17.7%이었으며, 치수는 2,330본/ha으로 임목축적도 79.0%로 진단되었다. 치수의 수령은 2001~2007년에 발아분포를 보이고 있었는데 대부분은 15~16년생에 속하였다. 치수 생육상태는 흉고직경 10 cm, 수고 8 m로 파악되었다.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흉고직경과 수고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분산분석 및 Duncan 다중비교검정에서도 수관급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001). 형상비는 80~90% 범위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95%이상 대부분 치수의 형질은 수간이 곧고 분지가 없으며, 초두부가 부러지지 않고 병해충의 피해가 없는 양질의 형태로 파악되었다. 치수의 평균 연년수고생장량은 1년생 21.9 cm, 5년생 43.3 cm, 10년생 54.3 cm, 15년생 64.3 cm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수령증가에 따라 생장량이 우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분산분석 결과, 수관급별 연년수고생장량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파라미터 추정치는 수령이 증가하거나 수관급이 우세할수록 연년수고생장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변수통계방법을 이용한 산지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st Land Classificati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 A Case Study at Mt. Kwanak)

  • 정순오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3-66
    • /
    • 1985
  • Korea needs proper and rational public policies on conservation and use of forest land and other natural resources because of the accelerating expansion of national land developments in recent years. Unfortunately, there is no systematic planning system to support the needs. Generally, forest land use planning needs suitability analysis based on efficient land classification system.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 forest land using multivariate satistical methods.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in winter of 1983 on a mountainous area higher than 100m above sea level located at Mt. Kwanak in Anyang -city, Kyung-gi-do (province). The study area was 19.80 km$^2$wide and was divided into 1, 383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by a 120m$\times$120m grid. Fourteen descriptor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for each OTU from existing national land data : elevation, slope, aspect, terrain form, geologic material, surface soil permeability, topsoil type, depth of the solum, soil acidity, forest cover type, stand size class, stand age class, stand density class, and simple forest soil capability class. For this study, a FORTRAN IV program was written for input and output map data, and the computer statistics packages, SPSS and BMD, were used to perform the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Fourteen variabl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ire quench distribution and to estim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executed to find the dimensions of forest land characteristics, and factor scores were used for proper samples of OTU throughout the study area. In order to develop the classes of forest land classification based on 102 surrogates,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es of principal descriptor variable matrix were undertaken. Results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were as follows ; 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roved to be a useful tool for data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rincipal descriptor variables which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 and facilitated the selection of samples.

  • PDF

테에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서 활엽수(闊葉樹)와의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임분수준(林分水準) 생존(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ardwood Interspecific Competition on Stand Level Survival Prediction Model in Unthinned Loblolly Pine Plantations)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49-54
    • /
    • 2000
  • 임분수준(林分水準)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이 개발(開發)되었으며, 이 모형(模型)은 녹병(綠病)(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f. sp. fusiforme)의 발생율(發生率)을 모형(模型)에 포함하였으며 그리고 녹병(綠病)에 감염(感染)되지 않은 단계(段階)의 임목(林木)들이 감염(感染)되는 단계(段階)로의 전이(轉移)가 허용(許容)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다. 12년간(年間) 장기적(長期的)으로 매년(每年) 측정(測定)된 영구적(永久的)인 실험(實驗)plots의 다양(多樣)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利用)하였으며, 인공조림(人工造林)된 테에다소나무임분(林分) 내에서 자연적(自然的)으로 발생(發生)된 활엽수(闊葉樹)들과의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소나무임분(林分)의 생존예측(生存豫測)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로서 임분수준(林分水準)의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은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활엽수(闊葉樹)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밀도(密度)와의 유의(有意)한 영향(影響)이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에서 나타났다.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활엽수(闊葉樹)의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조림(造林)된 테에다소나무임분(林分)의 미래(未來) 생존(生存) 본(本) 수(數)는 뚜렷히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영동지역 봄철 소나무림에서 강우후 연료습도변화 예측모델 개발 (지표연료 직경두께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Fuel Moisture Changes After Precipitation in the Spring for the Pine Forest Located the Yeongdong Region (Focused on the Down Wood Material Diameter))

  • 이시영;권춘근;이명욱;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8-26
    • /
    • 2010
  •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연료습도 변화는 산불위험도 예측과 산불감시원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산불위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07년 봄철 영동지방 소나무림에서 임분 밀도별로 5mm 이상 강우 후 지표에 떨어져 있는 고사한 나뭇가지의 직경이 0.6cm 이하, 0.6~3.0cm, 3.0~6.0cm, 6.0cm 이상에 대한 연료습도변화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지표연료의 직경이 작고, 소임분일수록 연료습도의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산불위험 연료습도에 도달하는 날짜도 소임분 직경 0.6cm 이하의 경우 2일차, 직경 0.6~3.0cm의 경우 3일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각 직경별 연료습도변화 예측모델($R^2=0.76{\sim}0.92$)을 개발하였으며, 2008년 동일기간의 강우 후 기상 실측자료를 적용하여 예측모델을 검증한 결과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